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임상교정치과의사회(회장 구본찬·이하 KSO)가 다음달 20일까지 브레이스 스마일 콘테스트를 접수한다. 올해로 3회를 맞은 브레이스 스마일 콘테스트는 치아 교정이 더 이상 부끄러운 치료가 아니라는 인식을 심어주고자 마련된 캠페인이다. 콘테스트는 교정치료 중인 응모자가 자신을 촬영한 사진을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때 응모자의 교정장치가 반드시 드러나야 한다. 응모방법은 1MB 이상 4MB 이내의 JPG 또는 PNG 사진파일을 △사진제목 △응모자의 성명, 나이, 주소, 연락처, 이메일 △교정 치료중인 치과의 이름 및 연락처 △치료 시작시기(년/월/일) △본 콘테스트를 알게 된 경로(치과 내 광고, 치과 추천, 인터넷 등) △교정치료를 경험한 소감, 치아배열과 미소에 대한 의견(100자 정도) 등 간단한 기재사항과 함께 제출하면 된다. 접수방법은 KSO 사무국으로 문의하면 된다. 당첨자는 오는 6월 12일 KSO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되며, 6월 23일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4회 KSO 심포지엄’에서 시상식이 예정돼 있다. 1등 상금 200만원, 2등 100만원, 3등 50만원이다. 지난 1회 대회에서는 일흔이 넘은 나이에 교정치료를 시작한 송차
한국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회장 차봉근‧이하 성장기교정연구회)가 오는 6월 23일 광명데이콤에서 Pre-congress 핸즈온 코스를 개최한다. ‘성장기 아동의 Ⅲ급 부정교합,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핸즈온 코스에는 성장기교정연구회 3명의 회원이 연자로 나서 이론과 실습을 다룬다. 먼저 성장기교정연구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는 이협수 원장(이앤장치과교정과치과)이 연자로 나서 ‘성장기 아동의 Ⅲ급 부정교합,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이론 강연을 진행한다. 이어 성장기교정연구회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정영목 원장(스파클치과교정과치과)이 △치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의 Inverted labial bow AP의 임상적 적용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의 RME와 protraction headgear의 임상적 적용 △FR Ⅲ의 임상적 적용 등을 다룬다. 마지막은 성장기교정연구회 편집이사인 장은혜 원장(청주효성병원 교정과)이 △Inverted labial bow AP와 RME 기공의뢰서식 작성방법 ◇Inverted labial bow AP를 위한 구성교합 채득 및 장치 조정 ◇RME 적용 및 activation ◇Protraction
대한설측교정치과의사회(회장 배성민·이하 KALO)가 지난 7일 코엑스에서 창립 10주년을 기념하는 제11회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Next Generation of Lingual Orthodontics’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는 2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특히 오랜 기간 교류를 지속하며 끈끈한 우정을 과시해온 일본설측교정학회를 비롯해 호주, 독일, 스위스 등 세계 각국에서 KALO의 창립 1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이번 학술대회에 참석하는 등 세계 속 KALO의 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술대회는 ‘차세대 설측교정 디지털/캐드캠/메탈 프린팅’을 주제로 한 특강과 ‘골격성 부정교합의 비수술 설측교정-한계는?’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으로 나뉘어 진행, 설측교정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가운데 한국 설측교정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기회로 삼았다. 먼저 특강은 박영국 교수(경희치대)의 ‘The xustomized lingual system goes digital’을 시작으로 △호주설측교정학회 Nour Tarraf 회장의 ‘How to use digital technology to integrate teenage lingual treatment i
치과교정재료 전문 기업 휴비트가 지난 7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제1회 Korean Carriere Symposium’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휴비트가 지난해 국내에 소개한 ‘Carriere motion’ 및 ‘Carriere SLX’ 관련 임상 케이스를 중심으로, 치과교정치료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선보여 참가자들의 호응이 높았다. 먼저 박창석 원장(박창석치과)이 ‘Sagittal First, What’s difference?’ 및 ‘Carriere Motion, SLX 3D-The best effective and effcient system’을 주제로 첫 강연에 나섰다. 박 원장은 “Carriere Motion은 포괄적인 치열 교정치료를 하기 전, ClassⅠ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환자의 시상면을 먼저 처리하는 기술”이라고 소개하고 다양한 케이스를 통해 최소한의 침습으로 획기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노하우를 전달했다. 또한 심포지엄에서는 일본홋카이도대학 교수직을 역임한 Dr. Yutaka Takeuchi가 ‘Advantages of Carriere Motion in comparison to various kinds of molar distal
올해로 창립 30주년을 맞이한 한국악교합교정연구회(회장 최은아·이하 악교합교정연구회)가 지난달 20일 노보텔 앰버서더호텔에서 월례회 및 총회를 개최하고 임상실력 함양과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월례회에서는 장연주 원장(리마치과)과 진영석 원장(서울바른치과교정치과)이 연자로 나서 각각 ‘인비절라인 치험례’와 ‘브라켓 부착을 위한 표면처리’를 주제로 강연했다. 먼저 장연주 원장은 난이도에 따른 인비절라인 치료증례를 중심으로 치료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세심하게 짚어줬다. 특히 인비절라인을 이용한 발치 교정 시 각별한 신경을 쏟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진영석 원장은 보철물이 시적된 구강 내에서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최신지견을 공유했다. 무엇보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지르코니아 보철물에서 브라켓 부착에 대한 효과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강연 후 열린 총회에서는 지난 회기의 회무 및 재무를 원안대로 의결하고, 이번 회기의 주요 사업과 새로운 집행부 및 신입회원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지난달 30일 중국 상하이에서 ‘DICAON 4D’ 활용 세미나를 개최, 현지 치과의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덴티스투명교정연구소(DICAO)는 이미 3D 프린터 ZENITH를 활용한 디지털 투명교정 솔루션을 중국 현지에 제공하고 임상 프로토콜을 정립, 교육해오고 있다. 디지털 투명교정에 최적화된 ‘DICAON 4D’는 중국 현지 디지털 유저들의 높은 관심을 사고 있다. DICAO 소장을 맡고 있는 차현인 원장(백상치과)이 연자로 나선 이번 세미나에서는 ‘DICAON 4D’를 활용한 임상 케이스 등 기초부터 응용 팁까지 단계별로 교육이 진행됐다. 신종학 기자 sjh@sda.or.kr
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장순희‧이하 KORI)가 주최한 ‘제68차 KORI Standard Edgewise Typodont Course’가 지난 17일부터 23일까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KORI 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코스에는 한국, 우크라이나, 몽골, 중국 등 4개국에서 23명이 연수생으로 참석했다. KORI는 강규석 코스 디렉터를 중심으로 8명의 인스트럭터를 배치하며 전통 트위드 술식을 섬세하게 지도하는 등 먼 길을 온 연수생들에게 최고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커리큘럼은 트위드 술식의 습득을 위한 이론과 실습으로 이뤄진다. 먼저 이론은 트위드의 태동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발전 과정을 비롯해 트위드 철학을 바탕으로 한 케이스 발표 등으로 구성된다. 실습은 △Basic Wire Bending Exercise △Soldering 1st Order Exercise △Upper and Lower 3rd Order Exercise 등과 더불어 Class II division 1 Bimaxillary protrusion 4/4 발치 증례와 Class II 4/5 발치 증례의 Typodont 과정 등을 포함한다.특히 이번 코스에서는 별도의 시간을 할애해 진
대한치아이동연구회(회장 이학·이하 치아이동연구회)가 오는 27일 바이오세텍 세미나실에서 임상교정세미나를 개최한다. 오는 7월까지 총 8회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개원가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실제 케이스를 중심으로 교정 필수이론 및 임상테크닉을 배우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히 지대경·이학·이종국 원장과 이대목동병원 교정과 김민지 교수가 연자로 나서 △발치냐 비발치냐 고민해결 △돌출입 환자교정 등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본 핵심 이론 및 실습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세미나는 치아교정치료에 관심 있는 치과의사들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이종국 학술이사는 “임상교정에 대한 고민들을 해결하며 실제 교정치료에 도움이 되는 강연들로 구성했다”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했다. 김인혜 기자 kih@sda.or.kr
교정재료 전문제조기업 휴비트(대표 김병일)가 지난 7일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MTA(Mini Tube Appliance) 보급 확산 및 임상증례 정보 공유를 위한 ‘MTA 파워유저 미팅’을 진행했다. 이번 유저 미팅에는 MTA Tube를 임상에 적용해온 리더급 파워유저 16여명이 참석해 Tube Type Appliance를 이용한 교정치료에 대해 의견을 공유했다. 이날 유저 미팅에서는 최광효 원장(강서아너스치과)이 ‘아동의 반대교합 개선 후 MTA를 이용한 전치배열’을, 천훈 원장(이즈치과)이 ‘다양한 연령층에서 MTA를 이용한 교정치료’를, 안윤표 원장(수원참고운미소치과)이 ‘Orthodontic periotreatment에서 MTA 활용’ 각각 다뤘다. 또한 배기선 원장(선부부치과)이 ‘Light force orthodontics using double wire’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으며, 김용 원장(서울USC치과)이 ‘MTA in a periodontally compromised patient’를, 류황석 원장(목포웰치과)이 ‘My utility club, MTA’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휴비트 관계자는 “3회째 진행된 이번 MTA 리더급 파
대한치아이동연구회(회장 이학)가 오는 27일 바이오세텍 세미나실에서 임상교정세미나를 연다. 이번 세미나는 7월까지 총 8회로 진행되며, 어렵고 복잡한 이론에서 벗어나 개원가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실제 케이스를 중심으로 교정 필수 이론 및 테크닉을 배우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치과교정학을 전공하고 10여년 이상 개원가에서 교정진료를 진행한 지대경 원장(서울메이치과), 이학 원장(동탄예치과), 이종국 원장(압구정오라클치과)과 이대목동병원 교정과 김민지 교수가 연자로 나서 △발치냐 비발치냐 고민해결 △돌출입 환자교정 △브라켓 잘 붙이기 등을 주제로 기본 핵심 이론과 실습을 함께 진행한다. 이종국 학술이사는 “치아이동연구회는 치과교정학의 임상 적용에 원칙적, 실용적인 접근을 도모하고 교정치료 분야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파악하고 선도하기 위해 설립됐다”며 “많은 치과의사와 임상교정에 대한 고민들을 함께 해결하며 실제 교정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기획했다”고 전했다. 이번 세미나는 교정전문의가 아니더라도 치아교정치료에 관심 있는 치과의사들은 누구나 참가 가능하며, 수강자에게는 교정진단 컨설팅과 온라인 교육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된다.
한국구강근기능연구회(회장 이은희·이하 근기능연구회)가 지난 3일 신원덴탈 세미나실에서 올해 첫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근기능연구회 이은희 회장이 ‘New trend of MFT(구강근기능요법)’를 주제로 첫 강의에 나섰으며, 이어 근기능연구회 이사인 이춘봉 원장(부천고운미소치과)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과의사 치료하기’를, 근기능연구회 총무간사 김윤지 교수(고대안암병원 교정과)가 ‘구강근기능훈련의 문헌고찰’을 각각 다뤘다. 이은희 회장은 “근기능연구회는 창립 이후 지속적으로 관련 임상 세미나 및 해외연자 초청 특강 등 학술강연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며 “올해도 이번 첫 세미나를 시작으로 구강근기능요법 등과 관련한 임상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다양한 학술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은희 회장은 지난달 20일과 21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제46회 일본임상교정치과의사회 학술대회에서 해외연자로 초청돼 강연을 펼쳤다. 이은희 회장은 “일본 내에서는 구강근기능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지만, 이를 임상에 적극적으로 적용한 증례는 아직 보기 드물어 이번 강연에 참가자들의 관심이 더욱 높았다”고 전했다. 신종학 기자/sjh@sda.or.kr
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장순희·이하 KORI) 제43차 초청강연회가 지난달 28일과 3월 1일 이틀간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풀만호텔에서 개최됐다. ‘개방교합의 치과교정치료’를 주제로 열린 이번 초청강연회에는 국내 최고의 권위자들이 초청돼 개방교합의 문제를 진단·해석하고 다양한 치료방법을 제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초청강연회 첫 날인 지난달 28일에는 3개의 강연이 진행됐다. 차봉근 교수(강릉원주치대)가 ‘성장기 아동의 개방교합 진단과 치료’를 주제로 성장기 교정에 대한 최적의 진료철학을 공유했고, 정운남 원장(청담운치과)은 ‘The stability of anterior and posterior occlusal planes’를 주제로 MEAW 기법을 소개했다. 오후에는 백철호 원장(새이치과)이 ‘개방교합을 동반한 장안모환자에게 최적화된 미니스크루를 이용한 상하악구치의 압하치료’를 강의했다. 3월 1일에는 이기준 교수(연세치대)의 ‘개방교합과 개방입술의 상관성-전악함입술의 적응증’과 김태우 교수(서울치대)의 ‘TMD를 동반한 개방교합의 치료’가 진행됐다. 두 교수는 연제와 관련해 최근에 진행 중인 연구자료까지 가감 없이 공개해 참가자들로부터 큰
한국치과교정연구회(회장 장순희·이하 KORI)의 제43차 초청강연회가 열린 지난달 28일과 3월 1일 창원풀만호텔에서 의미 있는 행사가 열렸다. 바로 KORI 회장을 역임한 한광수 원장(한광수치과)의 임상증례전시가 그것. 1978년 KORI의 전신인 김일봉치과교정연구소 입회와 동시에 교정에 입문한 한광수 원장이 걸어온 길은 가히 KORI의 역사라 할 만하다. 한 원장은 김일봉 박사와 함께 초창기 KORI의 기틀을 다지는데 공헌했으며, KORI가 세계적인 교육과 임상경쟁력을 갖춘 단체로 성장하기까지 열정적으로 임해왔다. 한광수 원장은 지난 1995년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교정학회와 대한치과교정학회가 공동개최한 학술대회에서 최우수증례로 선정되는 등 임상가로서 손꼽히는 실력자로 인정받아 왔다. 마침 한광수 원장의 치과가 소재하고 있는 창원에서 KORI 초청강연회가 열리게 됐고, 장순희 회장의 요청으로 이번 전시회가 열리게 됐다. 한 원장은 “전시회 자료들은 지난 40여년의 기록을 나름대로 모아온 것”이라며 “나 자신도 변하고 환경도 변한 만큼 이러한 변화를 공유하자는 의미에서 이번 전시회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임상증례전시회는 1980년대부터 20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기업을 표방하고 있는 디오(대표 김진백)가 다음달 14일 부산 센텀 디오 본사에서 ‘디오 디지털교정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디지털교정 세미나는 배기선 원장(선부부치과), 오현근 원장(ATA치과), 김성식 교수(부산치대) 등 디지털교정 분야의 임상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한 전문가들이 대거 나서 디지털교정의 핵심 노하우를 공개할 예정으로 기대를 모은다. 배기선 원장은 ‘디오 디지털교정 소개 및 미래’를 주제로 최근 디지털교정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디오 디지털교정’ 시스템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어 오현근 원장은 ‘디오 디지털교정의 다양한 임상 사례’를 통해 다양한 임상 증례와 보다 실전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전수할 계획이다. 이날 세미나 마지막 강연은 김성식 교수의 ‘디오 디지털교정의 부작용 예방을 위한 감별진단법’으로 대미를 장식할 예정이다. 김 교수는 교정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올리고 교정치료의 시작을 고민하는 임상의들에게 오랜 임상을 바탕으로 한 노하우를 전수할 예정이다. 디오 임상욱 상무는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교정 분야 전문가들의 임상경험이 담긴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최신 트렌드에 맞는 차세대 디지털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가 주최하고 대한디지털교정치과의사회가 후원하는 ‘2019 대한치과교정학회 광주전남지부 심포지엄’이 다음달 6일과 7일 양일간 전남대치과병원에서 개최된다. ‘Digital Dentistry, Digital Orthodontics’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은 6일 심포지엄과 7일 Post-congress 코스로 나뉘어 진행된다. 심포지엄은 이경민 교수의 ‘Digital workflow in orthodontic treatment’를 시작으로 △최정호 원장의 ‘CBCT superimposition, 그 후 10년’ △배기선 원장의 ‘3D Printing Orthodontics’ △임성훈 교수의 ‘Reducing Round Trip Tooth Movement using Customized Brackets and Customized Mini-tubes’ 등으로 구성된다. Post-congress 코스에서는 배기선 원장과 권순용 원장이 연자로 나서 각각 ‘디오 올쏘 나비 : A new digital approach for anterior alignment’와 ‘Invitractor 시스템의 활용 : 다양한 돌출입의 새로운 비수술적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