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15)

URL복사

독일, 애도의 공간을 디자인하다

독일은 전쟁과 폐허, 재건과 애도의 땅이다. 도시에 전쟁과 역사의 흔적을 없애지 않고 일상에서도 인식하려는 공간을 만들어 낸다. 도시의 공공공간은 애도의 장소로 채워졌다. 애도의 공간을 일상의 공간과 접목하려는 건축가들의 노력이 엿보인다. 근대역사의 반성과 흔적을 잊지 않으려는 노력도 있지만, 그보다 더 오래된 역사도 최대한 보존하려고 애쓴다. 고고학은 진실이 아니라 사실이다. 건축은 도시와 사람에게 빛과 움직임의 공간구성을 이용하여 장소성과 역사적 사실의 속살을 드러내게 도와준다.


애도의 도시

 


이제는 통일이 되어 한국과 같은 분단국가라는 사실이 사라졌지만, 우리에게 베를린은 남다르다. 그러나 직접 가본 베를린의 이념과 지리적 경계는 우리와 같은 절대적 경계가 아닌 사실에 놀랐다. 이념에 의해 지리적 경계를 설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야 하는 삶은 아무리 시대의 상황이라고 해도 개인에 미치는 영향은 너무나도 커 보인다. 그러나 베를린이라는 현실의 도시는 전쟁의 폐허 위에 새로운 건축과 공간을 만들고 있어 예상과는 매우 달랐다. 새로운 현대건축이 즐비했고 최첨단의 건축물 사이에 역사를 기리는 추모의 공간들이 많다. 그들만의 애도 방법은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제사를 지내는 우리와 다르게 도시의 일상에서 찾는 듯하다[그림 1].


피터 아이젠만(Peter Eisenman)의 애도 방식

 


베를린의 대표적인 애도의 공간은 단연코 피터 아이젠만의 Holocaust Memorial1)이다. 광장에 단 하나의 모티브인 죽은 자들을 위한 관과 같은 단순한 직육면체 매스의 반복. 그러나 하나도 같지 않은 낮고 작은 것에서부터 사람 키를 훌쩍 넘는 것까지 펼쳐져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그 사이를 다니면서 직접 추모를 할 수 있게 있다. 광장의 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지속해서 수직적인 변화를 주었다. 처음엔 호기심으로 그곳을 들어가더라도 내부를 돌아다니다 보면 애도의 공간에 의해 나처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외부인도 추모와 역사와 인류를 생각하게 한다[그림 2].


Edge, 나눠짐의 시작

 


베를린의 또 하나의 대표적인 애도 공간은 Daniel Libeskind의 Jewish Museum2)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박물관 옆에 전혀 다른 현대건축의 박물관을 세웠다. 뱀처럼 구불구불한 외부건축 형태부터 눈이 가는 박물관은 설계 초기에 베를린이라는 도시 공간에서 유대인과 관련된 역사적 공간을 축으로 이어서 형태를 완성했다고 한다. 즉 박물관 자체가 도시에서 유대인 역사의 축소판을 형상화한 것이다. 건축가 특유의 건축어휘와 장치를 통하여 추모의 분위기를 끌어내는 현상학적 공간을 창조해냈다[그림 3].


빛기둥 다발로 추모하는 공간

 


베를린 시내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미니멀리즘의 현대식 추모공원이 있다. 우리에게는 생소한 건축가인 Axel Schultes Architect가 설계한 Baumschulenweg Cemetery3)이다. 가보면 전체적인 공동묘지는 특별한 것이 눈에 띄지 않는데 추모관에 들어가면서 미니멀리즘 건축물이 있다. 노출 콘크리트로 만든 단순한 박스의 가운데를 찢어 하늘을 받아들이고 내부는 빛과 콘크리트 기둥의 다발이 있어 고요하면서도 침잠하는 듯한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일본의 미니멀리즘에 익숙해서인지 왠지 서양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 공간은 오히려 더 낯설다. 그런데도 전 세계 어느 곳이라도 죽은 사람을 기리기 위한 분위기를 간직하는 공간과 장소는 같다고 느껴지는 공간이다[그림 4].


폐허를 밝히는 빛

 


쾰른(Koeln)의 콜롬바 박물관(Kolumba Museum)4)은 지금과는 조금 색다른 공간이다. 도시 한복판에 오래된 로마 시대 폐허의 장소 위에 설계된 박물관은 그 지층 아래의 역사를 오롯이 떠안고 있어야 하는 숙명인데 그 과업을 건축가 피터 줌터(Peter Zumthor)는 내부를 벽돌로 막고 한쪽 벽을 느슨하게 막아 햇빛과 외부에 있는 나무들이 바람이 불 때마다 흔들리는 바람과 그림자를 끌어들여서 상상하기 어려운 공간을 만들어 냈다. 서울 도심부 종로가 재개발하면서 나오는 유적 보존의 방법이 대부분 박물관에 옮기고 흔적만 남기거나 현장 보존의 경우 유리를 이용해 시각적 체험을 유도했다면 이곳은 폐허 안으로 걸어 들어가 자연과 교류하면서 역사의 지층을 온몸으로 느끼게 해준다. 역사의 지층을 보존하고 새로운 지층을 만들어 도시의 미래까지 예측해 보고 고민한 흔적이 박물관 구석구석에 담겨 있다[그림 5].

 

 

※주석
1.https://www.archdaily.com/938511/peter-eisenman-designing-berlins-holocaust-memorial
2.https://inhabitat.com/daniel-libeskinds-jewish-museum-berlin-commemorates-the-holocaust-to-prevent-future-acts-of-genocide/
3.https://www.alamy.com/stock-photo-modern-crematorium-at-baumschulenweg-cemetery-in-treptow-berlin-germany-30898113.html
4.https://www.archute.com/kolumba-museum-peter-zumthor/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맞는 말이라도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다
살다보면 맞는 말인데 옳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것들이 있다. ‘맞다·틀리다’는 참과 거짓을 나누는 명제로 객관적인 관점이고, ‘옳다·그르다’는 주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객관적으로는 맞는 것이지만 주관적으로는 옳다고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은 선거에서 보였듯이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반대로 옳다고 하는 말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시어머니 잔소리나 혹은 직장 상사나 선생님, 선배 혹은 부모가 될 수도 있다. 얼마 전 전공의대표가 대학 수련 병원 시스템을 이야기하면서 “의대 교수는 착취사슬 관리자, 병원은 문제 당사자”라고 표현하였다. 객관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대학병원 현 상태를 명쾌하게 한마디로 정의한 깔끔한 표현이었다. 다만 모두가 알고 있지만 차마 입 밖으로 낼 수 없었던 사실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 표현을 보면서 뭔가 마음이 불편함을 느꼈다. 수련의가 지도교수들을 착취의 관리자라고 표현한 것을 보면서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도제식 교육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직업 중 하나가 의료계인데 이런 도제식 교육적 개념을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기술자는 교과서에

재테크

더보기

원달러 환율과 인플레이션

연고점을 경신하는 달러원 환율 원달러 환율(달러원 환율 같은 뜻이다)이 연고점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다. 4월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53.2원이었는데, 글을 쓰고 있는 4월 9일은 장중 1,355원까지 올랐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천정이 뚫려있는 모양새다. 외환 당국이 방어를 하던 환율 박스권도 돌파된 상황이다. 환율이나 금리 같은 경제지표의 최신 가격을 단순히 지식으로 알고 있는 것과 환율 상승이나 금리 인하의 이유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과는 천지차이다. 그리고 올바른 해석을 바탕으로 실제 투자에 적용해 수익을 내는 것은 다른 차원의 문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크로 변화의 표면적인 이유를 겉핥기 하거나 뉴스에서 제공되는 뒷북 설명을 뒤따라가기도 바쁜 것이 현실이다. 필자는 2023년 초부터 일관되게 원달러 환율 강세를 대비한 달러화 자산의 중요성에 대해 본 칼럼과 유튜브를 통해 강조해왔다. 그리고 실제로 투자에 적용해 작년 초 미국주식, 미국채, 금, 비트코인 등 원화 약세를 헤징할 수 있는 달러화 표기 자산들을 전체 총자산의 80%까지 늘려 편입했으며, 원달러 환율 상승의 리스크 헤지는 물론 추가적인 수익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