지난 주말에 인사동에 들렀다. 전에 봐두었던 찻잔을 하나 구입했다. 요즘 새로운 취미가 차(茶)이다. 차에 대한 취미를 옛사람들은 다도(茶道)라 하였다. 필자는 이제 초보 단계이니 다도라 하기에는 미숙하다. 차의 세계가 도(道)라고 표현해도 될 만큼 다양한 것은 사실이다. 서양 사람들이 와인을 즐기는 것과 유사하다. 와인은 향과 색과 맛으로 그 다양성을 표현한다. 와인 맛은 품종, 당도, 기온, 숙성 정도 등등 너무도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맛에 모두들 열광하는 것이다. 차 또한 그 다양성이 상상을 넘는다. 색으로 구분하면 맑은 색의 백차, 녹색의 녹차, 노란색의 황차, 붉은색의 홍차, 검은색의 흑차 등 오색으로 나눈다. 찻잎을 따는 시기가 빠르면 백차나 녹차가 되고, 여린 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숙성하지 않고, 한두 번 덖은 덖음차이다. 덖는다는 것은 식물을 볶을 때 쓰는 표현이다. 여기서 두세 번 더 덖으면 황차가 되기도 하지만 보통은 여린 잎은 숙성하지 않고 음미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나는 품종은 녹차이다. 녹차에는 우전, 세작, 중작, 대작이 있다. 채집 시기에 따라 이름이 정해진다. 4월 20일 곡우 전에 채집한 것을 우전(雨前:곡우
Flow of Seoul 2019 / Seoul, Korea Nikon Z7 | 70㎜ | F5.6 | 1/2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겨울 하늘의 구름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짙은 주황색의 여명이 지평선을 물들인다. 도시를 향하는 거대한 흐름이 프레임 속에 들어왔다. 회색빛으로 물든 도시가 밤으로 접어들며 오직 노란 불빛만이 이곳이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듯하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티벌 룸부스전, 영상전 @명동 L7호텔 개인전
용산의 밤 2019 / Seoul, Korea Nikon Z7 | 40㎜ | F4 | 1/3sec | ISO-125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하루 해가 질 때 아쉬울 것 내겐 없어라. 전장의 상처를 난 훨훨 털어버리고 그대의 품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바쁘고 지친 일주일이 마무리되는 금요일 퇴근길의 모습을 사진 속에 담았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티벌 룸부스전, 영상전 @명동 L7호텔 개인전 - ‘COSMOPOLITAN’ @해방촌 Gallery NAM
요즘 트로트가 유행이다. 영화 ‘1982년생 김지영’이 흥행했다.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은 1994, 1997까지 인기를 끌었다. 이런 흥행들 내면에서 복고에 대한 열망이 보인다. 복고풍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하다.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보상심리로 과거 찬란했던 시절에 대한 그리움으로 심리적 퇴행현상이다. 혹은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회피가 아닌 과거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과 지식 충족의 만족감이다. ‘응답하라 1988’을 본 젊은 세대는 과거를 경험하지 않았기에 호기심과 신기함이었다면, 1988년에 대학을 졸업한 필자에게는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 이야기이고 필자의 이야기였기에 반가움과 아픔으로 보았다. 20대 딸이 펑펑 울면서 보았다는 ‘1982년생 김지영’은 내용을 알고 있지만 차마 볼 엄두가 나지 않아 아직 보는 것을 미루고 있다. 슬픈 영화나 구성진 트로트 노래를 들으면 요즘은 눈물이 쉽게 나오는 것이 나이 탓인지 감성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얼마 전 급류에 전복된 차량을 사람들이 구조하는 장면에서 감동받은 것을 보면 개인적 문제보다 사회적인 우울이 미친 영향도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국내 뉴스를 보면 90% 이상 우울한 내용이다. 정치는 싸움만 하고,
Adieu 2019 2019 / Seoul, Korea Nikon Z7 | 50㎜ | F5.6 | 2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길었던 2019년이 마무리되었다. 한 해를 마감하는, 12월 31일 마지막 일몰을 한국에서 가장 높은 전망대에서 바라보았다. 구름이 화려하고 아름답진 않지만 차가운 겨울 공기를 머금은 깨끗한 일몰의 그라데이션과 함께 한 해의 마지막 해가 저물고, 다음 날 아침에는 새해가 시작되었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
대부분 여자는 다 알고 남자는 거의 모르는 단어 중에 하나가 ‘구르프’이다. 구르프의 어원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외래어 단어가 일본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유추된다. 영어식 명칭은 ‘헤어롤’이다. 아침에 지하철을 탈 때면 심심치 않게 머리에 구르프를 한 젊은 여성들을 자주 본다. 호기심에 조금 관찰해보면 10여년 전과 조금 달라진 모습이다. 예전에는 본인이 잊어버리고 나온 사실을 창피해하는 모습이었는데, 지금은 알면서 주위 사람들의 시선을 무시하는 느낌이다. 이 경우는 두 가지로 생각된다. 우선 타인의 시선에 대해 무관심해진 개인주의다. 지하철에서 남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젊은 연인들을 자주 목격한다. 타인의 시선과 무관하게 머리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일부러 착용하는 경우가 요즘은 더 많은 듯하다. 또 하나, 시기적으로는 대통령 탄핵 이후에 좀 더 그런 추세가 증가했다. 당시 판결을 준비하던 이정미 대법관이 출근길 헤어롤을 머리에 붙이고 출근하던 모습이 기자들에게 노출되며 장안의 화제가 되었다. 자신의 일에 몰두하는 여성의 모습으로 보였고, 이는 직무에 소홀했다고 인식되던 여성대통령과 묘한 대비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머리 스타일에 많은 시간을
경자년(庚子年)이 시작되었습니다. 새해에 좋은 일들이 가득하시고 원하시는 것들을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경자년은 천간의 경(庚:金)과 지지의 자(子:水)가 합쳐진 해이다. 지지의 자(子)는 12갑자로는 쥐에 해당하며 오행으로는 수(水)에 해당한다. 방위로는 북방이며 계절로는 겨울을 의미한다. 형상으로는 씨앗을 의미하고 행위로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천간의 경(庚)은 오행으로 금(金)이며 수의 기운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경자년은 금생수(金生水)로 천간이 지지를 생하는 해로 지지의 수기운이 매우 왕성한 해다. 동양철학으로 판단하면 경자년은 새롭게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해다. 로마신화의 시작과 끝의 신인 야누스에 해당한다. 경자년은 기존에 준비되어있지 않았거나 완성되지 않았던 일들은 모두 정리하고 마무리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60년 전 1960년 경자년에는 4.19사건이 있어서 과거를 청산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해가 되었다. 국가적으로 혼돈의 시대에 새롭게 시작하는 것은 개개인에게도 새롭게 시작하는 해가 되었을 것이다. 지나온 60년을 돌아보면 경제적으로는 국민소득 100달러인 극빈국에서 개발도상국을 지나 3만 달러로 선진국 문턱에
또 한 해가 저물고 있다. 이맘때면 늘 지나온 한해가 다사다난했다고 표현한다. 돌아보면 현실에서 언제 다사다난하지 않은 적이 있었던가? 필자 삶 속에서 가장 충격적인 해는 1980년 7월 30일이었다. 아무 생각 없이 한창 본고사 공부하던 고3이었다. 대학입시를 4개월 앞두고 저녁 7시경 속보로 본고사를 폐지당한 필자세대는 아마도 생애 가장 큰 첫 번째 충격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무지막지한 일이었지만 당시 그들에게는 대단한 일도 아니었을 것이다.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더 큰 사건들에 비하면 조족지혈인 시대였으니 가능했을 것이다. 그때부터인가 한 해의 다사다난은 기정사실이고 무사무난한 해가 왠지 이상한 느낌이 든다. 올해도 역시 다름없이 다사다난했다. 하지만 아무리 세상이 다사다난해도 필자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심각한 것은 아니다. 법무장관이 누가 되느냐보다는 세금변화가 필자에게 더 영향을 준다. 한 해를 마무리할 때마다 생각하는 것이 있다. 법무장관 사건처럼 필자의 의식과 관념 속 사건이 많았는지 아니면 집값 상승, 종부세 증가와 같은 체감 현실 사건이 많았는가를 생각해본다. 이런 것은 1997년 IMF 때부터 생긴 버릇이다. 유학생
Imagination 2015 / Egilsstadir, Iceland Nikon D800 | 85㎜ | F2 | 1/1000sec | ISO-100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영화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에서 주인공 월터 미티가 보드를 타고 내려왔던 구불구불한 산길, 바로 아이슬란드 동부의 에이일스타디르이다. 짙은 구름 아래쪽으로는 화산섬인 아이슬란드의 구릉지대가 보이고, 짙은 이끼 색 뒤편에서 또 다른 탐험가의 차 한 대를 마주할 수 있었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
요즘 20대 청년의 74%가 우리 사회는 노력해도 성공하지 못하는 사회라고 생각하고 있다. 얼마 전 인구보건복지협회가 20대 청년 1,000명(남녀 각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사회·행복, 연애·결혼, 자녀·가족에 대해 질문했고, 그중 현재 우리 사회에서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 격언의 유효성에 대한 질문에 74.0%가 ‘그렇지 않다’고 부정적으로 답했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비관적으로 답했다. 게다가 74.2%는 실제로 불공정성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그 이유는 윗세대의 부조리함, 경제력, 성별 등 순이었다. 얼마 전 우리 사회를 혼란으로 몰고 간 법무장관 사태가 단적으로 대변하는 듯한 답변이라서 씁쓸하다. ‘연애·결혼’ 부분에서 결혼에 대해서는 ‘하고 싶지 않은 편’ 39.3%, ‘절대 하지 않을 것’ 8.0%, ‘꼭 할 것’ 18.7%, ‘하고 싶은 편’ 34.0%로 긍정 52.7%에 부정 47.3%로, 절반 정도가 결혼에 부정적이었다. ‘꼭 결혼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남자 26.4%, 여자 11.0%로 여성이 더 결혼에 부정적이었다. 결혼을 꺼리는 이유로 남자는 ‘혼자 사는 것이 행복하므로’,
메타세콰이어길 2019 / Naju, Korea Nikon Z7 | 135㎜ | F6.3 | 1/80sec | ISO-64 / http://instagram.com/hansol_foto 가을의 끝자락을 나주에서 마주할 수 있었다. 고개를 한참 올려다보아야 보이는 메타세콰이어 나무가 다 떨어질 무렵 겨울이 찾아오기 시작한다. 이른 아침의 부드러운 빛은 커다란 나무 사이로 스며들었고, 짙은 붉은 색의 나뭇잎은 더 투명하게 보였다. 오한솔 치과의사이자 사진작가. 서울대치의학대학원 졸업 후 현재 화순군보건소에서 공보의로 근무 중. 재학시절 치과신문 학생기자로도 활동한 바 있다. <주요활동> 2014, 2015, 2016. 제42,43,44회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입선 2016.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사진부문 특별상 2017. 제16회 길 사진 공모전 동상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24회 대한항공 여행사진 공모전 금상 제5회 아름다운 우리국토 사진공모전 우수상 제3회 극지사진 공모전 대상 2018. 단체전 - 제10회 이탈리아 영화제 ‘이탈리아 여행사진전’ @강남 부띠크모나코 단체전 - 제6회 명동 국제아트페스티벌 룸부스전, 영상전 @명동 L7호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