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4.1℃
  • 맑음강릉 17.3℃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4.6℃
  • 맑음대구 17.1℃
  • 맑음울산 16.9℃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5.0℃
  • 맑음고창 12.4℃
  • 맑음제주 14.9℃
  • 맑음강화 12.6℃
  • 맑음보은 13.4℃
  • 맑음금산 13.8℃
  • 맑음강진군 15.3℃
  • 맑음경주시 17.4℃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29)

URL복사

유럽의 랜드마크, 성당은 나라마다 다르다

유럽의 중세 수백 년을 지나온 사람들은 엄청난 건축양식을 간직하게 됐다. 이제는 원래의 목적보다는 관광자원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 속에 담긴 사람들의 사연은 아직도 그대로다. 하나님은 한 분이지만 성당은 나라마다 다르고 도시마다 다르다. 시간은 누구나 어느 곳이나 절대적으로는 같지만 과거, 현재, 미래에 따라 달라진다. 그에 비해 공간은 처음부터 다르게 주어지니 태생적으로 같을 수 없지 않을까? 사람도 사회도 시간이 지나고 공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종교적 진리는 안 그럴까? 성당을 이해하기엔 숨은 이야기가 너무 많고 복잡하다. 그러나 어느 성당이든 도시의 중심으로의 위엄을 보여주는 외부와 함께 안으로 들어가면 개인적 침잠과 숭배의 공간이 펼쳐진다. 어떤 곳이든지 성당이 보이면 들어가 보아야 한다.

 

벨기에(Belgium)의 성당

 


파트라슈와 함께 걸었던 네로가 그렇게 보고 싶어 했던 루벤스(Rubens)의 성모승천(Assumption of the Virgin)1) 명화가 있는 앤트워프 성모 마리아 성당(Cathedral of Our Lady Antwerp)2)의 외형은 고딕양식이다. 안트베르펜은 벨기에 북부에 있는 도시로 벨기에 수도인 브뤼셀에서 네덜란드로 가는 길에 들를 수 있다. 필자를 감탄하게 만든 것은 루벤스 그림보다 성당의 천장이다. 수많은 성당의 청장을 봐왔지만 이렇게 아름다운 곳은 흔치 않다. 과도하다 싶은 장식과 그림 등으로 어디든 가득 채워진 성당을 봐와서인지 천장을 백색으로 완전히 비우고 아치의 교차점에 작은 꽃과 같은 최소한으로 한 장식은 신선하고 심지어 충격적이기도 하다. 이게 고딕의 미니멀리즘인가? 뭐든 과유불급이다. 비우자(그림 1).

 

독일 쾰른(Cologne)의 전형적인 고딕양식 성당

 


독일 쾰른 대성당(Cologne Cathedral)3)은 전형적인 고딕양식 성당이다. 도시에 비해 거대한 규모의 성당은 사진 한 장으로 전체를 남기기 어렵다. 전형적인 성당은 파리의 노트르담(Cathedrale Notre-Dame de Paris)과 샤르트르(Cathedrale Notre-Dame de Chartres) 대성당이 더 유명하지만, 쾰른이 좋은 것은 주변 광장에 많은 사람과 비둘기가 머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의 흐름으로 외형은 부스러지고 색도 검게 변했지만, 위엄은 그대로다. 필자도 나이가 들면 이렇게 되고 싶다(그림 2).

 

그리스의 고전주의 신전

 


아테네의 파르테논(Parthenon)4)은 성당이라기보다 신전이다. 성당이 기독교의 공간이라면 신전은 그 이전의 신들의 공간이다. 엄밀히 따지면 다른 공간이지만 공간의 분위기와 상징성은 같으리라. 고전주의라는 단어가 여기에서 나왔듯이 파르테논은 시작이라는 의미가 더 크다. 원본의 아우라는 미술 분야보다 건축에서 더 크다. 3차원의 공간과 장소를 체험하니 당연한 것이리라. 아크로폴리스에 올라보면 세상이 달라 보인다. 필자가 달라졌으니 그렇다(그림 3).

 

동유럽 불가리아(Bulgaria)의 성당

 


이름만으로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드는 도시 소피아(Sofia). 그 아름다운 도시 한복판에는 소피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대성당(Cathedral Saint Aleksandar Nevski)5)이 있다. 서유럽에 익숙해서인지 처음에는 형태와 규모, 색과 장식이 어색해 보였다. 성당에 사용된 청동의 푸르스름한 색감과 황금색은 흐린 동유럽 날씨와 잘 어울린다. 물론 맑고 푸른 날에는 더 잘 어울리리라. 종교와 낭만은 풍족하고 좋은 날씨의 서유럽보다 상대적으로 덜한 동유럽 쪽이 더 애잔하고 사무쳐 보인다(그림 4).

 

터키(Turkey)의 푸른 공간

 


이스탄불(Istanbul)에 술탄 아메드 모스크(Sultan Ahmed Mosque) 즉 블루 모스크(The Blue Mosque)6)는 아야 소피아(Aya Sofya) 반대쪽에 위치한다. 아야 소피아는 붉은색의 모스크로 최근까지 박물관으로 사용되지만 블루 모스크는 지금껏 종교공간으로 이용되었다. 서양과 동양의 접점 도시 이스탄불에 성당보다 모스크가 대표되는 것을 보면 종교에서는 서양의 기독교와 동양의 이슬람의 접점을 찾기 어려운가 보다. 이런 정치 종교 사회적인 상황과는 별개로 모스크로 인해 이스탄불 도시는 아름답다. 특히 보스포로스(Bosporus) 해협의 해질녘에 노을을 받은 모스크와 그 첨탑(minaret)은 잊혀지지 않는다(그림 5).

 

*주석
1) 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B%AA%A8_%EC%8A%B9%EC%B2%9C
2) https://en.wikipedia.org/wiki/Cathedral_of_Our_Lady_(Antwerp)
3) https://en.wikipedia.org/wiki/Cologne_Cathedral
4) https://en.wikipedia.org/wiki/Parthenon
5) https://en.wikipedia.org/wiki/Alexander_Nevsky_Cathedral,_Sofia
6) https://en.wikipedia.org/wiki/Sultan_Ahmed_Mosque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같은 시간에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
외국에서 근무하는 딸이 오랜만에 집에 와 모처럼 대화가 이어졌다. 딸과는 따로 지낸지 오래다 보니 늘 공통의 화제가 적었고 생각의 차이도 컸다. 모처럼 가족이 모두 모인 식탁에서 최근 유행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좋은 대화 소재가 되었다. 드라마의 인상적인 장면이 가족 모두 달랐다. 덕분에 각자의 생각이 다름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딸은 서울서 상처받고 제주 집에 돌아온 금명을 가족이 돌봐주는 장면을 말하였고, 필자는 관식이가 병원에서 마취에서 깨어나며 자신이 돌을 쌓으러 가지 않았어야 한다고 혼잣말을 하는 장면이 가장 생각난다고 했다. 딸은 외국생활을 하다가 집에 돌아왔을 때 자신의 모습을 금명을 통해서 본 듯했다. 필자는 아버지 관식이의 삶에 대한 생각을 말했다. 관식은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에 막내아들 동명을 잃는 최악의 불행을 맞았다. 게다가 자신이 바다에 돌을 쌓으러 나가지 않았으면 죽지 않을 수도 있었다. 가장 행복한 순간에 가족에게 가장 큰 불행을 경험하게 되면, 삶에서 행복지수가 올라가는 순간이 오면 불안지수도 같이 올라가게 된다. 행복할수록 더 불안해지는 아이러니한 마음상태가 된다. 관식이 마음의 반은 평생 자신의 잘못으로 막

재테크

더보기

트럼프 관세전쟁과 자산시장 전망 | 미국채 금리와 달러 인덱스 중심 분석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선포는 글로벌 경제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약 100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관세 정책으로, 자산시장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특히 미국 증시는 기록적인 변동 폭을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오늘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이 글로벌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채(TLT) 금리와 달러 인덱스(DXY)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기적 자산 배분 전략의 관점에서 향후 대응 전략을 제시해보겠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직후부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적으로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강력한 관세 부과 조치를 단행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단순히 무역적자 해소를 넘어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관세전쟁의 장기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시장은 이러한 불확실성 증가를 반영해 4월 2일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고, 시장참여자들은 지금이 긴 하락장의 초입인지, 이벤트로 인한 단기적 주가 조정에 그치는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채 금리의 급격한 변화와 달러 인덱스의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