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25)

URL복사

또 하나의 미니멀리즘

포르투갈 제2의 도시 포르투는 유럽에서 미니멀리즘 건축의 본거지다. 알바로 시자(Alvaro Siza)와 에두아르도 수토 드 모라(Eduardo Souto de Moura)로 대표되는 이곳은 작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전통건축과 함께 근대건축과 현대건축으로 가득 차 있다. 최근에는 구조주의 현대건축의 정점인 카사 다 뮤지카(Casa da Musica)와 조안 롤랭과 관계된 렐루(Lello)서점으로 사람들이 몰린다. 또한,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Lisbon)에는 아이레스 마테우스(Aires Mateus) 형제의 서브트랙션(Subtraction:빼기)1) 건축기법의 미니멀리즘이 기다리고 있다.


미끄러지듯 들어오는 메트로

 


포르투 미니멀리즘 건축의 대표 건축가인 알바로 시자(Alvaro Siza)2)는 세랄베스 현대미술관(Serralves Museu)3)으로 유명하지만, 시내 지하철역인 상 벤투 역(Sao Bento)4)을 보면 그의 디자인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미니멀리즘이라 약간 비워진 듯하고 지하철 공간이라 조명도 환하지는 않아 살짝 안전이 걱정스럽지만, 내부공간은 마치 백색의 미술관과도 같이 고요하면서도 절제된 분위기를 풍긴다. 특히 전철이 지상에서 들어오고 나가는 입구를 전철 탑승구에서 볼 수 있는데 이 공간을 통해 전철이 미끄러져 들어오는 순간은 압권이다. 지하철 플랫폼에 서면 빛을 머금은 전철이 지상에서부터 천천히 지하로 내려오는 광경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그림 1].


바다의 수영장

 


포르투에 가면 바닷가에 있는 알바로 시자(Alvaro Siza)의 레싸 수영장(Leca Swimming Pools)5)도 가봐야 한다. 최소한의 인공건축물로 바닷가의 일부를 적절하게 막아 자연스러운 형태의 천연수영장을 만들었다. 직사각형의 국제 규격 인공 수영장만 봐온 필자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해가 지는 시간에 바다에 비까지 내려 제대로 수영장 사진도 제대로 찍지 못했지만, 이런 건축적 고민으로 설계된 수영장을 본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필자가 정한 세계 3대 수영장은 렘 콜하스의 빌라 달라바(Villa dall’Ava)의 2층 수영장,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인피니트 풀, 그리고 이곳 포르투의 수영장이다[그림 2].


 

잘 세공한 도시의 보석

 

현대건축의 거장 렘 콜하스(Rem Koolhaas)는 포르투에 보석을 만들었다. 그것도 정교한 세공을 한 카사 다 뮤지카(Casa da Musica)6)를.

 

포르투 구도심의 로터리 한쪽을 완전히 비운 대지에 건축물을 배치했다. 사이트 바닥은 곡선의 대지를 만들고 보석 세공한 것 같은 기하학적 형태의 건축을 가뿐하게 올려놓았다.

 

내부는 대음악당을 중심으로 관통(Penetratin)이라는 현대건축의 어법을 사용했고, 기존에 설계했던 Y2K 주택 프로젝트를 그대로 가져온 콘서트 홀의 개념은 렘 콜하스의 최전성기의 작품이다. 이것만으로도 포르투는 꼭 가봐야 할 곳이다[그림 3].

 


대지 건축(Landscape Architecture)

 


해리포터 작가 조앤 롤랑이 자주 들렸다는 렐루(Livraria Lello)7)서점 근처에는 Balonas & Menano가 설계한 리스본 플라자(Plaza de Lisboa)8)가 있다. 현대건축의 대표적인 설계방법인 대지 건축 즉 인공대지를 만들고 주변의 땅과 연결해서 건축물을 만드는 것으로 지붕을 정원같이 사용하고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다니게 된다. 하늘에서 보면 건물이 아니라 공원을 조성해 놓은 듯한데 삼각형 블록 하나를 다 사용하여 주변의 모든 곳에서 접근하기 쉽게 했다. 자연과 인공의 일체화된 모습이 좋아 위아래를 열심히 돌아다녀 본다[그림 4].


아줄레주(Azulejos) 타일9)

 


볼량(Bolhao) 전철역을 올라오면 보이는 영혼의 예배당(Chapel of Souls)으로 불리는 알마스 성당(Chapel Almas de Santa Catarina)10)은 유럽의 어느 성당과도 비교할 수 없는 다른 입면을 가진다. 포르투갈만의 푸른색 타일이 벽면에 가득한데 아줄레주 타일이 하나의 명화가 된다. 건물 입면에 사용되는 타일의 주 역할은 마감재이어서 벽화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어려운데 이곳은 마치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 벽화의 블루 프린트 판처럼 느껴진다. 낮에는 밝은 도시에서 푸른색이 눈에 띈다면 밤에는 어두운 도시를 배경으로 빛이 나는 도자기와 같다. 파랑은 다른 색들과는 확실히 다른 뭔가가 있음이 분명하다. 미셸 파스투로(Michel Pastoureau)의 파랑의 역사11)를 다시 한번 읽어본다[그림 5].

 

*주석
1) https://www.archdaily.com/880012/architecture-faculty-in-tournai-airesmateus?ad_medium=office_landing&ad_name=article
2) http://www.alvaroleitesiza.com/
3) http://www.serralves.pt/en/
4) https://en.wikipedia.org/wiki/S%C3%A3o_Bento_(S%C3%A3o_Paulo_Metro)
5) http://architectuul.com/architecture/leca-swimming-pools
6) https://www.casadamusica.com/
7) https://www.livrarialello.pt/pt-pt/
8) https://architizer.com/projects/praca-de-lisboa/
9) https://en.wikipedia.org/wiki/Azulejo
10) https://pt.wikipedia.org/wiki/Capela_de_Santa_Catarina_(Santo_Ildefonso) Almas는 포르투갈어로 영혼들을 뜻한다.
11)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770922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부족한 필수의약품 성분명 처방 강제?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성분명 처방 법안 발의에 의사단체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지난 9월 2일 장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 발의한 ‘약사법-의료법 개정안’은 민관협의체에서 수급 불안정 의약품을 지정해 성분명 처방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이를 따르지 않으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강제조항도 포함됐다. 이에 서울시의사회(회장 황규석)는 지난 9월 26일 서울시의사회관에서 성분명 처방에 반대하는 대표자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100여명이 참석한 궐기대회에서는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의 부당성을 알리고 법안 철회를 촉구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료인 탄압이자 직역 모독”이라면서 해당 법안이 의사의 전문적 판단권을 침해하고, 환자 안전을 위협하며, 의약분업 근간을 훼손하고 의료현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석자들은 △타이레놀 처방하면 징역살이 웬말이냐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철회하라 △성분명 처방 논의 전에 의약품 수급 해결하라 등의 피켓을 들어올렸다. 서울시의사회 황규석 회장은 “참담한 현실 속에서 새로운 방식의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며 “오늘부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10월 원달러 환율과 금리 사이클의 후반부

원·달러 환율은 2025년 9월 FOMC 이후 9월 18일부터 반등세를 확대하며, 10월 14일 장중 1,435원까지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등락에 집중하기보다, 이번 금리 인하 사이클이 지닌 구조적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율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글로벌 유동성의 흐름과 자본 이동, 그리고 각국의 정책 방향을 집약적으로 반영하는 거시 지표다. 이번 기고에서는 금리 사이클의 프랙탈 구조를 중심으로, 원·달러 환율의 현재 위치와 향후 흐름을 자산배분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금리 인하 사이클의 후반부, 즉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으로 보면 ‘B와 C 사이 후반부’에 위치해 있다. B는 첫 번째 금리 인하가 시작되는 시점을, C는 경제위기로 인한 급격한 금리 인하나 긴급회의를 동반하는 국면을 의미한다. 2024년 9월 FOMC에서 첫 금리 인하가 단행된 이후, 2025년 9월 재인하가 이뤄지며 현재는 B~C 구간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상황이다. 아직 경제위기 C 국면은 아니지만, 연속적인 금리 인하가 이어지면서 시장은 점차 금리 인하 사이클의 막바지로 향하고 있다. 이 시점은 통상적으로 위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