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진 교수 정년기념 학술대회’를 표방한 ‘2018 SNU 구강악안면외과 학술대회’가 지난 10일 그랜드워커힐 코스모스홀에서 개최됐다. 서울대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최진영 주임교수는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34년 간 재직하면서 대학과 병원, 그리고 학회를 통해 구강악안면외과학 발전에 이바지하고 연구와 진료, 후학양성에 매진해온 김명진 교수의 정년을 기념하는 자리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악기형 환자에서의 골신장술의 응용(팽준영 교수·경북치대) △턱교정 수술과 턱관절 장애(이부규 교수·서울아산병원) △CT와 3D 스캐너를 이용한 턱교정 수술의 3D 시뮬레이션 비교(임구영 원장·헵시바치과) △상악동 골증강술의 최신지견-수압거상시스템의 강력한 영향력(조용석 원장·Dentalbean.com) △임플란트 수술 중 발생한 하치조신경 손상의 Nerve sliding technique을 이용한 수술적 접근 및 결과(이종호 교수·서울치대)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진행됐다. 또한 김명진 교수가 독일 연수시절 인연을 맺은 Friedrich W. Neukam 교수(Universit at sklinikum Erlangen)가 특강을 펼쳐 관심을 모으기
‘2018 SNU 구강악안면외과 학술대회’가 3월 10일 그랜드워커힐 서울 코스모스홀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김명진 교수의 정년을 기념하는 학술대회로 더욱 의미를 더하고 있다. 김명진 교수는 대학과 치과병원, 학계, 그리고 봉사활동까지 구강외과의로서 폭넓은 활동을 해왔고, 후학들의 존경을 받아왔다. 이번 학술대회는 턱교정 수술, 임플란트 관련 연제가 준비됐다. 연자로는 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의국 동문과 교수, 그리고 독일 연수시절 남다른 인연을 맺은 에르랑겐의 Neukam 교수가 초청됐다. 김명진 교수도 ‘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로서의 나의 발자취와 미래 발전방향’을 주제로 기념 강연을 펼친다. △악기형 환자에서의 골신장술의 응용(팽준영 교수·경북치대) △턱교정 수술과 턱관절 장애(이부규 교수·서울아산병원) △CT와 3D 스캐너를 이용한 턱교정 수술의 3D 시뮬레이션 비교(임구영 원장·헵시바치과) △상악동 골증강술의 최신지견-수압거상시스템의 강력한 영향력(조용석 원장·Dentalbean.com) △임플란트 수술 중 발생한 하치조신경 손상의 Nerve sliding technique을 이용한 수술적 접근 및 결과(이종호 교수·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지난 9일 서울 양재동 더 케이호텔에서 ‘2018년 리더십 워크숍’을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전공의 수련제도와 전문의 연수교육에 관한 향후 발전적 전략모색’을 주제로 열렸다. 김철환 이사장은 “전공의 수련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어왔다”며 “여러 여건상 논의에만 머물고 있었는데, 이제는 진지하게 고민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워크숍에서는 먼저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수련고시위원회 홍성옥 기획이사가 전문의 시험출제 경향과 각 대학별 전공의 교육 현황에 대해서 발표했다. 이어 치협 수련고시이사를 맡고 있는 안형준 교수가 기수련자들의 전문의 제도 관련 법령들에 대한 설명과 함께 현재까지 이뤄진 전문의 시험의 출제 양상과 개선점에 대해서 다뤘다. 대한내과학회 수련이사인 엄중식 교수는 30년 전에 만들어진 케이스별 전공의 교육과정을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 탈바꿈 시킨 노하우와 앞으로의 개선방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유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지난달 27일 고려대 의과대학 유광사홀에서 ‘2018 Midwinter Focus Meeting’을 개최했다. 이번 강연회에는 총 9명의 연자가 3개 세션에 나서 임상에 바로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먼저 박원서 교수(연세치대)는 ‘나의 처방 리스트’를 주제로 치과외래에서 사용하는 약물에 대해 정리해 주었으며, 김항진 원장(사랑이아프니치과)이 최근 개원가에서 관심이 높은 사랑니 발치를 중심으로 ‘The wise wisdom tooth extraction-동의서부터 보험청구까지’를 주제로 강연해 호응을 얻었다. 이어 박창주 교수(한양대병원)와 염문섭 원장(서울탑치과)이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에 대해 강연했다. 김경원 원장(오스템 교육연구원)은 ‘상악동골이술 합병증 어떻게 예방할까?’ 주제로 상악동 골이식술의 노하우를 전수했고, 권긍록 교수(경희치대)는 ‘임플란트 치료에 보철계획의 중요성’을 강연했다. 또한 김선종 교수(이대목동병원)가 ‘MRONJ 최신지견’ 주제로 본인의 수술 노하우와 연구실험 결과에 대해 발표했으며, 오상윤 원장(아크로치과)이 ‘골이식 실패 그 이후’를 주제로 강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회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와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회장 박영욱·이하 악성재건외과학회)가 주최하고 구강암연구소(소장 최성원)와 가톨릭대학교 응용해부학연구소가 주관한 ‘2018 Cadaver Work shop’이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연세대 유일한 홀 및 가톨릭의대 응용해부연구소 실습실 등에서 진행됐다. 이번 사체해부실습 연수회는 안면 영역의 재건과 구강암 등에 대한 재건 및 성형재건에 관한 두경부 해부학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전신에 걸친 해부학적 전문적 재건 수술을 섭렵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구강악안면외과학회 김철환 이사장은 “카데바 워크숍은 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들의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수련과정 필수 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향후에는 전문의 중심으로 지속교육을 프로그램화할 계획이고, 구강암과 안면미용성형수술, 양악수술 등 다양한 주제로 카데바 연수회를 기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회장 박영욱·이하 악성재건학회)와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지난해 12월 17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제2회 턱얼굴 미용수술 연수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회는 지난해 6월에 열린 ‘안면미용을 위한 보톡스 필러시술 연수회’에 이은 두 번째 시간으로 관심 있는 개원의 및 전공의 등이 참여했다. 주최 측은 “얼굴 부위의 수술이 주를 이루는 악안면성형재건외과 영역에서의 수술은 심미적인 결과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어, 미용 수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따라서 이번 연수회는 미용치료를 포함하고 있는 구강악안면외과적 측면보다 심미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미용치료에 대한 지견을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두 학회는 이론보다는 임상 위주의 턱얼굴 미용수술연수회를 필수 교육으로 운영, 매년 2회에 걸쳐 정기적으로 연수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총 34명이 참가해 필러 치료와 입체적인 얼굴을 위한 안면 이식재를 이용한 수술, 그리고 흡수성 실의 콜라겐 재생효과를 이용한 얼굴 리프팅에 대한 강좌와 실습이 진행됐다. 관계자는 “연수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안면성형재료를 이용한
대한구강암연구소(소장 최성원·이하 구강암연구소)가 주관하고,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주최한 2017년도 제2차 구강암증례토론회가 지난 3일 단국대학교 약학대학 종합강의실에서 진행됐다. 이번 증례토론회에는 70여명의 구강악안면외과 전공의 및 전임의, 교수들이 참석했다. 구강암증례토론회는 구강암연구소가 매년 2회씩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학술행사로, 다양한 구강암 치료 증례를 발표하고, 이를 통해 최신 구강암 치료전략을 간접 경험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 이번 2차 증례토론회에서는 전영태, 김호준, 이준상, 박상윤, 민승기, 하현빈, 손정완, 백범주 등 8명의 연자가 △구강으로 전이된 타부위 암종 △악골골수염과 감별진단 증례 △구후삼각부의 구강암 증례 △특수한 구강암 경우에 있어 유도항암치료 치험례 △Li-Fraumeni 증후군 환자의 구강암 증례 △악관절에 발생한 연골육종 증례 △편평태선의 구강암 변이 증례 등을 발표했다. 또한 박주용 교수(국립암센터)와 남웅 교수(연세대치과병원)가 각각 ‘Conventional modified neck dissection with harmonic scalpel’과 ‘Endoscopic
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이영준·이하 양악수술학회)가 지난 18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2017 회원 학술집담회’를 가졌다. 이번 학술집담회는 이상휘 교수(연세치대)가 연자로 나서 ‘성공적인 얼굴비대칭 수술을 위한 클래식과 커팅엣지의 조화’를 주제로 △Module and facial asymmetry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Dogma in facial asymmetry treatment △3D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and surgery for facial asymmetry △Adjunctive sur gery for facial asymmetry △Relapse in facial asymmetry 등의 강연을 펼쳤다. 이상휘 교수는 “좋은 얼굴의 기본 요소 중 하나는 대칭성”이라며 “기능적으로도 비대칭 얼굴은 대칭 얼굴보다 측두하악관절 장애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으며 저작 효율도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안면비대칭은 3차원적으로 복잡하게 틀어져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진단과 수술이 필요하다. 이에 컴퓨터 보조 악교정 수술 등의 최신 지식과 기술이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며 고전적 지
(가칭)대한양악수술학회(회장 이영준‧이하 양악수술학회)가 오는 18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학술집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집담회는 이상휘 교수(연세치대)가 연자로 나서 ‘Facial asymmetry의 치료, 기본으로 돌아가자’를 대주제로 안면비대칭의 실체 분석부터 최신 치료 방법, 재발 방지에 이르기까지 두루 살핀다. 1강은 △Module and facial asymmetry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2강은 △Dogma in facial asymmetry treatment △3D diagnosis, treatment planning, and surgery for facial asymmetry △Adjunctive surgery for facial asymmetry를 주제로 펼친다. 참가 희망 시 비회원은 회원가입 후 등록 가능하며, 등록기간은 오는 15일까지다. 사전등록 시 정회원은 2만원, 준회원은 3만원이며 현장에서 등록할 경우 1만원씩 추가된다. 양악수술학회 이영준 회장은 “안면비대칭만을 이유로 수술받는 환자들도 있지만 턱교정수술 환자 대부분이 안면비대칭의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어수술교정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라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 학술집담회가 오는 24일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개최된다. 이번 학술집담회는 팽준영 교수(서울치대)와 신준혁 원장(디지털아트치과)이 연자로 나서 △임플란트 술식에서 GBR이 가지는 의미의 변화 △디오나비 네이게이션 임플란트에 대해 강연을 펼친다. 학술집담회 참가자는 대한치과의사협회 보수교육 점수 2점이 인정된다. 사전등록은 오는 23일까지 가능하며, 등록비는 회원 2만원, 비회원 3만원이다. 또한 학술대회 다음날인 25일에는 호텔 라온제나에서 경북치대동창회 정기총회 및 경치인의 밤이 개최된다.경치인의 밤은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며, 1부는 조용식 원장(연세닥터스치과)가 ‘근관 형태의 재해석을 통해 살펴보는 NiTi Rotary Instrument 역사적 발전 과정’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2부는 대구와 경북 지역 치과의사와 그 가족이 결성한 혼성합창단인 덴탈하모니의 축하공연이 펼쳐진다. 이어 정기총회에서는 △2017년도 감사 보고 △2017년도 회무보고 및 결산 승인 건 △20118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심의 건 △선출직 임원 개선의 건 및 기타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가 지난달 23일 연세대치과병원에서 추계학술집담회를 개최했다. ‘골다공증 약제와 관련한 악골괴사증의 다학제 간 역할과 치료’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집담회에서는 약물관련 악골괴사(MRONJ)와 관련한 다양한 지견이 펼쳐졌다. 첫 세션에서는 좌장인 김선종 교수(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의 기조발언을 시작으로 MRONJ 관련 의과 분야의 지견을 살필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먼저 문영철 교수(이대목동병원 혈액종양내과)가 oncologist의 입장에서 관련 약물의 기능과 적용에 대해 다루면서, 구강악안면외과와의 협진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 이연아 교수(경희대병원 류마티스내과)가 다양한 골다공증치료 약제를 소개하고, 류마티스 질환에서 골다공증 약제의 사용과 류마티스 약물이 골괴사증에 어떤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등을 짚어주었다. 또한 김영훈 교수(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가 악골괴사와 유사한 정형외과 영역에서의 골괴사증을 소개해, 골괴사증이 구강악안면영역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살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Dental consideration을 주제로 권대근 교수(경북치대 구강악안면외과)의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 산하 구강암연구소(소장 최성원)가 다음달 9일 경희대치과병원 대강당에서 ‘노령 구강암환자의 치료전략’을 주제로 구강암 테마연수회를 개최한다. 이번 연수회는 80대 이상 고령 환자의 구강암 치료를 위한 맞춤치료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국민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고령화사회에 급속하게 진입하고 있는 현재, 구강암 환자의 진단 연령대도 높아지고 있다”며 “다양한 영역의 치료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이번 연수회에서는 구강악안면외과 뿐만 아니라, 노년내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토론과 발표가 준비돼 매우 유용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총 세 개 세션으로 나뉜 이번 연수회의 첫 세션은 ‘고령 구강암 환자의 치료결정을 위한 임상평가’를 주제로, 이은주 교수(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와 김선욱 교수(분당서울대병원 노인병내과)가 강연을 펼친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세션은 ‘고령 구강암 환자의 맞춤치료전략’에 대해 팽준영 교수(경북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와 공문규 교수(경희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맹치훈 교수(경희대학교병원 종양혈액내과) 등이 강연에 나서, 노령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회장 오희균·이하 악성재건학회)가 지난 5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에서 ‘제6회 악안면재건을 위한 미세수술연수회’를 개최했다.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와 공동주최한 이날 연수회에는 학회 산하 수련병원 조교수 및 펠로우, 전공의 그리고 해외에서 연수를 온 연수생 등 21명이 참가했다. 오희균 회장은 “미세혈관 수술은 악안면부위와 구강조직이 종양 절제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해 결손이 생겨 인체의 다른 부위에서 혈관, 신경, 뼈, 근육. 피부 등을 포함하는 조직을 채취해 재건해주는 일종의 장기이식 분야에 해당하는 것”이라며 “악안면재건수술 중에서 최고의 난이도를 가진 수술 분야로, 임상에서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결코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는 분야다”고 강조했다. 턱얼굴성형재건에 대한 환자들의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는 추세로,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계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 오 회장은 “이번 연수회를 통해 참가자들이 악안면재건 분야에 최고의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연수회에서는 이론 교육은 물론, 고배율 수술현미경을 이용한 혈관봉합실습이 진행됐으며, 인조혈관 봉합술,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이사장 김철환·이하 구강악안면외과학회)와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회장 오희균·이하 악성재건학회)가 지난 11일 서울아산병원 연구원 강당에서 ‘2017년 안면 미용을 위한 보톡스 필러 시술 연수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연수회는 구강악안면외과전문의 및 인정의를 대상으로, 안면 미용치과 치료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구강악안면외과학회 김철환 이사장은 “치과의료는 많은 부분이 기능뿐 아니라 심미, 미용적 치료를 포함하고 있어 환자들로 하여금 치아 및 안모 개선을 통한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켜 건강한 사회활동을 하게함이 최종 목적”이라며 “악안면 부위를 집중적으로 공부하고 치료하는 전문가로, 보톡스 또는 필러 등의 시술을 통해 국민의 건강을 더욱 보호하고 증진시켜야 할 그 책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악성재건학회 오희균 회장은 “치과의사로서 관련 시술에 대한 전문성이 강조되고 필러와 보툴리늄톡신을 이용한 시술을 보다 성공적으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연수회를 준비했다”며 “앞으로 우리 학회는 악안면 미용시술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회를 계속적으로 개최해 치과의사들의 안면미용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계획하고 있다”고 말
대한구순구개열학회(회장 최진영·이하 구순구개열학회) 학술대회가 지난 10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on the growth of cleft patients’를 주제로 구순구개열환자의 교정치료 전략을 다뤄보는 시간으로 마련됐다. 오사카 치과대학의 Takashi Yamashiro 교수가 ‘MASDO: novel surgical options in treatment of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를 주제로 진행한 해외연자 특강은 구순구개열 환자의 정확한 진단 및 환자 수술에 대한 테크닉 등을 짚어보는 강연으로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외에도 백승학 교수(서울치대)의 ‘교정치료와 수술이 cleft 환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백형선 교수(연세치대)의 ‘Ortho pedic and Pre-surgical Ortho dontic Treatment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 ts’, 김현기 교수(전북치대)의 ‘Clinical In strumentation for Cleft Palate 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