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미니쉬테크놀로지(이하 미니쉬)가 25~39세 여성의 치아 인식을 다각도로 분석한 ‘미니쉬 리포트’를 지난 9월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설문조사, 임상 케이스 분석, 전문가 칼럼, 환자 인터뷰 등을 종합했다. 지난 9월 10~11일 틸리언프로를 통해 국내 25~39세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치아 만족도는 단일 응답, 나머지 질문은 중복 응답으로 조사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7명(70.3%)이 치아 때문에 부정적 행동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웃거나 말할 때 손으로 입을 가린 적 있다는 응답이 35.5%로 가장 많았고, 무표정하게 사진이나 영상을 찍었다(21.5%), 외모 평가를 받을까봐 위축된 적이 있다(20.9%)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반면 통증(12.8%)이나 발음 문제(7.4%) 같은 기능적 이유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치아에 대한 만족도는 불만족 39.4%, 보통 32.3%, 만족 28.3%로 조사됐다. 리포트에는 미니쉬치과병원 윤필상 원장이 치아 마모로 노인성 안모가 나타난 30대 여성의 치료 사례를 소개했고, 치료 후 자연스러운 웃음과 자신을 되찾은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덴티움은 매년 취리히대학교, 연세대학교와의 협력을 통해 스위스 취리히에서 임플란트 임상가들을 위한 심화 과정을 열고 있다. 지난 9월 11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된 ‘2-day Advanced Intensive Course in Implant Dentistry’에는 베트남, 태국, 영국에서 온 치과의사들이 참석해 세계적인 석학들과 함께 최신 술식과 임상적 노하우를 체득하는 시간을 가졌다. 첫째 날에는 Dr. Nadja Naenni의 지도 아래 Late Implant placement와 Soft tissue grafting 실습이 이뤄졌다. 참가자들은 bright Tissue Level Implant와 Collagen Graft x1D(기존 Collagen Graft 2)를 활용해 실제와 가까운 환경에서 술식을 경험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덴티움 제품이 지향하는 ‘쉽고, 빠르고, 간편한(Simple, Fast, Convenient)’ 콘셉트를 직접 체감하며, 실제 임상에서의 효율성과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rof. Ronald Jung이 시연한 후방 상악에서의 치조제 보존술과 즉시 식립 라이브 서저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전북대학교치과대학(학장 유미경·이하 전북치대)이 일본 홋카이도대학 치과대학과 공동세미나를 열고 35년간 이어온 우정을 되새기며 미래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지난 9월 23일 열린 이번 세미나는 ‘한·일 치과 혁신·협력포럼’을 겸해 개최됐으며, 1990년 양교가 자매결연을 맺은 지 35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세미나에서는 양교 교수진이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심도 있는 토론을 펼치며 상호 지식을 공유했다. 이를 통해 치의학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와 학술적 협력의 새로운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전북치대와 홋카이도대학 동창회 회원들도 함께해 교류의 의미를 더했다. 오랜 세월 이어온 우정을 다시 확인하는 한편, 앞으로의 협력 비전을 함께 나누며 35년간 쌓아온 인연의 가치를 되새겼다. 학생 교류 프로그램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매년 단기 연수와 교류 활동이 진행돼 학생들이 학문적 성취와 함께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쌓고 있으며, 미래 치과의사로서 국제적 역량을 기르는 중요한 기회가 되고 있다. 올해는 글로컬대학30 사업 전공특화 프로그램과 연계돼 더욱 내실 있게 운영되며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최근 5년 동안 의료법 위반으로 행정처분을 받은 의료인이 3,000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상반기 집계만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건수를 넘어서는 등 의료법 위반 행위가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국민의힘)이 지난 9월 26일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의료법 위반으로 인한 행정처분 건수는 총 3,175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 면허취소는 362건, 자격정지 2,450건, 경고 363건이 포함된다. 위반 유형별로는 진료기록부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보존 의무를 지키지 않은 사례가 588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무면허 의료행위 및 교사(499건) △리베이트 수수(292건) △진료비 허위 청구(224건) 등이 뒤를 이었으며, 진단서를 거짓으로 꾸며 발급한 사례도 53건에 달했다.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 499건에서 2020년 604건, 2021년 696건으로 증가세를 보였고, 지난해에는 298건으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올해 들어 6월까지 이미 350건이 적발돼 지난해 수치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치과의사와 한의사도 문신 시술을 허용한 ‘문신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지난 9월 25일 본회의를 열고 문신사법을 상정했다. 이날 본회의에는 문신행위를 할 수 있는 의료인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이 담긴 수정안이 상정돼 재석의원 202명 중 찬성 195명으로 의결됐다. 반대한 의원은 없었으며 7명이 기권했다. 이로써 비의료인 문신 시술은 대법원이 불법으로 판결한 지 33년 만에 합법화됐다. 이 법은 공포 후 2년 뒤 시행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인 박주민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은평구갑)이 발의한 수정안은 의사 외에도 치과의사와 한의사에게도 문신 시술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했다. 수정안은 무면허자의 문신행위를 금지하되 의료법상 의료인 중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의료인의 의료행위는 제외하도록 했다. 의사와 같은 의료인인데도 문신 시술 허용 대상에서 배제돼 부당하다는 대한치과의사협회와 대한한의사협회의 주장이 반영된 것이다. 본회의를 통과한 문신사법은 문신사를 국가면허제도로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문신사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아야 문신을 할 수 있다. 본회의에서 수정된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대한치과기공사협회(회장 김정민·이하 치기협)가 전국 치과기공소를 대상으로 면허신고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지난 9월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기법) 제11조(면허의 신고) 및 제20조(보수교육) 등 관련 법령에 근거, 치과기공소 운영 현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면허신고 및 보수교육 이수 여부를 점검해 향후 제도 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치과기공소는 국민의 구강 건강과 직결되는 치과 보철물 제작의 핵심 기관으로, 법령에 따라 면허를 신고하고 보수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치기협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치과기공소의 면허신고 현황을 정확히 확인하고, 미신고 치과기공소나 관리 사각지대를 사전에 점검해 불필요한 행정처분으로 인한 불이익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의기법 제22조에 따라 면허신고를 하지 않거나 보수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경우, 보건복지부장관은 면허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면허효력이 정지된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할 경우 불법행위에 해당하며, 면허효력 정지자를 고용한 치과기공소는 무면허자 고용으로 간주돼 행정처분 대상이 될 수 있다. 치기협은 이를 예방하기 위해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연세대학교치과대학(이하 연세치대) 교정과학교실이 지난 9월 13일과 14일 양일간 연송캠퍼스에서 전공의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교정과 전공의들이 한자리에 모여 학문적 성장을 도모하고 팀워크를 다지는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첫날에는 병원별 모임과 단체사진 촬영을 시작으로, 야외활동과 게임을 통해 협동심과 팀워크를 강화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저녁 시간에는 각 병원의 소개 영상을 상영하고, 레크리에이션과 경품이벤트를 통해 전공의 간 친밀감을 높이는 자리가 마련됐다. 둘째 날에는 병원별 모임 결과보고회를 통해 서로의 의견과 성과를 공유했으며, 폐회 기도를 끝으로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워크숍은 단순한 친목 모임을 넘어, 세브란스 교정과 전공의들이 서로의 경험과 생각을 나누며 임상적 통찰을 확장하는 뜻 깊은 시간이었다. 참석자들은 “짧은 일정이었지만 교류와 협력이 주는 힘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며 “동료들과의 교류 속에서 소속감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연송캠퍼스는 지난 4월 기존 신흥양지연수원에서 새롭게 이름을 바꾸고, 주요시설을 재정비했다. 대회의실은 ‘연송홀’, 세미나실은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어렵고 긴 논문을 핵심 내용 중심으로 설명하는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의 ‘저널인사이드’가 매월 신규 콘텐츠를 선보이며 꾸준히 시청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오스템 저널인사이드가 9월 선보인 두 편의 콘텐츠는 임플란트 현장에서 자주 마주하는 상황을 각각 요약해 설명하고 있다. 이중석 교수(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와 조영단 교수(서울치대 치주과학교실)가 연자로 참여해 각각 ‘상악동 이식 후 Soft bone에 식립된 Tapered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즉시 식립 시 골이식 여부에 따른 결과 차이’를 집중 조명했다. 첫 번째 영상에는 이중석 교수가 Soft bone 환경에서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뒤 식립한 Tapered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1년 6개월간 추적한 연구를 소개했다.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of Tapered Implants Placed at Maxillary Posterior Sites After Lateral Sinus Augmentation: A 1.5-year Follow-Up Prospective Study’ 연구논문은 이 교수가 직접 참여한 만큼 내용의
[치과신문_최학주 기자 news@sda.or.kr] 서울시치과의사회(이하 서울지부) 회사편찬위원장과 대한치과의사협회(이하 치협) 협회사편찬위원장을 역임한 치과계 역사의 산증인 변영남 서울지부 100년사편찬위원회 고문이 한국인 치과의사 면허 1호인 ‘한성치과의사회 창립자 함석태 평전-한국 최초의 치과의사 함석태(이하 함석태 평전/도서출판 글나무)’를 발간해 화제다. 특히 올해는 서울지부와 치협의 기원인 한성치과의사회 창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해로 변영남 고문의 ‘함석태 평전’은 100년이라는 긴 여정을 축하하고, 새로운 100년을 출발하는 시점에 기념비적인 출간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그간 서울시치과의사회사, 80년사, 90년사에 이어 올해 발간된 100년사까지 편찬과정에 모두 참여하며 한성치과의사회 및 근현대 치의학사에 대한 탁월한 식견과 혜안으로 후학들의 귀감이 되고 있는 변영남 고문은 “몇 해 전부터 함석태 선생에 관한 전기를 써보고자 마음먹었다”며 “후배로서 당연한 일로 생각해 역사에 관심이 많은 교수, 동료 선후배, 1920~30년대 신문기사 등 많은 자료를 수집, 정리해 편저자 형식으로 전기를 썼다”고 말했다. 또한 변영남 고문은 “한성치과의사회 창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불법으로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사무장병원의 명의 대여자 대부분이 60대 이상의 고령 의료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최근까지 5년간 불법개설에 가담한 인원은 총 699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면허를 대여한 개설명의자는 257명, 실제 개설·운영에 참여한 운영자(사무장)는 401명, 공모자 25명, 방조자 16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개설명의자 257명을 연령별로 살펴본 결과, 60대 43명(16.7%), 70대 44명(17.1%), 80대 70명(27.2%), 90대 5명(1.9%)으로 60~80대가 157명으로 61.1%를 차지했다. 80~90대도 75명(29.2%)에 달해 고령 의료인의 면허가 불법개설에 악용되는 사례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줬다. 직종별로 살펴보면, 일반인(의료인이 아닌 자)이 368명(52.7%)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치과의사 103명(14.7%), 약사 89명(12.7%), 의사 83명(11.9%), 한의사 29명(4.2%) 순이었다. 의사, 치과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관계종사자의 1인당 피폭선량이 지난 20년간 63% 감소했다고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이 발표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9월 23일 ‘2024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연보’를 발간했다. 2002년에 시작해 20년째 데이터가 축적됐다. 이번 연보에 따르면, 2024년 방사선관계종사자 수는 11만3,610명이고, 1인당 연간 평균 피폭선량은 0.36mSv(밀리시버트)로 통계자료를 처음 발표한 2004년에 비해 종사자 수는 3.4배 증가했고, 피폭선량은 63%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5년간으로 압축해보면 방사선관련종사자 수는 2020년에 비해 16% 증가했고, 1인당 연간 피폭선량은 10% 감소했다. 주요 종사자로는 중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의 비중이 전체의 74% 이상을 차지했으며, 치과의사는 0.18mSv, 치과위생사는 0.15mSv로 가장 낮은 직군으로 분류됐다. 피폭선량이 가장 많은 방사선사의 경우 0.73mSv으로, 20대에서는 1.25mSv까지 높아졌다. 질병관리청은 “방사선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하지만 불필요한 과다노출은 암 발생 등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진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국내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진료정보 침해사고는 총 100건으로 집계됐다. 발생 유형별로는 랜섬웨어 감염이 91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의료시스템 DB파일 삭제·악성코드 감염 등 기타 유형도 9건 보고됐다. 특히 랜섬웨어의 경우 모두 금전 요구로 이어져 병원 운영 마비와 환자 진료 차질로 직결될 수 있는 심각한 위협으로 지적된다. 기관 규모별 현황을 보면, △의원급에서 45건 △병원급 34건 △종합병원급 16건 △상급종합병원 5건이 발생했다. 특히 의원급 의료기관에서만 전체의 절반 가까이가 발생하며, 경증환자 진료를 담당하는 1차 의료기관이 보안의 취약지대임이 드러났다. 한편,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운영하는 사이버 침해사고 예방 서비스(보안관제 서비스)에 가입한 주요 상급종합·종합병원에서는 수천 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음에도 단 한 건의 침해 성공도 보고되지 않았다. 이는 예방서비스의 효과를 보여주는 사례로, 아직 미가입 상태인 의료기관에 대한 서비스 확대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 의원 측에 따르면,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회장 정세환·이하 구강보건학회)가 오는 10월 18일과 19일 양일간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산학협력관에서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종합학술대회는 ‘구강건강을 위한 보편적 건강보장’을 주제로 다양한 학술강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학술대회에서는 △한국의 보편적 건강보장 정책(임준 교수/인하의대) △한국의 구강보건 현황과 과제(류재인 교수/(경희치대) △건강보험에서의 시범사업 운영현황 및 성과(오주연 부장/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지불제도평가부) △통합돌봄 기반 방문 구강관리 서비스 시행을 위한 과제(신선정 교수(강릉원주대 치위생학과) 등 주제강연과 자유 토론 및 질의 응답이 마련되어 있다. 이어 기획 강연으로 강릉원주대학교 예방치학교실 30주년 기념강연, 신진연구자 및 학회와 연구회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구강보건학회 정세환 회장은 “국민 구강건강 향상과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 학문적 근거를 제공해야 할 책무가 더욱 커진 시점에서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며 “특히 올해 학술대회는 지난 수년간 서울에서 하루 일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지난해 11월, 질병관리청은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2018년 4만5,067명에서 2023년 15만3,802명으로 5년 새 약 3배 증가했다”면서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서 급성심장정지 위험을 높이는 주요 위험요인임을 인식하고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대국민 홍보를 진행했다. 문제는 2018년 수면무호흡증이 급여화되면서 관심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급여 혜택에서 제외돼 있는 단순코골이 환자, 40%에 달하는 양압기 부적응 환자는 갈 곳이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환자들에게 어떤 대안을 제시해줄 수 있을까? 그 해답은 ‘치과’에 있다. 구강장치, 직접 사용해보니…“이걸 왜 이제야” 본지는 실제 환자의 치료과정을 따라가 봤다. A환자는 수면다원검사에서 무호흡-저호흡 지수(AHI)가 55회로 확인될 정도로 심각한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AHI 지수 5회 미만은 정상, 5~15회 미만은 경도, 15~30회 미만은 중등도, 30회 이상은 중증)받고 꾸준히 양압기를 사용해왔다. 양압기의 효과는 좋았지만 사용과 관리의 불편은 시간이 갈수록 힘들게 느껴져 구강장치 치료를 결심했다.
[치과신문_신종학 기자 sjh@sda.or.kr] 온라인 교육 플랫폼 덴탈빈(대표 박성원·서성동)이 지난 9월 21일 김재윤 원장(연수서울치과)이 연자로 나선 임플란트 Basic Surgery Hands-on Course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세미나는 임상 초심자도 기본 개념부터 술식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기초 임플란트 수술 과정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김재윤 원장은 △Basic concepts of implant surgery △Incision & flap design △Implant installation hands-on(pig jaw, bone block 활용) △Gum detail model 실습을 중심으로 세미나를 진행, 참가자들은 실제 환자 시술과 유사한 환경에서 기본 수술 절차를 반복 훈련했다. 특히 이번 과정은 사전에 온라인 강의로 기초 이론을 학습한 뒤, 오프라인 현장에서 직접 실습을 병행하는 O2O(Online to Offline) 교육방식으로 구성, 교육효과를 극대화했다. 참가자들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임상에 바로 적용 가능한 술기를 손끝으로 체득할 수 있었다”는 호평을 남겼다. 덴탈빈은 실제 임상 상황을 재현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김영삼 원장(강남레옹치과)이 세 번째로 출간한 임플란트 저서 ‘심플 이미디엇 임플란트’ 출판기념 특강을 연다. 즉시 식립 임플란트에 자심감을 심어줄 필수 지식과 최신 기술을 전수하는 시간으로, 오는 10월 26일 그랜드머큐어 임페리얼팰리스 서울강남에서 오전 9시부터 종일강연으로 진행된다. 김영삼 원장은 이번 특강을 통해 Immediate Implant 드릴링 테크닉, 골이식, 각 치아별 Immediate Implant 프로토콜 등을 다룰 예정으로 관심을 모은다. 김영삼 원장은 최근 하악 소구치부터 상악 견치에 이르기까지 총 28개 치아별 즉시식립 방법을 아카이브 형식으로 수록한 세 번째 임플란트 저서 ‘심플 이미디엇 임플란트(군자출판사)’를 발간했다. 특히 이 책은 방대한 분량의 임상 사진과 생생한 해설을 담아내 곧바로 실전에 활용할 수 있는 임상 지침서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 각지에서 강연하고 있는 김영삼 원장이 오랜만에 국내 치과의사들과 만나는 시간으로, 등록자에게는 18만원 상당의 신간을 증정한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서울시치과의사회(회장 강현구·이하 서울지부) 대학생 홍보단 ‘서울덴탈프렌즈(이하 설덴프)’가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트렌디한 콘텐츠로 ‘서울지부 창립 100주년’ 홍보에 힘을 보탰다. 지난 9월 19일, 설덴프 3차 과제 발표가 진행됐다. 3차 과제는 서울지부 창립 100주년을 효과적으로 알리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 심사 결과 릴스(인스타그램 숏폼) 부문에는 불소장생팀, 카드뉴스 부문에는 이음팀이 선정됐다. 100년의 역사와 의미를 대중에게 쉽고 재미있게 알리고자 한 시도에 높은 평가가 이어졌다. 불소장생팀은 최근 유행 중인 ‘댓글 예쁘게 써라’ 밈을 접목한 콘텐츠를 선보였다. 서울지부 공식 캐릭터인 ‘건토와 솔치’를 전면에 내세워 젊고 활기찬 분위기를 만들었다. 캐릭터가 돋보이도록 배경음악과 목소리 톤 또한 차별화했으며, 한국어와 영어 자막을 동시에 삽입해 외국인 시청자의 접근성도 높였다. 무엇보다 ‘100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닌 단체’라는 무거운 이미지를 벗고, SNS 사용자에게 친근하고 미래지향적인 단체로 다가가려는 의도를 담아냈다. 이음팀은 자칫 무겁게 느껴질 수 있는 역사적 이야기를 건토와 솔치를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간호조무사협회(회장 곽지연·이하 간무협)가 2025년 정기국회를 앞두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들을 차례로 만나 간호조무사제도 개선과 정책과제를 설명했다. 곽지연 회장은 지난 9월 3일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 간사인 이수진 의원, 9월 4일 국민의힘 간사인 김미애 의원, 9월 12일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을 각각 예방하고, 간무협의 입장을 담은 ‘2025년 정기국회 대비 간호조무사 정책 제안서’를 전달했다. 곽 회장은 간호조무사 관련 현안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간무협이 제시한 주요 정책과제는 △간호조무사 시험응시자격 제도 개선 △일차의료 강화 시범사업 참여 확대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사업 내 간호조무사 활용 △요양병원 당직의료인 기준에 간호조무사 포함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현장 간호조무사 처우 개선 △의원급 의료기관 근로환경 개선 등 여섯 가지다. 정책 제안에 대해 국회 관계자들도 공감을 표했다. 이수진 의원은 “간호조무사의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은 국민 건강권 보장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고, 김미애 의원 역시 “보건의료 일선에서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대한치과보존학회(회장 김진우·이하 보존학회)가 오는 10월 25일과 26일, 서울 원불교 소태산 기념관에서 ‘202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7회 한일공동학회’를 개최한다. 보존학회 임정의 보수교육을 겸해 진행되는 이번 학술대회는 다양한 연구 발표와 더불어 국내외 저명 연자들의 특강이 마련돼 풍성한 학문적 교류의 장이 될 전망이다. 학술대회 첫째 날에는 조효진 교수(경북치대)의 ‘Minimally Invasive Endodontics’ 강연을 시작으로 △한일공동 신진 연구자 발표 △일본치과보존학회(JSCD) 기타무라 치아키 회장 초청 강연 △민수영 원장(연세웃는아이치과)의 ‘On the verge of pulp exposure: Caries Management Strategies in Pediatric Dentistry’ △신동훈 교수(단국치대)의 ‘Indirect Posterior Restoration: AI suggestion vs MINE’ 등의 강연이 이어지며, RDE 기념식과 특별 초청공연도 준비돼 있다. 둘째 날인 26일에는 △성건화 교수(원광치대)의 ‘Fundamentals of Teeth W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덴트포토 가이드 vol.07’이 출간됐다. 치과의사 디지털 커뮤니티 덴트포노는 회원들의 임상케이스를 모아 책으로 발간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이 그 일곱 번째 가이드북으로 여러 회원의 다양한 임상케이스가 담겼다. 덴트포토 어워드, 샤인학술상 수상자를 비롯한 덴트포토 회원들의 임상기고는 물론, 문화, 치과 의료 정보학 등 최신 트렌드도 알차게 담아냈다. 2024 덴트포토 어워드 수상자 엄상호 원장의 ‘수직 교합 거상을 동반한 전악 수복증례’, 2024 샤인학술상 수상자 김도영 원장의 ‘하악 전치부 임플란트 심미를 위한 고려사항들’, 2010 덴트포토 어워드 및 2015 샤인학술상 수상자 이학철 원장의 ‘FGG는 이렇게’ 임상케이스를 만나볼 수 있으며, 한금아 선생의 ‘치주염으로 병적이동 된 치아의 다학제적 접근치료과정’, 2024 덴트포토 아카데믹 프라이즈 수상자 신주섭 원장과 과천시보건소 김영수 교수의 인터뷰도 실렸다. 또한 치과 의료 정보학 코너를 통해 무료 오픈 소스 하드웨어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를 소개하고, 악기 이야기를 담은 문화기사 ‘연주자와 악기’ 등 다양한 읽을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네오바이오텍(대표 허영구·이하 네오)이 지난 9월 7일과 8일 양일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현지 치과의사 300여명을 대상으로 ‘ALX’를 비롯한 다양한 제품과 임상 솔루션을 소개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이번 심포지엄은 우즈베키스탄 시장에서 호평 받고 있는 네오의 핵심 제품과 치과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자리였다. 특히 독창적인 보디 디자인과 탁월한 성능으로 즉시로딩에 최적화된 차세대 임플란트 ‘ALX’가 현지 치과의사들의 활발한 문의와 상담을 이끌어내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참관객들은 ‘ALX’의 Deep Thread와 Wide Pitch 구조가 골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고, Full Helical Cutting Edge를 통한 Self-tapping을 가능하게 해 정확한 깊이 조절과 안정적인 식립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네오만의 콘셉트인 AnyTime Loading을 위한 CMI Fixation가 적용된 ‘CMI Implant(IS-Ⅱ, IT-Ⅲ)’를 비롯해 리페어 솔루션 FR, SR Kit, 임플란트 동요도 측정기 ‘AnyCheck’ 등 네오의 다양한 제품이 소개됐다. 아울러
[치과신문_전영선 기자 ys@sda.or.kr] 지난해 기준 일본 치과용기기(HS Code 902213) 수입의 80%를 한국과 독일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코트라)는 최근 일본 후쿠오카무역관을 통해 일본 치과용기기의 시장 동향을 밝혔다. 일본의 치과용기기 시장은 개인의 구강건강 및 예방의식 확산과 고령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2024년 약 3억640만 달러에서 2033년 약 6억23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7.2%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3D이미징, 디지털 레이저, CAD/CAM 시스템, 구강스캐너 등 고정밀 진단 및 치료장비의 도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이러한 전망치를 뒷받침해준다. 코트라가 밝힌 최근 3년간 일본의 치과용기기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독일이 2024년 전체 수입량의 47.8%를 차지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인 2023년에 비해 13.3%p나 급증한 결과다. 수입액 2위를 차자한 한국의 수입은 2023년 소폭 감소한 이후 다시 5.3%p 증가하면서 2024년 32.7%의 비중을 차지했다. 주목할 점은 2024년 기준 독일과 한국의 수출 비중이 80.5%에 달한다는 점이다.
[치과신문_이가영 기자 young@sda.or.kr] 임플란트 전문기업 코웰메디(대표 최현명)가 최근 타이완에서 세미나를 개최하고 현지 임상가들과 학술적 교류를 이어갔다. 이번 행사는 코웰메디의 글로벌 활동을 알리는 동시에 브랜드 비전을 확산시키는 자리로 성황리에 진행됐다. 세미나에서는 장호열 원장(장호열치과)이 연자로 나서 GBR(골유도재생)과 연조직 재생의 최신 임상 원칙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실제 임상 증례와 함께 코웰메디의 주요 솔루션인 Wifi Mesh, GBR Kit, Lodestar Sinus Kit 등의 적용 사례가 구체적으로 소개됐다. 참가자들은 수술 과정에서의 공간 유지, 예측 가능한 골 재생, 안전한 상악동 거상 등 코웰메디 제품군이 제공하는 임상적 가치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타이완 현지에서 수십여 명의 치과의사들이 참석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현지 특성을 고려할 때 상당히 높은 참여율로 평가되며, 코웰메디가 해외 시장에서 쌓아가고 있는 신뢰와 관심을 보여주는 사례가 됐다”고 최사 측은 밝혔다. 코웰메디는 이번 행사를 통해 현지 임상가들과 직접 소통하며 제품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동시에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