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ineralization Regene ration Research Center(이하 BRRC)와 터키 Eskisehir Os mangazi 대학 생체재료학센터가 지난달 7일 MOU를 체결한 것과 관련해 최근 BioMTA 대표이자 BRRC 센터장인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이 터키 Eskisehir Osmangazi 치과대학 보존과 초청으로 강연을 펼치고 돌아왔다.강연에는 현지 치대 학생 및 전공의, 교수 등을 비롯한 200여명이 참가했으며, 유 원장은 4시간 동안 강의 및 실습을 진행했다. 유준상 원장은 다양한 증례를 통해 근관내이식법을 소개해 참석자들을 매혹시키기에 충분했고, 강의 후에는 질문세례가 이어졌다는 후문이다.BioMTA는 지난해 신흥과 업무협약을 맺은 후 국내 세미나는 물론 MTA의 해외 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한편 다음달 13일 코엑스에서 제7회 MTA 국제 포럼이 신흥과 BioMTA 공동주최로 열린다. ‘10 year Clinical Success Rate of Biofilling’을 대주제로 열리는 이번 국제포럼은 치과의사는 물론 진료스탭도 함께 들을 수 있는 강연과 핸즈온 세션이 마련돼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등록은 덴탈세미나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신동훈·이하 보존학회)가 오는 14일부터 이틀간 세종대 광개토관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 보존학의 최신 임상을 마주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개회식과 국내 연자들의 연구 발표로 꾸려질 예정인 첫 날의 학술대회는 홍삼표 교수(서울치대)가 ‘암예방법’을 주제로 한 특강으로 문을 연다. 이어 황윤찬 교수(전남치대), 박정원 교수(연세치대), 이우철 교수(서울치대)의 강연이 이어진다. 박정원 교수와 이우철 교수는 Bleaching Agent의 농도와 NiTi 전동파일의 근관내 파절에 대한 보존학회 포지션에 대한 연구 발표를 할 예정이다.둘째 날은 해외연자 특강과 필수 보수교육이 준비돼 있다. 보존학회는 이번 추계학술대회를 위해 Dr.B.I.Suh, Prof.Gary S.P.Cheung, Prof.Jacob의 강의를 준비했다. 같은 시간 컨퍼런스 룸A에서는 한동만 소장의 핸즈온 강연도 진행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대한치과의사협회 보수교육점수 4점, 대한치과보존학회 인정의 일반보수교육점수 4점과 필수보수교육점수 3점이 인정된다.◇ 문의: 02-763-3818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신흥이 지난달 7일과 14일, 21일 3차례에 걸쳐 신흥연수센터에서 ‘김샘의 엔도이야기-기본에서 답을 찾는 근관치료’ 세미나를 마무리했다. 김샘의 엔도이야기 세미나는 김현기 원장(연세휴치과)이 연자로 나서 개원의를 위한 근관치료의 실전 테크닉부터 최신 흐름까지 다루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이번 세미나에서 김 원장은 C형근관, 감염근관, 석회화근관 등 치아 형태별 근관치료의 프로토콜 수립과 빠르고 효율적인 근관 충전 방법을 제시해 호응을 얻었다. 첫 세미나에서는 올바른 근관 와동 형성 방법과 근관장 측정, Ni-Ti rotary instrumentaion의 기본 및 최신경향 등 근관치료법에 대한 기초를 다졌다. 이어 2회 차에서는 치아의 형태와 상황에 따른 근관치료 프로토콜 수립, 쉽고 빠른 근관 충전 방법을 진행했다. 이어 3회 차 마지막 세미나에서는 개원가에서 근관치료를 실패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핸즈온 시간을 통해 참석자들이 직접 가져온 치아로 충전 전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근관성형 계획을 세우고 충전 후 엑스레이를 찍어 치료 전후를 비교하는 기회를 가졌다. 신흥은 이외에도 다양한 연수회 개최를 진행할 예정이며, 연수회에 대한 공지나 일정은 덴탈세미나(
지난해 신흥과 BioMTA사가 업무협약을 맺은 후 국내 세미나는 물론 MTA의 해외 진출도 활발해 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3일 서울대 관악캠퍼스 내에 위치한 ‘Biomineralization Regeneration Research Center(센터장 유준상·이하 BRRC)와 이란 이스파한대학의 생체재료학 센터간 MOU가 체결된 바 있다. BRRC 센터장이자 bioMTA 대표인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은 이스파한치대 학장의 초청으로 3시간의 강의와 실습을 진행했다.유준상 원장은 수련의를 대상으로 한 실습에서 현지 교수진은 물론, 약 50여명의 치주과, 구강악안면외과, 보존과 등 전공의와 자유 토론을 벌여 치주조직 재생 이식재의 근관내 이식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술식을 전파했다. 특이할 만한 점은 이스파한대학이 MTA와 치주조직 재생에 관한 지난 20년간의 연구결과가 다음달 13일 코엑스에서 열리는 ‘MTA 7th International FORUM’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번 국제 포럼은 ㈜신흥과 BioMTA사가 공동 주최하는 것으로, ‘10 year Clinical Success Rate of Biofilling’을 주제로 다양한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조용범·이하 근관치료학회) 제47차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의과학연구원에서 열렸다.‘Endodontics in comprehensive dentistry’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근관치료, 근관치료 후 코어레진, 근관치료와 발치 및 보철의 경계에서 알아야 할 문제점 등을 선보였다. 근관치료학회는 이번 학술대회에 개원가의 입장을 고려, 임상에서 다뤄지는 근관치료로 세부 내용을 다뤘다.첫날 강연은 서민석 교수(원광치대)의 ‘Minimally invasive endodontics’, 이학철 원장(서울A치과)의 ‘Perio-Endo Lesions의 진단과 치료’ 등으로 진행됐다. 둘째날 진행된 세션에서는 Julian Webber 교수가 해외 초청연자로 나서 ‘Shaping the future of endodontics’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고, 김현기 원장(연세휴치과)의 ‘근관치료 실패 원인 분석’, 손원준 교수(서울치대)의 ‘Intergrating Dental Implants into Endodontic Practice’를 비롯해 총 11개의 강연이 펼쳐졌다.특히 손원준 교수는 근관치료와 임플
‘황성욱 원장 초청 SHINHUNG Composite Hands-on Course’ 연수회가 지난달 19일 신흥연수센터에서 진행됐다. ‘술 후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 레진 심미수복’을 주제로 열린 이번 연수회는 자연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심미 치료를 구현하는 방법을 공유하는 기회가 됐다.황성욱 원장(청산치과의원)은 아프지 않으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레진 치료, 심미적인 치료를 중심으로 다뤄 개원의들의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소해 주었다. 세션 1에서 황 원장은 좋은 접착재를 선택하는 노하우는 물론, 임상적용 시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 등을 공개했다. 또한 피착재에 따른 전처리 방법과 술 후 지각과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하우를 선보이기고 했다. 세션 2에서는 증례에 따른 복합 레진의 선택법, 광중합과 중합 수축에 대해 다뤘고, 세션 3, 4에서는 실전 노하우를 터득할 수 있는 실습 기회가 제공됐다.연수회에 참석한 강진영 원장(강치과의원)은 “요즘 진료의 트렌드인 빠르고 심미적인 레진 수복 치료를 한 번에 배울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말했으며, 최명희 원장(페리오플란트치과의원)은 “실습을 통해 배운 것을 바로 익히고 연자
다이아덴트(대표 류재훈)가 지난달 20일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된 ‘치아의 날’ 기념 학술대회에서 자체개발 로터리 파일 ‘Dia-PT file’과 무선 근관충전 장비를 주제로 한 세미나를 진행해 많은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세미나는 진명욱 교수(경북치대)의 ‘좁고 만곡된 근관에서 효율적인 Ni-Ti 파일의 사용법’에 대한 강의와 핸즈온 코스로 진행됐다. 특히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로터리 파일의 최신 테크닉 강의에 참석자들이 자리를 가득 메웠다. 참석자들은 강의와 함께 무선 근관충전기 ‘Dia-Pen과 Dia-Gun’을 활용한 근관 충전 실습 기회를 가졌다.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조용범·이하 근관치료학회)가10월 17일부터 이틀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의과학연구원에서 제47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이번 학술대회는 Endodontics in comprehen sive dentistry를 주제로 근관치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볼 수 있는 강연들로 구성됐다. 총 16명의 연자가 나서는 학술대회는 서민석 교수(원광치대)의 ‘Minimally invasive endodon tics’로 문을 연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는 근관치료에 대한 진단과 치료 외에도 대한치과의사협회 이강운 법제이사가 연자로 나서 ‘근관치료와 관련된 분쟁,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의료 분쟁에 대한 고충 처리에 관해 명쾌하게 해소해줄 계획이다.해외연자 초청강연도 마련됐다.Julian Webber (Harley Street) 박사가 ‘Tru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 single file NiTi’강연과 함께 핸즈온 실습도 준비하고 있어 학술대회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 예정이다. 근관치료학회 포스터 발표는 18일 의과학연구원 1층 로비에서 전시된다.사전등록은 오는 12일까지며, 대한치과의사협회 보수교육 점
‘신흥 MTA Biofilling 근관내이식술 세미나’ 대표 연자이자 Bio MTA사 대표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이 지난 8월 22일 대만 Taipei Veterans General Hospital 학술회에서 MTA강연을 펼쳤다. 유 원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OrthoMTA와 RetroMTA 등 MTA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더불어 다양한 임상증례를 통해 MTA 재료 및 기구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학술 강연은 200여명의 대만 치과의사들이 참여했으며, 10여개의 세션이 동시에 진행됐다. 그중 유준상 원장의 MTA 강연장은 대만 현지 치과의사들로 가득 채워졌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유 원장은 OrthoMTA 성공률 통계를 우선 살피고, 오전에는 OrthoMTA Rationale, 제거법, indication 등을 설명했다. 이어진 오후시간에는 RetoMTA Rationale, indication, 임상케이스를 알아보는 등 총 6시간 동안 강연을 펼쳤다.대만 근관치료학회(中華民國牙齒病學會)의 주 연자로 초청받아 강연에 나선 유 원장은 이번 강연을 통해 OrthoMTA와 RetroMTA등 MTA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더불어 다양한 임상증례를 통해 M
신흥이 다음달 7일부터 21일까지 3회에 걸쳐 ‘김샘의 엔도이야기-기본에서 답을 찾는 근관치료’ 세미나를 신흥연수센터에서 개최한다. 김현기 원장(연세휴치과)이 연자로 나서는 이번 연수회는 강연과 핸즈온 실습을 통해 직접 근관치료의 기본기와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한 유용한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김샘의 엔도이야기’ 세미나는 매회 정확하고 실용적인 근관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써 확실하고 안정적인 솔루션을 얻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김현기 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근관치료의 기본을 되짚어보면서 어렵게 느낄 수 있는 근관치료에 대해 이론부터 실전 테크닉까지 폭넓은 노하우와 핵심 팁을 공유할 예정이다.김 원장은 “근관치료가 어렵게 느껴질수록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수생들이 세미나를 통해 근관치료에 대한 기본기를 탄탄히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첫 세미나가 열리는 다음달 7일에는 올바른 근관 와동 형성 방법과 근관장 측정에 대해 알아보고, Ni-Ti 파일의 기본 및 최신 경향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된다.◇문의 : 080-801-1577~8신종학 기자 sjh@sda.or.k
염지완 교수(부산치대 치과보존과)의 SB 근관치료 핸즈온 세미나가 다음달 24일부터 11월 1일까지 총 4회에 걸쳐 부산 센텀글로벌현미경센터에서 열린다.근관치료의 진단부터 와동형성, 근관성형 및 세정, 근관충전 이후 포스트 수복까지 모두 다루는 세미나는 개인별 현미경과 핸드피스, 나이타이엔진, 초음파기구를 이용해 효율적인 실습이 되도록 준비됐다. 4회에 걸친 세미나는 와동형성의 원리, 근관장측정, 근관성형, vital pulp therapy, 근관세정, 근관충전, MTA, 근관치료 후 수복의 내용으로 다뤄지며 이후 개인별 실습이 준비돼 효율을 높일 예정이다.등록은 선착순 10명에 한하며, 사전에 준비물은 자연치 10개 이상 또는 대구치 5개 이상을 준비해야 한다.염지완 교수는 “개원가에서 근관 치료는 피할 수 없는 영역인 만큼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쉽게 응용할 수 있도록 실습 위주로 진행된다”고 말했다.◇ 문 의 : 051-743-0012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충전의 시대에서 이식의 시대로’를 모토로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전국 곳곳에서 종 17회에 걸쳐 순회 강연이 진행된 ‘MTA Biofilling 근관내이식술’ 세미나가 경기도 성남과 서울에서 다시 열린다. 오는 19일에는 성남아트센터에서, 다음달 21일에는 신흥연수센터에서 다시금 그 열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특히 이번 세미나는 BioMTA사 대표인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을 비롯해 이유상(유치과병원), 태경석(이쎈치과), 유창선(유플러스치과), 김태성(서울N치과), 허준성(맑은향기치과), 정태익(안앤정치과), 박진희(바른정치과), 우상빈(행신이사랑치과), 강현석(안산미소담치과), 차광준(서울행복한치과), 오여록(리오치과), 신준세(인덕원신준세치과), 오진욱(공단임플러스치과), 안정훈(안앤정치과) 원장 등 지난 순회 세미나에 참가한 BioMTA 유저들이 모두 연자로 다시 한 번 서게 된다. 이들 BioMTA 유저들은 BTA(Bioceramic Trioxide Aggregate)의 기본 개념과 근관이식재로서의 원리에 대해 소개하고, 임상 증례를 통해 참석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유저와 함께 2:1로 진행하는 데모와 핸즈온을 직접 담당해 참석자들에게 보다
개원의가 ‘꼭’ 알아야 할 임상 세미나가 개원의들을 찾아간다.한국접착치의학회가 주최하고 덴츠플라이코리아가 후원하는 ‘임상의를 위한 임상 ABC 세미나’가 다음달 11일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지하 1층 강당에서 개원의들과 만난다.‘개원의가 꼭 알아야 할 임상’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세미나는 분야별로 댜앙한 연자로 구성돼 한껏 기대를 높이고 있다.연자로는 근관치료 파트에 김의성 교수(연세치대), 직접수복 및 접착 분야에 최상윤 회장(한국접착치의학회), 교정치료는 고범연 원장(고범연치과)이 각각 강연을 준비 중이다. 3명의 연자는 개원의들을 대상으로 하는 엔도와 직접수복과 접착, 교정에 대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개원을 준비 중이거나 치료 술식을 업그레이드 하고 싶은 개원의라면 절호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의 : 010-2650-7887한지호 기자 jhhan@sda.or.kr
(주)신흥이 지난 2월부터 서울을 시작으로 주최한 ‘MTA Biofilling 근관내이식술 Tour Seminar’가 지난달 총 17회에 걸쳐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세미나는 서울을 시작으로 대전, 인천, 파주, 순천, 목포, 안양, 진주, 강릉, 광주, 원주, 대구, 창원, 전주, 부산 등 전국 각지에서 진행됐다. ‘충전의 시대에서 이식의 시대로’라는 주제로 열린 MTA세미나에서는 치과의사는 물론 치과위생사 세션도 함께 진행됐다.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한 Basic course에서는 MTA에 대한 기본개념, Ortho MTA, Retro MTA에 대한 개념 정리, 임상 적용 증례, 근관내 이식술에 대한 개념 및 적응증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다. 또한 단근관 Biofilling과 기구관리 소독법에 대한 hands-on 실습과 질의응답을 통해 열띤 강연이 이어졌다. 치과위생사를 위해 마련된 세션에서는 근관내 이식술에 대한 개념을 비롯해 장기 임상 증례, 보험 청구법과 환자 상담법 등 치과위생사를 위한 강연이 진행됐다. 이외에도 핸즈온 코스가 마련돼 단근관 Biofilling과 기구관리 소독법에 대해 직접 실습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이어졌다. MTA Tour
시술 후 부작용 등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심미수복 컨셉으로 관련 임상과 세미나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는 황성욱 원장(청산치과)이 또 다시 업그레이드 된 임상 케이스를 기반으로 세미나를 펼친다. (주)신흥은 오는 9월 19일 신흥연수센터에서 ‘황성욱 원장 초청 SHINHUNG Composit Hands-on Course’를 진행한다.황 원장은 컴포짓 핸즈온 코스를 통해 임상 술식과 재료들에 대한 최신 정보를 총망라해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복합레진 심미수복의 기본개념부터 실전임상 팁까지 한 번에 마스터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황성욱 원장은 이번 연수회에서도 ‘술 후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레진 심미수복’에 대한 노하우를 전수할 예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황성욱 원장은 “환자들이 가장 관심 있는 것은 ‘아프지 않는 치료, 신속한 치료, 치아를 많이 삭제하지 않는 치료, 심미적인 치료’다”며 “자연 치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최상의 심미적인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복합 레진 수복 치료’는 개원가에서 항상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치료 방법”이라고 강조했다.황 원장은 먼저 ‘나는 지금 증례에 맞게 접착제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가?’를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