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가 출시한 치과인상재 ‘메가실(MEGA SIL)’이 화제다. 메가실은 부가중합형 인상재로, 빠른 시간 안에 구강 내 치관 주위나 함몰 부위를 원래의 형태대로 정확히 재현할 수 있다는 게 업체 측 전언이다. 고무인상재료규격(ISO 4823)의 규격분류에 따라 TYPE 1, 3에 해당하며, 기저재(base)와 촉매제(catalyst)가 색상이 다른 액상으로 구성돼 만에 하나라도 발생할 착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메가젠은 “메가실의 가장 큰 특장점은 뛰어난 제품성”이라며 “메가실은 높은 친수성으로 기포 발생을 줄였으며, 적절한 흐름성으로 정확한 인상을 채득할 수 있다. 또 ‘요변성’이라고 부르는 인상재 토출 후 마진 부위에 흘러들어가는 비율이 좋아 정밀한 틈까지 채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수한 인장강도와 친수성으로 흐름성이 우수하고, 정밀인상이 가능해 유치악, 무치악 모든 경우의 인상채득에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덴탈럽(대표 송정화)이 다음달 13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되는 YESDEX 2020에 참가, 석션프리 공동구매 특가 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덴탈럽의 석션프리는 치과 보조스탭 업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션 업무를 대체 및 전담해주는 똑똑한 장비로 치과의사의 단독진료가 가능하도록 해 화제를 몰고 있다. 덴탈럽은 “석션프리를 구매한 치과병원들의 사용 후기 영상들을 유튜브 채널에 소개하는 한편, 초기 사용자들의 빠른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사용 팁들을 영상으로 함께 전해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YESDEX 2020에서 특별가로 석션프리를 선보인다”며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최근 리뉴메디칼(대표 김성호)의 주력상품으로 자리 잡은 공기살균기 ‘노바이러스’가 뛰어난 살균효과와 파격적인 프로모션으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노바이러스’는 이미 그 효과가 입증돼 119 구급차 1,200여대와 650개 이상의 의료기관에 설치돼 사용 중이다. 테스트 결과 코로나19 동종바이러스로 알려진 MS2인플루엔자를 15분 내 99.99%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바이러스’는 NASA 인증 및 특허받은 초에너지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공기살균기로 임상시험 결과, 공기 중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것은 물론, VOC를 중화하고 곰팡이 포자, 먼지, 진드기, 꽃가루 등과 같은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살균한다는 것이 입증됐다. 여기에는 4세대 플라즈마 코일방식 살균기술이 적용돼 ‘노바이러스’를 통과하는 모든 바이러스 및 유기물질을 99.99% 파괴한다. 현재 리뉴메디칼은 ‘노바이러스’를 구매하는 모든 고객에게 성인용 덴탈 마스크(MB필터) 80박스와 홍보용 X배너를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리뉴메디칼 관계자는 “이미 세계적으로 인증받은 ‘노바이러스’를 통해 확실한 감염예방효과를 누리길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골이식재 분야의 신흥 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메드파크가 신개념 골이식재 ‘S1’을 출시한다. 메드파크는 돼지뼈 유래 골이식재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특허 등록을 한 기업으로 돼지뼈, 소뼈, 동종골이식재 생산을 위한 최첨단 풀 라인업을 확보하고 있다. 2020년 상반기에는 돼지뼈와 소뼈의 유래 골이식재 ‘Bone-D’와 멤브레인이 CE 인증을 취득, 세계적으로도 연구개발 역량과 제품의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소뼈 유래 골이식재 ‘S1’은 메드파크가 수십년간 이어온 뼈연구 개발 노력에 대한 산물로 골이식재 시장을 재편할 것으로 기대된다. ‘S1’이라는 독자적인 브랜드를 도입한 것도 기존 제품 라인과 차별화 및 고급화를 추구하기 위함이다. ‘S1’은 기존 골이식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시작됐다. 기존의 골이식재는 조형이 불가능하고, 접착성이 없어 형상을 유지하면서 공간을 유지할 수 없었다. 하지만 ‘S1’은 기존 입자형 골이식재 대비 사용자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접착성이 뛰어나다. 채혈 없이도 Sticky한 뼈를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조작성과 접착성을 간직했다는 게 메드파크 관계자의 설명이다.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스(대표 심기봉)가 출시한 구강 및 위생용품 PB브랜드 ‘Dr’s Wisdom(이하 닥터스 위즈덤)’이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덴티스 치과종합쇼핑몰 덴스토어, 그리고 일반 오픈스토어 맘스러빙 등에 론칭되며 큰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특히 교정용 칫솔, 어린이용 칫솔, 어금니 칫솔, 치간칫솔 등 용도에 따른 다양한 칫솔을 판매중인 가운데, 최근 치약과 가글까지 새롭게 출시하면서 홈케어 필수템 4종 세트 라인업을 완성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치약은 모두 식약처 의약외품 품목 허가를 받은 제품으로 20년 넘게 구강제품만 연구하고 개발해온 전문연구원들이 치석, 구취, 미백까지 효능에 맞춰 개발한 프리미엄 치약으로, 에어아쿠아민트와 더블유미백 두 종류로 출시된다. 먼저 에어아쿠아민트 치약은 후각과 미각에 민감한 사용자를 위해 맵고 쓴맛을 없애고 은은하면서도 달콤한 아쿠아민트 천연향으로 만들었다. 더블유미백 치약은 치과에서 사용하는 전문 미백제 성분을 함유해 치아를 더욱 하얗게 만들어주는 것은 물론, 민트향을 첨가해 산뜻한 사용감을 자랑한다. ‘닥터스 위즈덤’ 치약은 손으로 짜기 쉬운 구조와 회전식 덮개를 적용해 사용이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피로가 쌓이고 신체기능이 떨어지는 시기면 종종 구내염에 시달리는 환자들이 많다. 구내염 가운데서도 1㎝ 미만의 하얗고 둥근 염증이 잇몸이나 입술 안쪽, 혀 곳곳에 1~3개 생겼다가 없어졌다를 반복하면서 10일 정도 지속되는 아프타성 구내염은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는 구내염의 종류다. 이러한 아프타성 구내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고로 GC녹십자의 ‘페리덱스’가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스테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페리덱스는 병소에 직접 스테로이드를 도포함으로써 궤양의 크기를 줄이고 치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페리덱스는 본화약의 특허기제와 국소 스테로이드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배합한 연고로 신속하고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페리덱스는 얇게 퍼지는 성질이 우수해 매끄럽게 바를 수 있고 이물감이 적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환부를 보호해준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연고를 바를 때는 환부를 깨끗하게 건조시키고 면봉으로 소량을 덜어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서울 송파구의 한 약국에서는 “구내염 연고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이 높아 구내염 연고를 모아 별도의 매대를 마련했다”면서 “특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3D 덴탈 스캐너 전문업체 메디트(대표 고규범)가 완전히 새로워진 ‘New T-Series’를 새롭게 출시했다. 기존의 ‘Identica Blue’와 ‘T-Series’ 등으로 전 세계의 수많은 치과기공소의 사랑을 받아왔던 메디트가 3년 만에 새롭게 업그레이드한 ‘New T-Series’를 선보인다. ‘New T-Series’는 △T710 △T510 △T310 등 3개의 라인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합리적인 가격에 업그레이드된 성능을 제공한다. 새로운 라인업의 핵심 제품인 T710에는 5.0MP 고해상도 카메라가 4대 장착돼 대상의 컬러와 텍스처를 놀랍도록 생생하게 스캔해 낼 수 있으며, 사각지대까지 한 번에 가능하다. 임플란트, 덴처, 임프레션 등 모든 케이스에서 기존보다 향상된 스캔 성능을 제공하며, 플렉시블 멀티 다이(Flexible Multi-die) 스캔을 2단계로 줄여주는 등 사용자의 워크플로우를 쉽고 단순하게 개선하기 위한 고민이 곳곳에 반영됐다. 메디트 고규범 대표는 “완전히 새로워진 ‘New T-Series’를 발표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 스캐너 자체의 성능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 더욱
[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3D 디지털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하악골 결손부위와 안면비대칭을 개선하기 위한 환자 맞춤형 보형물을 개발했다. 메가젠의 FACEGIDE Reconstruction System의 환자 맞춤형 인공 하악골은 수술 전 촬영한 CT를 3D(STL)로 재구성한 후 수복해야 할 부위를 이상적인 형태로 시뮬레이션해 디자인하고, 이를 CAD/CAM 기술로 제작해 해당 환자의 적용 부위에 수복되는 맞춤형 의료기기다. 3D CT 중첩기술과 CAD/CAM 기술로 정교하게 보형물을 제작할 뿐 아니라 수술 전 보형물의 고정 위치까지 정확하게 계획해 신경 손상 등을 피하고 술전 시뮬레이션 계획과 술후 결과를 완벽 재현할 수 있다. 원소재로 순수티타늄(Grade 4)을 적용, 생체적합성 및 안전성도 확보했다. 티타늄은 다른 메탈소재에 비해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와 견고함을 지니며 내식성이 좋아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재료로 임플란트를 비롯한 치과용 의료기기에 널리 사용된다. 예후에서도 뼈의 흡수나 변형과 같은 에러를 방지하며 골융합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메가젠은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CLF치과기공소(소장 권용찬)가 코골이, 이갈이,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등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구강 내 장치 ‘스마트 코리 템플리트’를 선보인다. 일반적으로 코골이 장치의 목적은 수면 시 호흡을 원활하게 해주기 위한 기도 확장에 있다. 지금까지 출시된 대부분의 코골이 장치는 기도를 효과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장치적으로 교합을 거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동시에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돼 있다. 여기서 하악을 전방 이동시키는 이유는 기도를 막고 있는 혀가 앞으로 나올 수 있는 공간을 확보, 더 효과적으로 기도를 확장하기 위함이다. 문제는 하악을 의도적으로 전방 이동시킴으로써 턱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부작용 때문에 악관절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코골이 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CLF치과기공소가 출시한 ‘스마트 코리 템플리트’는 하악을 전방 이동시키지 않고도 장치적으로 혀가 앞으로 나올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이러한 단점을 완벽하게 해결했다. ‘스마트 코리 템플리트’가 가지고 있는 또 하나의 차이는 양악장치라는 점이다. 양악이 더욱 효과적이지만, 대부분의 코골이 장치는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지털 덴티스트리 선도기업 디오(대표 김진백)가 야심차게 내놓은 ‘UV Activator2’의 인기가 예사롭지 않다. 출시 1년 만에 1,000대 판매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UV Activator2’는 임플란트 표면에 UV 자외선을 광조사하는 표면처리법으로, 특히 골융합에 유리한 친수성을 획득할 수 있는 차세대 표면처리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인 ‘IF Design Awards 2020’에서 수상할 만큼 기술력뿐 아니라 완성도 높은 디자인도 인정받았다.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주위의 뼈와 혈관에 손상이 일어난다. 이때 혈관 내부에 있던 Albumin이나 Fibrinogen과 같은 혈장단백질은 뼈를 만들기 위해 임플란트 표면에 부착된 형태로 결합하는 양상을 띤다. 이후 처음에 생성된 약한 뼈가 리모델링 과정을 거쳐 강한 뼈로 변하면서 골융합이 완성되는데, 이 때 꼭 필요한 것이 단백질 층이다. 즉, 골융합이 잘되기 위해서는 단백질 층이라는 매개가 반드시 있어야 하고, 그 핵심이 바로 임플란트 표면의 친수화다. 이제 SLA 임플란트로 가보자. SLA 임플란트는 시간
[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메가젠임플란트(대표 박광범·이하 메가젠)가 구강 외 석션 ‘Free arm Arteo(이하 프리암 아르테오)’를 출시했다. 프리암 아르테오는 공기 중 부유물을 구강 외에서 직접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체어사이드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99.9% 제거해 비말 교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게 업체 측 전언이다. 특히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높은 요즘, 개원가의 많은 기대를 모은다. 프리암 아르테오는 천장 고정형, 바닥 고정형, 이동형 등 3가지로 진료실 환경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천장 고정형’은 천장에 설치해 진료 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바닥 고정형’은 체어사이드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병원 신규 인테리어 시 적합하다. ‘이동형’은 본체 안에 집진기 및 Super bio filter가 내장돼 별도의 설치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정형에 비해 공간을 차지하며 용량이 작다. 또한 프리암 아르테오는 직접 터치하지 않아도 센서에 손을 가까이 대면 자동으로 ON/OFF 상태로 전환돼 위생적이고 편리할 뿐 아니라, 손에 의한 교차감염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플렉시블 Arm의 관절로 원하는 방향, 위치에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의 디지털 자동화 시스템 ‘스마트 팩토리(제조사 한국씨엔텍)’가 편의성과 정밀함으로 치과기공계에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치과기공소는 업무 특성상 인력 위주의 아날로그 작업에 의존해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노동집약적 구조에서 탈피, 제작공정의 상당 부분을 캐드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치과기공계의 이러한 움직임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4M+1E(Man, Machinery, Material, Method, Environment) 각 요소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상호 소통 가능한 유연한 생산 시스템을 추구하며, 향후 개발되고 현장에 도입될 스마트 제품들과의 연결성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규모가 큰 제조업이나 대형 치과기공소에만 해당된다고 여겨졌던 ‘스마트 팩토리’ 도입이 최근 5명 내외의 소규모 치과기공소에도 활발하게 공급되고 있다. 한 예로 한국씨엔텍에서는 캠 소프트웨어와 Swiss-Style CNC 장비를 기반으로 맞춤형 어버트먼트 자동화 가공 시스템인 ‘e.system’을 개발했는데, S
[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지난해부터 EXPlasma 플라즈마멸균기의 국내총판을 맡으며 감염관리비즈니스에 주력하고 있는 메디코디(대표 최선규)가 Steelco사의 치과 전용 세척기 ‘DS50’ 시리즈를 새롭게 선보였다. 밀레 그룹 계열사 중 하나인 Steelco사는 이탈리아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헬스케어 부분 의료기기세척기 제조의 강자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100여개 나라에 수출 중이며 올해 한국 덴탈파트너로 메디코디와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에 출시된 ‘DS50DRS’는 세척기에 기구를 넣기만 하면 세척부터 건조까지 편리하게 원스텝 클리닝할 수 있어 보다 빠른 멸균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전용 세제인 DR.WEIGHRT사의 neodisher Mediclean Forte은 알카리성 세제로 단백질 제거에 탁월하고, 거품이 생기지 않아 의료기구 세척기 사용에 적합하다. 메디코디는 “DS50DRS는 열풍건조기능으로 물기 제거를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면서 “DS50DRS 출시 기념 특판행사로 ‘Z7 플라즈마멸균기+DS 50DRS’ 패키지를 할인가에 선보인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KD덴탈(대표 엄태준)이 최근 출시한 ‘멸균용 에어석션팁’이 감염예방은 물론, 진료 능률까지 높이는 아이템으로서 개원가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KD덴탈의 ‘멸균용 에어석션팁’은 진료 시 마스크와 페이스쉴드, 일반 석션팁으로는 100% 잡아낼 수 없는 세균과 중금속, 부유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임시치아 제작 △치아프렙 △스케일링 △아말감 제거 등 다양한 진료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어 감염예방은 물론 임상가의 진료 능률을 높여준다는 게 업체 측 설명이다. 또한 오토클레이브 멸균이 가능하며, 석션 홀더에 끼우기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용이하다. KD덴탈은 출시 특판 이벤트로 ‘멸균용에어석션팁’ 2팩 구매 시 1팩을 무료 증정하고 있다. 엄태준 대표는 “멸균용 에어석션팁은 저렴한 가격으로 치과의사와 스탭의 감염을 예방하고, 진료능률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템”이라며 “의료진과 환자의 건강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김인혜 기자 kih@sda.or.kr] 디보바인(대표 최강석)이 독일 DURR DENTAL 증류수 발생장치 ‘Hygodem90(이하 하이고뎀)’을 선보였다. 최강석 대표는 “통상적으로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다 보면 체임버에 물때나 석회질 성분이 축적돼 제품의 수명이나 효율성이 떨어지기 쉽다”면서 “상당수는 멸균기를 통하면 멸균이 완벽하게 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매우 크다. 그러나 멸균이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아 기구를 통한 2차감염의 우려가 제기되기도 한다. 특히 큰 용기에 들어있는 정제수는 수질 보장이 어려우며 기계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운을 뗐다. 이어 “50ℓ 멸균기 기준 1일 2회 사용 시 보통 1ℓ 사용으로 연간 약 300ℓ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하이고뎀은 더 좋은 품질의 증류수를 보다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디보바인이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한 성분 분석에 따르면, 연간 약 300ℓ 기준으로 △말통정제수(Cl- : 0.4, Ca : 0.20, Mg : 0.04 검출 및 PH농도 6.2)는 1ℓ당 800원으로 연간 24만원 △약국증류수(불검출 및 PH농도 5.3)의 경우 1ℓ당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