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가 주최하는 ‘제3회 치과 학술대회’가 다음달 1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지하1층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치과 청구의 사례’를 주제로 한 윤태철 위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심사평가위원회)의 강연을 시작으로, 외상 치료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이지연 교수(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교정과)의 ‘전치부 외상환자의 교정치료 : 함박웃음을 되찾아주는 해결책’ 강연과 김도현 교수(현세치대 치과보존과)의 ‘수평치근파절-처치와 예후’ 강연을 통해 까다로운 임상 해법을 제시할 전망이다. 2년 전인 2021년 온라인 학술대회를 개최한 데 이어 2년만에 오프라인 학술대회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의 세 번째 학술대회로 기대를 모은다. 학술대회는 12월 1일 금요일 오후 6시 30분부터 9시까지 진행되며, 치과의사 보수교육 2점이 인정된다.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장애인치과학회(회장 김영재) 2023 추계학술대회가 지난 4일 오스템임플란트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장애인의 구강정책’을 대주제로 다룬 이번 학술대회에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관련학과 학생 등 130여명이 참가했다. 보건복지부 구강정책과 이지은 과장이 연자로 나서 장애인 치과진료 정책의 현황과 향후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경기북부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하종철 센터장은 장애인구강진료센터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공유했으며, 서울시장애인치과병원 공공의료사업단 황지영 단장은 국내 방문치과진료와 이동치과진료 차량을 활용한 장애인 치과진료의 사례와 실무지침을 안내했다. 마지막 연자로 나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오주연 부장은 장애인치과주치의제도 시범사업 현황과 발전방안을 다뤄 관심을 모았다. 대한장애인치과학회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장애인 구강정책의 발전을 이끌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학회 측은 “이번 학술대회는 장애인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일선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연자들의 현장감 있는 강의로 참석자들의 호응이 높았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한국접착치의학회(회장 박정원·이하 접착치의학회)가 다음달 10일 여의도 하나금융프라자 한마음홀에서 ‘Encyclopedia of direct & indirect restoration’을 대주제로 제27회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술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먼저 신요한 원장(연세웃는아이치과)이 ‘수복치료 시의 국소마취’를 연제로 학술대회의 포문을 연다. 이어 김현정 교수(경희치대)가 ‘치과용 접착의 과거 그리고 현재’를, 박성호 교수(연세치대)가 ‘광중합, 임상적으로 중요하지만 간과하고 있는 것들’을, 신주섭 원장(미치과)이 ‘임상가를 위한 전치부 composite restorations’에 대해 강의한다. 오후 강연에는 △바로 알고 적용하는, 임상가를 위한 복합레진 수복의 finishing & polishing(최유리나 교수·원광치대)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CAD/CAM block의 선택과 활용(박지만 교수·서울치대) △CAD/CAM Protocol for indirect Restoration(한종목 원장·명학하나치과) △간접 수복물의 접착(손성애 교수·부산치대) 등이 마련된다. 학술대회 사전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서울대치과병원(원장 이용무)이 지난 1일 ‘2023년 치의생명과학연구원 세미나’를 개최했다. 서울대치과병원 치의생명과학연구원(연구원장 임영준·이하 치의생명연구원) 주관으로 열린 세미나는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연구 관련 설명회를 통합 진행해 연구수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획됐다. 세미나는 △연구지원시스템(D-RIS) 사용법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심의의뢰 절차 △중앙실험실 이용절차 △인체유래물은행 자원수집 및 분양절차 등으로 구성됐다. 코로나19로 그간 열리지 못했던 서울대치과병원 연구 전반에 대한 학술의 장이 재개된 것은 물론, 연구자와 지원기관이 새로 변화된 연구시스템에 대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시간으로 의미를 더했다. 임영준 연구원장은 “국내 치의학 분야 최고 수준의 연구수행을 위해 치과병원 최초로 인가받은 인체유래물은행을 비롯해 연구윤리심의위 등 각 부서를 한 자리에서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며 “새롭게 도입한 연구지원시스템은 연구 역량을 한층 더 끌어올릴 것이며 이를 토대로 더욱 우수한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노년치의학회(회장 고석민·이하 노년치의학회)가 지난 4일 서울대치과병원에서 2023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노인치과치료 난제-시린이 완전정복’을 대주제로 열렸으며, 177명의 회원이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이번 학술대회를 주관한 강경리 학술부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고령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시린이 증상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고령자의 치아 시린 증상은 삶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지만, 다양한 원인만큼이나 정확한 진단이나 치료 방법의 결정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치아균열증후군은 진단과정과 치료방법의 결정이 힘들고, 그에 따른 술자와 환자와의 갈등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며 이번 학술대회 주제선정의 취지를 밝혔다. 학술대회에서는 △고령자의 시린이 원인에 따른 대응책(라성호 원장) △레진시멘트의 종류와 보철물 접착 후 민감성(김성훈 원장) △시린이와 crack tooth-진단, 치료, 예후는(양성은 교수) △이갈이 및 이악물기에 의한 시린이의 진단과 치료(권정승 교수) 등이 다뤄졌다. 노년치의학회 고석민 회장은 “100세 시대를 맞아 고령 환자의 진료가 점점 증가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로덴치과그룹(대표 조영환·이하 로덴)이 지난달 21일 부산, 28일 서울에서 각각 2023년 후반기 로덴 레벨업스탭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최근 심평원의 심사 경향과 치과에서 자주 일어날 수 있는 청구오류 사례, 진료 및 청구 시 주의점들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했다. 세미나에서는 청구업무 담당 스탭들이 참석해 치과보험청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 청구오류 등에 대한 사례 중심의 교육을 받았다. 이번 로덴포유 주효미 과장은 “치과청구업무는 치과에서 진료와 수익과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며 “특히 보험청구는 치과에서 업무역량을 나타내는 업무로 인식되고 있어 관심이 높은 편으로, 로덴 레벨업스탭 세미나에서는 매년 주기적으로 치과건강보험청구에 대한 실무적인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피에르포샤르아카데미 한국회(회장 김현철·이하 PFA한국회)가 지난달 20일부터 23일까지 일본 도야마에서 개최된 54차 PFA국제치의학회 일본부회 연차대회에 참석했다. PFA한국회는 지난 50차 연차대회 후 4년만에 참석한 것으로, 김현철 회장과 김종원 고문 등 PFA한국회 회원 18명이 참석했다. 연차대회에서는 도야마 대학의 사이키 이쿠오 교수가 간전이의 억제를, 일본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 야마구찌 아키라 교수가 약물과 관련된 골괴사 강의를 각각 진행했다. 김현철 회장은 “한국과 일본은 지난 44년간 상호 존중과 긴밀한 유대 속에 치의학과 문화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며 “근세 치의학의 대부인 삐에르 포샤르의 사상을 보급해 치의학 발전에 공헌해 왔다”고 전했다. 한편, PFA일본부회는 내년 8월 30일과 9월 1일 양일간 삿뽀로에서 55차 연차대회를 개최할 예정으로, 이 대회에서는 기능통합치의학을 주제로 PFA한국회 김현철 회장과 PFA일본부회 북해도 지부장 오가와 박사가 강연을 펼칠 예정이다. PFA한국회는 기능통합치의학 도입이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회원 위주의 학술회의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년간 70명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한국치위생학회(회장 문상은)가 지난 4일 온라인 종합학술대회(e-Conference)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고령사회에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구강건강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장종화 교수(단국대)의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해외연자 초청강연 및 ICT기술과 노인복지 변화, OBD를 통한 조기진단과 구강헬스케어, 초고령사회의 맞춤형 치위생 관리 등을 주제로 한 강연과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Jung-Ah Lee 교수(Sue & Bill Gross School of Nursing,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가 ‘Oral Biohealthcare Strategy in super-aged socirty’를 다뤘고, Duc Long Duong 교수(Hanoi Medical University)는 ‘Digital oral bio-health care’에 대해 강의했다. 한국치위생학회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치위생학 관련 학문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면서 “초고령사회, 글로벌 구강 바이오 헬스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고, 이를 통해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코웰메디가 오는 18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서 ‘COWELL BMP SYMPOSIUM’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정의원 교수(연세치대)가 ‘Sinus augmentation using rhBMP-2 What we wish and what’, 이중석 교수(연세치대)가 ‘발치와이식술과 rhBMP-2: 한계와 극복’을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이어 차재국 교수(연세치대)는 ‘Advances in BMP-2 delivery for Ridge Augmentation’, 임현창 교수(경희치대)는 ‘근거 중심으로 알아보는 기존 술식의 한계와 BMP-2를 활용한 극복 가능성’을 다룰 예정이다. 강연 후에는 질의응답을 통해 참가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도 이어진다. ‘코웰BMP 뼈이식재’는 코웰메디가 생산하는 BMP-2 뼈 재생 제품으로, 세포에 직접 작용해 줄기세포를 뼈세포로 성장시켜줘 뼈조직이 활발히 생성되도록 유도한다. 코웰메디 관계자는 “지난 2010년 국내 최초로 제조품목허가를 받은 ‘코웰BMP’는 그동안 수많은 임상 케이스를 통해 제품의 뛰어난 효과와 안정성을 입증해왔다”면서 “이번 세미나에서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대한미용성형치과연구회가 주최한 ‘4人 4色 덴탈 K-Beauty 이야기’ 세 번째 세미나가 지난달 22일 서울대치과병원 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임석균 원장의 ‘구강 밖으로! 안면감각신경-피부블럭 & 침윤마취’ 강연을 시작으로, 남진우 원장(서울탑치과)의 ‘악안면 보톡스 시술을 위한 해부학적 포인트 총정리’, 정현수 원장(해밀턴치과)의 ‘치과의사에게 필요한 실리프팅 술식-치과치료 후의 After Care/얼굴 업, 자신감 업!’, 김용석 원장(모리나치과)의 ‘임플란트 수술환자의 동안 얼굴 만들기-눈썹거상 보톡스/옴폭눈 필러/실리프팅’ 에 대한 강의가 펼쳐졌다. 임석균 원장은 연자 본인의 얼굴에 블록과 침윤마취를 시행하는 동영상을 공개하며 이목을 집중시켰다. 남진우 원장은 안면부 보톡스 준비부터 시술방법, 술후 부작용까지 짚었다. 정현수 원장은 실리프팅 노하우는 물론, 다양한 케이스의 환자들의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줘 흥미로웠다는 평가다. 마지막으로 김용석 원장은 시술 동영상을 통해 치과의사들이 자신감을 갖고 미용시술에 나설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강연 후에는 라이브 시술도 진행돼 참가자들의 만족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인파워병원교육컨설팅(대표 신인순)이 지난달 22일, ‘제2회 인파워 원장경영스쿨’ 세미나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치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주제강연이 마련돼 큰 관심을 받았다. 이용권 원장(서울좋은치과)은 ‘새로운 패러다임 수면치과치료’를 연제로 △수면치료의 최신동향 △1차의료기관에서의 수면치과치료를 위한 준비 △수면치과치료 프로세스와 후 관리 등을 다뤘고, 박경아 원장(알프스치과)이 ‘성장으로 이끄는 알프스치과 시스템’을 연제로 △알프스치과의 철학 △500% 성장의 비밀 △전악치료의 시작, 알프스틀니 등에 대해 강연을 펼쳤다. 끝으로 김동석 원장(춘천예치과)이 △성공병원을 위한 ‘원장만족’ 경영 △30% 매출 증대를 위한 ‘환자만족’ 경영 △직원 선발과 이직을 줄이는 ‘직원만족’ 경영 등 성공병원의 경영 노하우를 가감없이 공유해 호응을 얻었다. 인파워병원교육컨설팅 관계자는 “병원 성장을 위해서는 우리병원의 강점을 찾아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차별화된 경영전략으로 병원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치과위생학회(회장 김민정)가 11월 26일 코엑스 무역센터에서 추계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세미나는 ‘예방 관리로 보는 치과의 미래’를 주제로 해외 및 국내 연자의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세미나에서는 Axel Spahr 교수(University of Sydney)가 ‘Oral hygiene Recommendation & Prevention of Periodontal and Peri-Implant Diseases: What is really evidence based?(구강위생 치주질환 및 임플란트주위 질환의 예방: 근거에 기반한 것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치주질환 및 임플란트 주위염 환자의 구강위생관리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홈케어 증진을 위한 합리적인 교육 진행방향에 대해 강의한다. 이어 조현재 교수(서울대치의학대학원)는 ‘치면세균막 관리법: 치과에서, 집에서’를 주제로 치면세균막 관리의 중요성과 관리법, 특히 임플란트 환자들의 구강건강 유지 방법에 대한 팁을 소개할 예정이다. 대한치과위생학회는 “변화하는 치과에서 치과위생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전문가 지식을 공유할 수 있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지씨코리아가 다음달 12일, 마포구 지씨코리아 덴탈컬리지에서 ‘제56회 임상의를 위한 Advanced Resin Hands On Course’를 진행한다. 이번 핸즈온 코스는 경희치대 김덕수 교수와 서울치대 김선영 교수, 두 연자의 명쾌한 강의를 통해 실전 임상 노하우를 단기간에 습득할 수 있는 기회로 기대를 모은다. 먼저 김덕수 교수는 △접착제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사용법 △구치부 복합 레진 수복법 △올바른 Glass Ionomer의 임상 적용 등을 소개한다. 이어 핸즈온 실습에서는 구치부 2급 복합레진 수복을 다룰 예정이다. 김선영 교수는 △3, 4, 5급 전치부 수복 △Diastema Closure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며, 4급 전치부 수복에 관련한 풍부한 핸즈온 실습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지씨코리아 핸즈온 코스는 선착순 15명으로 인원이 제한되므로, 참여 희망자는 등록을 서두르는 것이 좋다. 지씨코리아 관계자는 “강연에서는 복합레진 및 상아질 접착제의 올바른 선택과 이용 방법에 관한 최신지견을 소개할 예정이다. 임상에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증례와 함께 제시하고, 실습을 통해 성공적인 수복방법을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디오(대표 김진백, 한익재)가 지난 21일과 22일 양일간 부산 센텀 소향씨어터에서 ‘DIO International Meeting 2023(이하 DIM 2023)’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DIM 2023은 디오가 주최하는 글로벌 치의학 심포지엄으로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선도하는 대한민국 치의학 산업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며 ‘글로벌 빅 이벤트’로 자리매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5년만에 개최됐음에도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치의학 석학들이 연자로 참여한 것은 물론, 세계 23개국에서 1,000여명이 넘는 치의학 전문가들이 DIM 2023을 찾았다. 심포지엄은 글로벌 치의학 산업의 최신 연구결과와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디오 김진철 회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박형준 부산시장과 대한치과의사협회 박태근 회장의 축사 등 범국가적 차원에서 추진 중인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홍보하는 민간외교의 장으로도 활용됐다. 국제학술대회 연자로 초청된 국내외 치의학 전문가들은 △디지털 임플란트의 진화 △컴퓨터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의 임상 적용 △광기능성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치료 △디지털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덴탈브레인이 다음달 4일 강남 브레인스펙 세미나실에서 ‘치과를 살리는 직원관리’ 세미나를 개최한다. 개원의와 실장급 스탭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김민정 대표(브레인스펙)가 △나는 조직관리자로서 제대로 되어있는가 △조직관리자로서 업무능력을 평가해보자 △성장과 발전을 이끄는 치과 조직문화 만들기 등을 주제로 치과에 필요한 조직문화 만들기와 직원관리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덴탈브레인 관계자는 “조직문화 변화를 위해 무조건 우수한 사례만 가져다 도입하는 것은 겉모습만 모방할 뿐 단순한 이벤트로 끝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기존 프로그램과의 연계성과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개원의 및 중간관리자가 조직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변화의 방향을 이해시키고 교육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중심으로 조직문화의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세미나 신청은 덴탈브레인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등록은 다음달 3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