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에 있을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김세영·이하 치협) 제29대 회장단 선거는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정기대의원총회와 함께 열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간 치협 총회 및 선거는 지방에서 개최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치과의사회관에서 진행돼 왔다. 지난 10일 대구에서 열린 임시 지부장협의회는 치협 선거관리규정과 전문의제도 개선안 등 각종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치협 안민호 총무이사는 선거관리 규정과 관련해 정관및제규정개정특별위원회에서 결정된 사항을 보고했다. △선거인단은 2012년 협회비를 2014년 2월까지 완납한 자 기준 △선거기탁금 5,000만원 △대의원총회와 선거인단 투표는 동일 장소에서 진행 등을 설명한 안민호 이사는 “선거인단은 1,200~1,300여명으로, 장소임대료와 선거인단 경비 등을 고려하면 직접 경비 1억5,000만원을 포함해 총 2억5,000만원 정도 집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회장출마 예정자의 사전 선거운동과 관련해 현실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경기지부 전영찬 회장은 “한 달로 규정된 선거운동기간은 후보자들의 정책이나 비전을 검증하기에는 짧기 때문에 예비후보 제도 등을 도입해 전 회원을 대상으로 선거운동이 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지부 정철민 회장도 “과거에도 암묵적으로 사전 선거운동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문제제기가 있는만큼 합법적인 테두리 내에서 선거운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치과계 일각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입후보자 기탁금 5,000만원에 대해서 안민호 총무이사는 “유관단체와 비교했을 때 기탁금이 많다는 의견도 있지만 타 단체는 후보자의 기탁금과 등록비를 따로 받기 때문에 이를 포함할 경우 우리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이해를 촉구했다.
이외에 전문의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지부장들의 심도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치협 대의원총회 산하 치과의사전문의제도개선안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서울지부 정철민 회장은 특위에서 도출된 안에 대한 장단점을 설명했다. 정철민 회장은 “특위에서 장시간 논의했지만 서로의 이해가 극명하게 엇갈려 단일안을 도출할 수 없었다”며 “특위에서 제출한 3가지 안에 대해 일선 회원들이 충분하게 인지하고 총회에 회원들의 정서가 전달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이날 지부장협의회에서는 내년 치협 회장단 선거를 앞두고 전문의제도가 정치적으로 이용돼 또 다시 치과계가 사분오열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임총 개최여부가 최우선 화두로 떠올랐다. 지부장들은 내년 4월 치협 총회에 복수안이 상정된다면 여러 정황상 제대로 된 논의가 힘들 수 있어 임총을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과, 오히려 무의미한 논의의 반복과 임총은 빨라야 1월 이후가 되기 때문에 임총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임총 개최 여부를 묻는 무기명 비밀투표에서도 참석 지부장 13인 중 반대 7표, 찬성 6표로 최종 부결됐지만, 결국 임총 개최 여부는 치협 이사회에서 최종 결정키로 했다.
한편, 이날 지부장협의회에서는 치협 정관개정을 통해 여자치과의사회를 규정에 포함시키는 안 등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내년 1월 지부장협의회에서 입장을 정리키로 했다.
김희수 기자 G@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