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치기공계는...
2013년, 건전한 치기공 시장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대한치과기공사협회(회장 손영석·이하 치기협)가 적극 나설 예정이다.
치기협은 2013년 △기공시장 개선 △보철물 청구실명제 도입 △국제학술대회 성공적 개최 △정책연구소·기공평가원 설립 추진 등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치기협은 혼탁한 기공시장의 질서를 바로세우기 위해 위원회를 구성하고 올해 상반기 중 덤핑행위 등 시장을 문란케 하는 기공소를 퇴출키로 했다. 손영석 회장은 “덤핑으로 치기공계가 파멸할 수 있다. 정당한 경쟁이 있는 시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이미 실태 파악에 들어갔고 해당 기공소 리스트도 확보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손회장은 노인틀니 분리고시 문제 해결 의지도 피력했다. 7월 대전에서 개최되는 제5회 국제치과기공학술대회는 치과기공사의 전문성과 역할을 널리 알리는 홍보의 장으로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치기협 측은 복지부와 교육부, 대전광역시, 대전보건대 등의 후원을 통해 안정적으로 대회를 치를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
치기공 정책연구소는 연말부터 임시가동중인 만큼 올해 대의원총회에서 정관개정을 통해 그동안 올바른 정책 반영을 위한 객관적 근거자료 제시에 미흡했다는 의견을 불식시키기로 했다. 정책연구소는 설립초기 안정화 단계에서만 치기협이 관여하고 이후는 독자적으로 운영돼 치기협에 객관적인 정책을 건의하는 브레인 역할을 하게 된다.
또 면허관리, 보수교육, 인력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할 기공평가원을 설립해 2014년부터 시행되는 의료기사 면허제신고제에 대비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후년 협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기념사업 준비도 시작할 예정이다.
유해환경 제조업 사업장에 대해 정부가 벌이는 ‘작업 환경측정 및 특수건강검진’에 대해서는 협회 차원에서 회원사들에 거부를 권고키로 했다. 손영석 회장은 “작업 환경을 측정 받으면 특수건강검진을 계속해서 받도록 법제화되어 있다”며 “하지만 기공소는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환경도 일반제조업과 다른 만큼 받을 필요가 없고 불필요한 규제만 생기는 만큼 거부토록 권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2014년 의료기사면허신고제 시행되는 만큼 분과학회에도 보수교육 점수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김희수 기자/G@s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