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질병과 공간 분석(19) - 우리의 공간은 공정합니까?

URL복사

공간의 공공성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

● 의료시설 내 건축공간구성을 통한 치유환경 조성

최근 의료시설 내 치유환경의 형성은 건축설계 과정에서 내, 외부공간의 자연요소 도입 및 생태건축 중 일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경적인 방법과 더불어 건축공간구성을 통해 원리적인 치유환경의 건축 계획적 접근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건축가들은 건축설계 과정에서 나름대로 건축계획 및 공간구성을 통해 다양한 치유환경의 조성을 시도해 왔다.

 

특히 일본 건축가 소우 후지모토(Sou Fujimoto)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병원건축의 설계 작품들에서 건축공간을 통한 치유환경을 제공하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의료시설의 치유환경과 사회의 연관성을 고려해 치유환경의 관점에서 소우 후지모토 병원 작품들의 건축공간구성 특성을 살펴보고 치유환경 조성의 결과인 의료시설의 공간구성방법과 치유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소우 후지모토의 의료시설 공간구성의 특징

건축설계 단계에서 공간구성을 통해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대표적인 건축가가 소우 후지모토다. 그의 병원건축은 1996년부터 2006년에 집중돼 있다. 의료시설 사례를 살펴보면 세이다이병원(Seidai Hospital Work House, Annex), 노보리베쓰 치매환자 치료시설(Group Home in Noboribetsu), 다테시의 보호시설들(M Hospital, Day Care House, Work House, Group Home(Home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Hokkaido), 정서장애아동센터(Children’s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등이다.

 

소우 후지모토 의료시설 사례들의 공간구성과 다이어그램 특징은 단순한 부분들 사이에서 복잡성을 발견하고 복잡한 것들 사이에서 단순함을 추구해 자연의 다양성을 현대적 의미로 재구축하고 복잡함과 불확정성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건축적 장치들로는 공간과 프로그램의 위계성 제거, 프로그램의 무작위적(Random) 분포, 단위 입자(Particle)의 증식 및 조합, 프랙탈적 복제, 매개공간 및 사이 공간, 점층적 변화(Gradation), 경계의 재구성 및 다양한 경계공간의 형성, 흐림(Blur), 우회(Detour)하는 동선 등으로 부분의 건축, 모호함의 건축을 추구한다. 또한, 건축공간의 구성방법은 각도의 변화 및 조정(Angle), 단위 공간의 크기 변화 및 병치 즉 반복과 중첩(Layering), 밀어내기 방식을 통한 위치 및 방향 조정(Shift) 등이다.

 

 

 

실 구성 유형과 조닝(Zoning) 방법

분석 사례들은 공간구성방식에 따라 크게 공간분할방식과 공간첨가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분할방식(나누기, Division Type)은 단순한 기하학 형태의 내부를 실로 나누어 구성하는 방법이며 공간첨가방식(더하기, Add on Type)은 단위 공간을 반복해 배치하고 사이 공간을 첨가해 전체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실 구성과 조닝은 모든 사례에서 개인 공간, 공용공간, 복도로 구성되는데 공용공간과 복도 중 일부분은 따로 분리되지 않고 공용공간 일부와 복도가 통합됐다. 대신 개인 공간은 공용공간과는 다르게 명확히 구분해 개인 공간의 프라이버시 특성을 유지했다.

 

동선과 복도의 구성방법

동선은 크게 루프(Loop) 동선과 한 방향 동선으로 나뉜다. 전체가 루프 동선인 경우는 층에 따라 루프 동선과 한 방향 동선이 같이 나타나거나, 한 방향 동선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프로그램과 동선을 연결하는 복도의 구성방법은 복도와 실이 분리되어 독립된 분리 방식과 복도가 실과 통합돼 복도와 실이 구분되지 않는 통합 방식 두 가지로 나타난다. 분리된 복도 방식은 편복도와 중복도로 나뉜다.

 

 

복도에서 실의 연결 방법

공용공간과 복도에서 각 실의 연결은 여러 공간을 동시에 접근하게 해 방사선형으로 연결하는 방식과 공용공간과 복도에서 각 실로 진입하는 선형 접근방식 등 두 가지로 나타난다.

 

 

소우 후지모토 의료시설 사례들의 공간구성을 살펴보면, 실 구성 유형과 조닝(Zoning) 방법은 공간분할방식과 공간첨가방식으로, 동선과 복도의 구성방법에서 동선은 루프(Loop) 동선과 한 방향 동선으로, 공용공간과 복도에서 실의 연결은 방사선형과 선형 접근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는 건축 설계과정에서 다양한 공간구성을 이용해 치유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4분기 S&P500 자산배분 투자 전략 – 상승장 분석 및 리스크 관리

2025년 4분기, S&P500은 다시 한 번 역사적 고점 부근에 서 있다.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면서 시장은 활기를 되찾았지만, 그 이면에는 글로벌 유동성의 정점과 경기 사이클 전환의 신호가 동시에 자리하고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과 자산시장 프랙탈 분석을 통해, 현재의 상승장이 어떤 구조 속에서 전개되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 어떤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지를 살펴본다. 현재의 금리 국면을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으로 단순화해보면, 지금은 금리 인하기의 후반부, 즉 B~C 구간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 금리 인하는 일반적으로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이 동반되는 시점에 이뤄지며, 이때 자산시장은 일시적인 안도 랠리를 보이다가 경기침체가 현실화되면 상승세가 꺾이는 패턴을 반복해왔다. 2025년 9월 FOMC 이후 연준은 기준금리를 단계적으로 인하할 계획이지만, 동시에 경기침체 우려와 증시의 버블 가능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이클의 가장 큰 특징은 1980년부터 2020년까지 약 40년간 이어져온 디플레이션형 경기 둔화 사이클이 아니라, 인플레이션형 금리 인하기라는 점이다. 물가가 완전히 진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가 인하되고 있어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