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내년 지역통합돌봄법이 시행됨에 따라 치과는 ‘방문진료’에 대한 구체적인 대비가 필요한 시기다. 이에 ‘방문치과진료’ 과연 어떻게 시행해야 할지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회가 열렸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박태근·이하 치협)이 주최하고 방문치과진료 정책연구팀 및 대한노년치의학회(회장 소종섭·이하 노년치의학회)가 주관한 ‘노인 방문치과진료 시행을 위한 심포지엄’이 지난 9월 24일 치과의사회관에서 진행됐다.
이날 발제에 나선 고홍섭 교수(서울치대)는 지난 5월부터 보건복지부로부터 ‘노인 방문치과진료 체계 모델 구축을 위한 정책연구’를 수주받아 해당 연구를 책임지고 있는데, 오는 10월 연구용역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고 교수는 지금까지 연구한 결과 ‘방문치과진료체계 모델’을 제시했다. 고 교수는 제도의 공공성에 초점을 맞춰 실제적 지속 가능한 제도가 되기 위한 ‘다학제 팀접근’을 강조했다.
고 교수는 방문치과진료 시범사업을 제안했는데, 1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과 장기요양 재택의료 시범사업을 통합한, 즉 지역돌봄과 장기요양 제도를 결합해 노인을 중심으로 하되 거동이 불편한 국민 모두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제안했다. 특히 방문치과진료팀 연계 체계에 대해 △네트워크형 다학제팀 연계형 △의료기관형 다학제팀 참여형 두 가지 모델을 제시했다.
이어 ‘방문치과진료 수요’에 대해 김남희 교수(연세대)가 발제했다. 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지역사회 노인의 약 40% 이상이 구강건강에 불만족스럽고, 특히 노쇠·거동불편 집단은 치과 방문이 어렵고, 의치 문제, 씹기 불편, 삼킴 곤란 등 기능적 문제가 동반돼 방문치과진료 수요가 크다는 것이다. 이에 김 교수는 공급자와 환자의 관점을 통합한 방문치과 접근성 향상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을 제안했다.
이 밖에 노년치의학회 이성근 위원장, 강정현 이사와 박인필 이사 등 연구진이 방문치과진료를 위한 실제적으로 준비해야할 사항과 현안 등을 제시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소종섭 회장을 좌장으로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최경호 사무관은 “방문치과진료를 위한 사전 준비, 도착 후 진료, 교육, 후속 조치 등 준비할 부분이 매우 많다는 점을 실감했다”며 “복지부가 보통 의과의 모양새로 제도를 구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치과가 의과와는 확연히 다른 환경과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를 뼈저리게 느꼈다”고 밝혔다.
또한 “방문 전 준비부터 진료, 교육, 뒷정리까지 모든 과정을 담당해야 하는 방문진료 치과의사들의 노고가 매우 클 것이라 생각된다”며 “이런 노력을 보상하고 개원가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수가를 어떻게 책정해야 할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고 있다. 정말 가슴에 맷돌을 넣는 그런 느낌이 든다. 이런 여러 고민을 제도에 적절히 녹여낼 방안에 대한 많은 의견과 치과계 목소리에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를 주관한 소종섭 회장은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노년치의학회는 앞으로도 방문치과진료 제도가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학문적 뒷받침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