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6.2℃
  • 맑음강릉 17.9℃
  • 맑음서울 15.5℃
  • 맑음대전 16.9℃
  • 맑음대구 19.1℃
  • 맑음울산 18.9℃
  • 맑음광주 16.2℃
  • 맑음부산 16.8℃
  • 맑음고창 14.3℃
  • 맑음제주 16.6℃
  • 맑음강화 14.3℃
  • 맑음보은 15.3℃
  • 맑음금산 15.4℃
  • 맑음강진군 17.1℃
  • 맑음경주시 19.3℃
  • 맑음거제 15.4℃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24)

URL복사

디테일이 전부다

안토니오 가우디(Antonio Gaudi)부터 엔릭 미라예스(Enric Miralles: EMBT), 라파엘 모네오(Rafael Moneo), 산티아고 칼라트라바(Santiago Calatrava), 알베르토 캄포 바에자(Alberto Campo Baeza), RCR(Rafael Aranda, Carme Pigem and Ramon Vilalta) Arquitectes까지 스페인은 필자가 아는 한 건축 분야의 최강자다. 전 세계 어떤 나라도 이렇게 다양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하는 건축가들은 없다. 그들은 유기적인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까지 개념과 디테일은 다 다르지만, 공통점은 놀라운 건축을 한다는 것이다. 스페인을 다녀보면 이러한 놀라움은 현대 건축 이전의 건축에서부터 계속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스페인 건축의 3요소_곡선, 빛, 공기

 


바르셀로나(Barcelona)를 대표하는 안토니오 가우디(Antonio Gaudi). 그의 건축작품 중 구엘 공원(Park Guell)1)은 자연과 유기적 관계와 형태를 표현한 가장 뛰어난 건축작품이다. 아침 일찍 공원에 가면 사람도 적고, 공기도 좋고, 입장료도 없다. 시원한 바람을 맞으면서 가우디의 공간을 체험하는 것은 무더운 바르셀로나에서 단비와도 같은 시간이 된다. 꽃과 나무를 보면서 공원을 거닐다 보면 어느새 건축을 보고 건물 내부에 들어와 있고 옥상에서는 도시의 전망을 보게 된다. 자연과 인공과 외부와 내부의 자연스러운 연결, 이 어려운 유기적인 연결을 가우디는 디자인으로 해냈다[그림 1].


태양의 조절하는 루버(Louver) 디자인

 


건축가 제로니모 준케라(Jeronimo Junquera)가 설계한 태양의 조절하는 루버인 Zigzagging Pergola Pier One2)은 El Palmeral de las Sorpresas(놀라운 팜 글로브)라는 애칭처럼 스페인 남쪽 도시 말라가(Malaga) 뜨거운 스페인 남부 해변의 햇살 아래 눈부시게 펼쳐진다. 해변이 좋은 건 누구나 안다. 하지만 햇빛이 부담스럽다. 파란 바다와 푸른 하늘 아래 흰색의 야자수 이미지를 빌려 온 퍼고라(Pergola)는 기능적으로 형태적으로 감각적으로 미학적으로 모든 이에게 기쁨을 준다. 엄청난 거대한 육중한 건축이 아니라 없는 듯 있으면서 자기 할 일 다하는 우렁각시와도 같다[그림 2].


무어(Moore)양식의 디테일

 


스페인 서남부는 아랍의 침략 역사로 인한 이 지방만의 독특한 양식이 만들어졌다. 무어양식3)은 스페인의 전통에 아랍식의 기하학적 패턴이 절묘하게 엮여 있다. 이 양식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장소가 알함브라 궁전(Alhambra Palace)과 헤네랄리페(Generalife)4)다. 궁전 내부공간 천장의 기하학 패턴은 2차원이 아니라 3차원으로 마치 벌집과도 같은 입체적 구성이다. 특히 천장 네 귀퉁이에서 시작하여 아치 중심까지 연결되는 디테일은 한 군데만 잘못 시공하면 폐기해야 할 정도로 하나의 덩어리로 완성된다. 장인정신의 극치다[그림 3].


역사의 이면을 건축으로 표현하는 곳

 


마드리드에서 가까운 곳 톨레도(Toledo)5)는 예전의 수도였던 상태 그대로 남아있다. 마치 중세시대의 시간이 그대로 멈춘 듯하다. 톨레도 대성당에서부터 엘 그레코 집과 박물관(Casa y Museo El Greco)까지 골목을 돌면 새로운 골목이 끝없이 물고 물리는 미로와도 같은 곳이다. 그렇게 골목을 헤매고 길을 잃으면서 보이는 수많은 것 중에 눈에 띄는 것은 유명한 건축물보다는 일상의 집들의 단면이다. 맞벽 구조로 시간에 따라 연결하고 확장하고 철거하면서 생긴 단면들. 공간에서부터 장소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건축의 단면은 장소의 고고학적 지층이다. 진짜 여행은 길을 잃으면서 시작된다는 말을 실감한다. 행복한 길잃기의 시작은 톨레도이다[그림 4].


All about Scale

 


마드리드의 박물관들이 모여 있는 곳, 소위 마드리드 미술 골든 트라이앵글이다. 티센 보르네미스자 박물관(Museo Thyssen-Bornemisza)6)에서 시작해서 프라도 박물관(Museo Nacional del Prado)7)의 벨라스케스(Diego Velazquez) 최고의 작품인 시녀들(Las Meninas)8)을 보고 헤르조그 앤 드 뮤론(Herzog & de Meuron)의 카이샤 포룸(Caixa Forum Madrid)9)을 거쳐 도달한 소피아 미술관(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ia)10)에는 그 유명한 피카소의 게르니카(Guernica)11)가 있다. 마드리드 모든 박물관은 서양 역사의 한 획을 긋는 건축물과 미술작품들로 가득 채워져 있어 다니는 곳마다 보는 즐거움을 멈출 수 없다. 그 중 필자가 놀라 한동안 머물렀던 곳은 18세기 마드리드 최초의 병원에서 시작한 소피아 미술관을 2005년 장 누벨(Jean Nouvel)이 증축한 건물의 뒤쪽 입구 중정(Atrium)이다. 이곳은 너무나 거대해서 스케일로 측정이 불가능한 공간처럼 느껴진다. 특히 스케일의 기준이 되는 사람들이 있을 때 보이드 공간은 더욱더 크게 느껴진다[그림 5].

 

*주석
1) https://en.wikipedia.org/wiki/Park_G%C3%BCell
2) https://www.alamy.com/stock-photo/p%C3%A9rgola-zigzagueante-muelle-uno.html
3)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C%96%B4%EC%9D%B8
4) https://en.wikipedia.org/wiki/Alhambra
5) https://en.wikipedia.org/wiki/Toledo,_Spain
6) https://www.museothyssen.org/en
7) https://www.museodelprado.es/en
8)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B%85%80%EB%93%A4
9) https://caixaforum.es/es/madrid/home
10) https://en.wikipedia.org/wiki/Museo_Nacional_Centro_de_Arte_Reina_Sof%C3%ADa
11) https://en.wikipedia.org/wiki/Guernica_(Picasso)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같은 시간에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
외국에서 근무하는 딸이 오랜만에 집에 와 모처럼 대화가 이어졌다. 딸과는 따로 지낸지 오래다 보니 늘 공통의 화제가 적었고 생각의 차이도 컸다. 모처럼 가족이 모두 모인 식탁에서 최근 유행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좋은 대화 소재가 되었다. 드라마의 인상적인 장면이 가족 모두 달랐다. 덕분에 각자의 생각이 다름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딸은 서울서 상처받고 제주 집에 돌아온 금명을 가족이 돌봐주는 장면을 말하였고, 필자는 관식이가 병원에서 마취에서 깨어나며 자신이 돌을 쌓으러 가지 않았어야 한다고 혼잣말을 하는 장면이 가장 생각난다고 했다. 딸은 외국생활을 하다가 집에 돌아왔을 때 자신의 모습을 금명을 통해서 본 듯했다. 필자는 아버지 관식이의 삶에 대한 생각을 말했다. 관식은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에 막내아들 동명을 잃는 최악의 불행을 맞았다. 게다가 자신이 바다에 돌을 쌓으러 나가지 않았으면 죽지 않을 수도 있었다. 가장 행복한 순간에 가족에게 가장 큰 불행을 경험하게 되면, 삶에서 행복지수가 올라가는 순간이 오면 불안지수도 같이 올라가게 된다. 행복할수록 더 불안해지는 아이러니한 마음상태가 된다. 관식이 마음의 반은 평생 자신의 잘못으로 막

재테크

더보기

트럼프 관세전쟁과 자산시장 전망 | 미국채 금리와 달러 인덱스 중심 분석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선포는 글로벌 경제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약 100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관세 정책으로, 자산시장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특히 미국 증시는 기록적인 변동 폭을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오늘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이 글로벌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채(TLT) 금리와 달러 인덱스(DXY)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기적 자산 배분 전략의 관점에서 향후 대응 전략을 제시해보겠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직후부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적으로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강력한 관세 부과 조치를 단행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단순히 무역적자 해소를 넘어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관세전쟁의 장기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시장은 이러한 불확실성 증가를 반영해 4월 2일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고, 시장참여자들은 지금이 긴 하락장의 초입인지, 이벤트로 인한 단기적 주가 조정에 그치는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채 금리의 급격한 변화와 달러 인덱스의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