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MTA 대표인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이 지난 7일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서 진행된 경기도치과의사회 보수교육에서 강연을 펼쳤다. 이날 보수교육은 ‘MTA를 이용한 비수술적 치아 보존술’을 주제로 열려 경기지부 회원 100여명이 참석했다. 유준상 원장은 ‘Vital pulp 치료법’에 대한 임상술식 소개와 함께 성공률에 대한 SCI 저널 결과 등을 다뤘다. 또한 유 원장은 기존 MTA와 BTA(Bioceramic trioxide aggregate)를 이용한 근관치료의 차이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해 참가자들의 이목을 집중 시켰다. 이번 강연에 대해 한 참가자는 “자연치아 살리기를 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한 매우 보람있는 강의였다”고 평가했다. 유준상 원장은 “이번 보수교육에 연자로 초청해준 경기지부 측에 감사하다”며 “앞으로도 자연치아 살리기를 주제로 다양한 강연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sjh@sda.or.kr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김의성·이하 근관치료학회) 제52차 춘계학술대회가 다음달 1일 서울성모병원 의생명연구원 2층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위한 최신지견 공유’를 주제로, 저명연자의 폭넓은 강연이 펼쳐진다. 먼저 오전 시간을 채울 ‘적절한 근관형성을 위한 당신의 선택을?’ 주제로 한 세션에서는 △NiTi file 사용의 모든 것(최성백 원장·파스텔치과) △근관치료의 최고의 무기 hand files(곽영준 원장·연세자연치과) △개원가에서 터득한 엔도 팁(유기영 원장·서울탑치과) △NiTi file이 root crack을 만들 수 있나(곽상원 교수·부산치대)의 강연과 패널토의가 이어진다. ‘MTA 사용의 최신지견’을 다루게 될 두 번째 세션에서는 송민주 교수(단국치대), 손원준 교수(서울치대), 금기연 교수(서울치대)가 연자로 나설 예정이다. 근관치료학회는 점심시간을 활용한 런치세미나도 기획하고 있다. 최근 소개된 제품을 직접 사용해보고 실습해볼 수 있는 핸즈온 프로그램으로, 별도의 비용 없이 선착순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개방해 보다 풍성한 학술대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연자와 참가자가 소통하는 학술대회’를 표방하며, 강연주제에 대
바이오MTA 대표이자 신개념 근관내이식술 관련 활발한 교육활동을 펼치고 있는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이 지난 17일 일본 개원의들의 초청으로 일본 현지에서 MTA 핸즈온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유준상 원장과 일본의 다카다 선생이 메인 연자로 나섰다. 다카다 선생은 ‘Vital pulp therapy’에 대한 이론 강의를 펼쳤고, 이어 유준상 원장은 ‘MTA Monoblock’에 대해 다뤘다. 유 원장은 약 3시간에 걸쳐 이론은 물론 핸즈온 교육을 진행했다. 바이오MTA사가 개발한 RetroMTA는 지난 2014년부터 일본 내 판매 허가를 받은 바 있다. 따라서 이번 세미나는 빠른 경화시간을 가진 RetroMTA의 개발자와 유저가 실제 임상케이스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의견을 교류했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컸다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유준상 원장은 “해외에서 MTA 단일 재료를 가지고 세미나를 진행한 것은 처음”이라며 “일본 현지 치과의사들이 MTA를 활용한 치과진료에 대해 많은 관심과 적극적으로 접근하려는 것에 놀랐다. 앞으로도 자연치아를 살리는 술식 및 재료 개발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김현철 교수가 제5회 Pan Arab Endodontic Conference(이하 PAEC)에서 초청연자로 강연을 펼쳤다. 지난 5~7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PAEC는 세계근관치료학회(IFEA WEC), 미국근관치료학회(AAE), 유럽근관치료학회(ESE)이어 아시아태평양근관치료학회(APEC)와 함께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 전체가 모이는 대규모 학회다. 이번 대회에도 30여개국 2,400여명이 참가했다. 이 가운데 아시아 연자로는 유일하게 초청된 김현철 교수는 ‘Biologic failure vs. Mechanical failure of Endodontic treatment’를 주제로 강연, 큰 호응을 얻었다. 니켈티타늄 파일에 관한 선도적인 연구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주목받고 있는 김 교수. 지난 4월에는 인도에서 열린 APEC에서도 초청강연을 선보인 바 있다. PAEC에서는 오는 10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세계근관치료학회 홍보도 활발하게 진행됐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김의성)가 유치한 세계대회로, 이번 달 15일부터 홈페이지(www.ifea2018korea.com)를 통해 조기등록과 초록 접수가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레이스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박동성·이하 근관치료학회) 제51차 추계학술대회가 다음달 21~22일 서울아산병원 동관 6층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근관치료 분야의 난제 해결-의학적, 치의학적 질병 연관 증례(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in Endodontics)’를 주제로, 국내외 저명 연자들이 대거 강연에 나선다. 특히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근관치료와 전신질환의 관련성을 논의하는 장이 될 것으로 벌써부터 기대를 모은다. 학술대회 첫날인 21일에는 △감명환 교수(서울대치과병원 마취과)의 ‘Non odontogenic toothache’ △송재관 교수(울산대의대 서울아산병원심장내과)의 ‘심내막염 최신지견’ △김선종 교수(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의 ‘약물 관련 턱뼈괴사증 Management 현재와 미래’ 강연이 진행된다. 심장판막질환의 권위자인 송재관 교수의 강연을 들을 수 있는 신선함은 물론, MRONJ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는 김선종 교수의 강연을 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또한 20여편의 근관치료학 관련 포스터 전시 및 심사, 핸즈온은 물론 근관치료학회 총회도 첫날 예정돼 있다. 둘째 날인 22일에는 대강당과 소강
대한근관치료학회(회장 박동성·이하 근관치료학회)와 일본근관치료학회(일본치내요법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제14회 한일근관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가 지난달 22~23일 일본 동경치과대학에서 펼쳐졌다. 근관치료학회는 20여명의 대표단을 파견해 학술발표 및 대표단 회의에 참여했으며, 내년에 개최되는 ‘제11차 세계근관치료학회연맹 학술대회(IFEA WEC 2018)’ 홍보에도 박차를 가했다. ‘Reconfirmation of diagnosis in endodontics’를 대주제로 진행된 학술대회에서는 고현정 교수(아산병원)가 초청연자로 한국을 대표했다. 고 교수는 ‘Considerations for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cracked teeth’를 주제로 강연, 호평을 얻었다. 대표단 회의에서는 공동연구 추진에 대한 논의, IFEA WEC 2018 홍보 협력방안 등이 다뤄졌다. 특히 일본의 29개 치과대학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했다. 근관치료학회 박동성 회장은 “공동학술대회를 통해 한-일 양국 차세대 리더들이 공통 과제를 발견하고, 아시아를 넘어 세계 근관치료 분야를 이끄는 리더로 함께 성장하길
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회장 박동성·이하 근관치료학회)가 ‘제11차 세계근관치료학회연맹 학술대회’(이하 IFEA WEC 2018) 준비를 위해 미국치과근관치료학회 학술대회에 참석, 열띤 홍보에 나섰다. IFEA WEC 2018은 ‘Endodontics: The Utmost Values in Dentistry’를 주제로, 내년 10월 4일부터 7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세계대회를 유치한 근관치료학회는 대내외 홍보는 물론 행사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4월 26일부터 29일, 미국 뉴올리언즈에서 열린 미국치과근관치료학회 학술대회에 조직위원회가 직접 현장을 찾았다. 약 4천여명이 참석한 본 대회 참석 기간 중 부스 홍보를 운영하는 것은 물론, IFEA 총회 참석, 아시아태평양치과근관치료학회-미국근관치료학회 합동 미팅 일정을 소화했다. 총회 및 합동 미팅에서는 IFEA WEC 2018의 대회 준비 경과를 발표하고, 각 국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조를 요청하는 시간도 가졌다. IFEA WEC 2018 조직위원회는 4일간 1,000여명의 참석자가 홍보부스를 방문했고, 이 가운데 100여명이 뉴스레터 구독을 신청하는 등 홍보효과가 높았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문화
(주)신흥이 지난달 5일부터 26일까지 총 4회에 걸쳐 신흥연수센터에서 ‘김샘의 엔도이야기-기본에서 답을 얻다’ 세미나를 진행했다. 김현기 원장(연세휴치과)이 연자로 나선 이번 세미나에서는 치아별 치근관 형태 분석부터 근관치료의 트렌드를 짚어보고, 치아 형태별로 접근할 수 있는 실용적인 근관치료 프로토콜, 근관충전 방법 등에 대한 이론과 핸즈온 실습 등이 이뤄졌다. 기본을 중요시하는 김 원장의 강의는 이번에도 근관치료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이를 토대로 전반적인 프로토콜을 세우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세미나 참가자들은 실습을 통해 실전 감각까지 일깨울 수 있었던 계기가 됐고, 엔도 임상과 시술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다. 이번 세미나 참석자 전원에게는 김현기 원장의 저서 ‘개원의를 위한 찾아가는 근관치료 핸즈온’이 증정됐으며, TFA File, K3XF File 등을 추가로 증정했다. 실습에서 사용된 엔도모터 TF Adaptive Motor 제품에 대한 문의 또한 이어졌다. ◇문의 : 080-801-1577,8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김철수·이하 치협)가 공중보건의를 대상으로 첫 임상 아카데미를 개최한다. 오는 6월 17일 치과의사회관 5층 대강당에서 진행될 임상 아카데미는 다수의 공중보건의가 임상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보건의료시설 및 농어촌 지역 복지시설 등에 종사함에 따라 공중보건의의 임상 직무교육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어 이에 따른 공중보건의 임상 능력 함양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치협 공공군무위원회 담당으로 진행될 이번 임상 아카데미의 참가비는 무료이며, 신동렬 원장(강남루덴플러스치과)이 ‘쉽게 따라하는 근관치료 핸즈온’을 주제로 강연하게 된다. 오후 3시부터 등록과 함께 진행될 임상 아카데미는 이론 강연 3시간, 핸즈온 실습 1시간으로 구성됐으며, 핸즈온은 선착순 35명으로 한정한다. 치협 관계자는 “앞으로도 환자 진료를 시작하고, 사회에 첫 발을 내딛게 되는 새내기 치과의사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참여 기회를 증대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공중보건의들의 관심과 참여를 촉구했다. 최학주 기자 news@sda.or.kr
신흥이 다음달 17일과 18일, 그리고 24일과 25일 총 4회에 걸쳐 생각하는 근관치료, 고민의 과정‘ 세미나를 개최한다. 곽영준 원장(연세자연치과)이 연자로 나서고 유일상 교수(아주대병원)와 신요한 원장(연세웃는아이치과)이 패컬티로 참여하는 이번 세미나는 근관치료의 실질적인 성공 노하우를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첫 세미나가 열리는 다음달 17일에는 ‘왜 근관치료가 어려운가?’라는 화두를 던지고, △Hand file-아는만큼 보이는 근관치료 △상악 제1대구치 △증례를 통한 근관치료 난이도 예측하기 등을 다양한 동영상을 통해 다룰 예정이다. 또한 발치된 치아를 이용한 핸즈온 실습으로 실전 노하우를 공유하게 된다. ‘근관치료의 핵심 기초는 무엇인가?를 주제로 다루는 2회 차에서는 놓치기 쉬운 근관치료의 진단과정 및 감별진단을 비롯해 △근관치료 기초 보강-멸균, 국소마취, 러버댐 & 엔도 X-ray △access opening의 새로운 개념 및 wall constructions 방법 등이 진행된다. 3회차 세미나에서는 ‘나만의 근관치료 프로토콜 만드는 법’을 통해 NiTI 파일을 이용한 근관치료 프로토콜을 소개하고, canal irrigatio
대한근관치료학회(회장 박동성·이하 근관치료학회)가 지난 4일부터 8일, 인도 델리에서 개최된 제19회 아시아태평양근관치료학회연맹(Asian Pacific Endodontic Confed eration·이하 APEC)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박동성 회장을 비롯해 경북치대 김성교 교수, 조선치대 황호길 교수, 아산병원 김미리 교수, 부산치대 김현철 교수, 원광치대 서민석 교수와 전공의들이 동행했다. 김현철 교수는 Keynote speaker로 초청돼 강연을 진행했고, 서민석 교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연자로서 청중들을 만났다. 두 교수의 강연에는 청중들의 관심이 집중됐고 질의응답이 이어지기도 했다. 또한 APEC 회원국 대표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김현철 교수가 APEC Secretary로, 김의성 교수(연세치대)가 Councillor로 임명되는 등 국제무대에서의 근관치료학회 역량을 과시했다. 특히 근관치료학회 대표단은 내년 10월 4일부터 7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인 세계근관치료학회연맹 주관의 11차 세계근관치료학회(WEC) 홍보를 위해 발로 뛰었다. 홍보부스를 설치하고, 아시아 각국의 학회 참가자들을 찾아갔으며, 서울대회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
덴탈위즈덤이 ‘8인 8색 근관치료 이야기Ⅱ’를 출간했다. 이 책은 지난 2015년 출간과 동시에 많은 사랑을 받았던 ‘8인 8색 근관치료 이야기’에 이른 후속편으로, 1편에서 다뤘던 임상에서의 접근법이 실제 임상 상황에서는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와 같은 구체적인 증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편에서는 근관치료의 36가지 질문에 대한 각각 다른 관점에서의 다각적 접근 방법을 다뤘다면, 2편은 1편에 담긴 8인 저자들의 이론이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실현되었는지, 그 치료법과 예후를 담고 있어 독자가 보다 더 흥미롭게 도서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김의성 교수(연세치대 보존과), 김평식 원장(초이스치과), 김현철 교수(부산치대 보존과), 라성호 원장(서울미소치과), 신동렬 원장(강남루덴치과), 이동균 원장(목포미르치과병원), 최성백 원장(파스텔치과), 황성연 원장(목동사람사랑치과) 등 총 8인의 APEX 멤버들이 저자로 참가, 평소 저자들이 연구와 강연 등을 통해 쌓아온 임상 토론 내용을 담았다. 공동저자인 APEX 멤버들은 “1편과 2편을 준비하면서 APEX 8인의 특색이 각각 담긴 다양한 진단과 치료계획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 가며
신흥이 다음달 30일과 6월 27일 2회에 걸쳐 ‘MTA Biofilling 근관내이식술-충전의 시대에서 이식의 시대로’ 베이직 코스를 진행한다. 또한 오는 26일과 6월 20일에는 어드밴스 코스가 이어질 예정이다. 바이오엠티에이 대표인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이 연자로 나서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근관치료의 신개념인 바이오필링 근관내이식술에 대한 기본 개념부터 실전 임상 노하우 그리고 이식재의 제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다룬다. 먼저 베이직 코스에서는 ‘MTA monoblock을 해야 하는 이유’를 우선 점검하고 △쉽고 빠르게 MTA monoblock 근관내이식술 △근관내이식술 10년 임상통계 △MTA Biofilling △기구관리 및 제거법 등을 다루게 된다. 또한 어드밴스 코스에서는 MTA biofilling 관련 다양한 임상 케이스가 소개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 등록은 인터넷 덴탈세미나 사이트(www.dentalseminar.co.kr)에서 온라인으로 등록하면 되고, 덴탈비타민 회원은 등록비가 할인된다. ◇문의 : 080-801-1577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덴츠플라이시로나코리아(대표 김기업)가 지난 15일 큐어메디 세미나실에서 엔도 핸즈온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김평식 원장(초이스치과)이 연자로 나서 ‘구치부 엔도 치료를 위한 효율적인 접근’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김평식 원장은 “구치부는 만곡이 심한 근관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전략적인 접근이 필수적”이라면서 세미나를 통해 구치부 근관형성 시 실패율을 줄이고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선택해야 할 Ni-Ti 파일을 소개했다. 또한 김 원장은 각 제품의 특성을 비교해 임상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팁을 제공했다. 특히 핸즈온 실습에서는 PROTAPER NEXT을 이용해 만곡이 심한 근관을 다루는 노하우를 전수했다. 김 원장은 “PROTAPER NEXT는 향상된 유연성으로 임상의 거의 모든 케이스를 다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세미나에서는 구치부 수복에 특화된 레진 제품인 SDR을 이용해 엔도 후 수복 핸즈온을 진행, 김 원장은 벌크 필이 가능하고, 흐르는 물성을 강화한 SDR로 보다 손쉽게 구치부 수복을 하는 노하우를 공유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한 원장은 “그 동안 까다로웠던 NiTi 파일 선택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팁을
BioMTA 대표인 유준상 원장(유치과병원)이 지난 10~12일 말레이시아 MAHSA치대에서 열린 ‘MAHSA International Restodontic Conference’에서 초청 강연을 펼쳤다. 이번 컨퍼런스는 치아 보존 관련 8명의 연자들이 다양한 주제로 강연을 펼쳤고, 현지 교수 및 개원의 등 500여명의 치과의사가 참석했다. 초청연자로 나선 유준상 원장은 ‘MTA Monoblock Ob turation & 10-year Clinical Outcomes’를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그는 Bioceramic을 이용한 신개념 근관충전 Biofilling 술식 개념을 설명했다. 유준상 원장은 강연 전 별도의 워크숍을 통해 직접 핸즈온을 진행, 현지 치과의사들에게 BioMTA사 제품의 특장점 및 임상케이스 분석자료 등을 제시하고, 임상토론을 이어갔다. 유준상 원장은 “말레이시아 내에서 MTA를 활용해 자연치아를 보존하려는 관심에 놀랍고 감사하다”며 “MTA Monobolck 컨셉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sjh@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