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18)

URL복사

스위스와 현대건축의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

스위스는 유럽의 지리적 중심에 위치하지만, 자연환경과 연결된 독특한 건축적 분위기로 현대건축에서 현상학과 비판적 지역주의1)의 대표가 되 었다. 지금의 스위스는 현대건축의 대표적 형태인 직육면체 스위스 박스 (Swiss Box)로 대표하는 건축가 헤르조그 앤 드 뮤론(Herzog & de Meuron)과 빛과 물 등 자연을 이용한 현상학적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피 터 줌터(Peter Zumthor)로 인해 현대건축의 주류가 되었다. 이후 헤르조 그 앤 드 뮤론은 재료를 이용한 초기 현상학적 작품에서 벗어나서 외피의 패턴을 이용하거나 구조를 공간화하는 등 다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발레리 오 올지아티(Valerio Olgiati), 피터 마클리(Peter Markli), 기공 앤 가 이어(Gigon & Guyer) 등 다 나열하기도 어려운 많은 뛰어난 건축가들이 자연 속의 도시, 도시 속의 자연이 당연하게 느껴지는 스위스의 환경 속에 서 과감하게 때로는 타협하듯 만들어 내는 현대건축은 놀라움의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 현상학적 투명, 반투명, 불투명의 건축적 경계 조정과 석 재, 나무, 유리, 철 등 다양한 자연 건축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 내는 스위 스만의 비참조적 현상학적 공간을 들여다본다.

 

파라메트릭 스킨(Parametric Skins)

 

 

바젤 시내 Muenchensteinerbrucke의 남동쪽 기차길에 놓여 있는 시그널 타워(Signal Tower) 는 주변의 공동주택과 오피스와 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오브제의 역할까지 하는 현대건축적 디자 인이다. 자세히 보면 수평띠가 연 속성을 가지면서 조금씩 변형되 어 전체의 단순한 기하학 형태가 완성된다.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컴퓨터로 3차원 모형의 매개변수(Parameter)를 변화하여 나타나는 형태 를 이용하는 파라메트릭 스킨(Parametric Skins) 설계방법이다. 이러한 디자인과 구리의 수평띠를 사용한 결과 기능적인 시그널 타워가 마치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은 그라데이션(Gradation)이 나타나는 유기적인 형 태로 거듭났다. 주변에 또 다른 유사한 시그널 타워 4가 쌍둥이처럼 서 있다[그림 1].

 

공동주택을 이들처럼 한다면

 

 

바젤 시내를 걷다 보면 눈에 띄는 공공주택이 나온다. 저층의 공동주택인 헤르조그 앤 드 뮤론의 Schutzenmattstrasse Apartment and Office Building2)은 입면에 폴딩(Folding)창을 이용 하여 실용적인 기능 공간과 다양 한 입면 디자인을 동시에 해결하 였다. 춥고 밤이 긴 겨울과 무더운 여름의 극한 날씨를 극복하는 건 축적 방법은 복도형 공간을 막고 열리는 장치 하나로 해결하고자 하였다[그림 2].

 

오래된 파리의 공동주택도 새롭게

 

 

파리 시내는 5층 정도의 블록형 공동주택이 많다. 언뜻 보면 한국 의 공동주택과 완전히 달라서 공동 주택인지 알기 어렵다. 중앙의 아트리움은 공동으로 사용하고 외부 로 각 세대의 창과 베란다가 위치할 수밖에 없다. 이럴 때 건축적 디자인으로 사적 공간의 침해나 채광의 불리함을 해결해야 하는데 헤르조그 앤 드 뮤론의 Apartment Buildings in Rue des Suisses는 바젤의 공공 주택과 유사한 건축어휘를 이용하였다. 대신 이곳은 금속 타공판을 이용하여 반투명의 외피를 만들었다[그림 3].

 

의자의 마을 비트라(Vitra)와 정밀한 제약회사 노바티스(Novartis)

 

 

바젤 근처 비트라 마을의 로터리 중앙에는 커다란 의자가 놓여 있다. 비트라가 산업디자인의 메카가 된 것은 의자디자인 때문이다. 우리가 매일 앉는 의자는 단순하고 일상적이지만 그 의미는 매우 크다. 비트라 캠퍼스는 노바티스 캠퍼스와 더불어 현대건축의 보고이다. 비트라 하우스, 뮤지엄, 소방서, 전시관 등 다양한 건축물들이 즐비하다. 당대의 내로라 하는 건축가들의 작품들이라 독립적이고 서로 연계되기는 어려운 것이 아쉽다. 비트라 캠퍼스가 기성 스타 건축가의 디 자인 잔치라면 노바티스 캠퍼스는 그들과는 다른 새로운 최고의 건축가들에 의해 조성된다[그림 4].

 

알프스의 노을

 

비트라를 떠나는 저녁에 노을이 진다. 낮게 깔린 비트라 마을은 자연에 묻히고 하늘의 구름은 붉은색으로 변한다. 한순 간 갑자기 어두워져서 당황하게 된다.

 

서둘러 기차역으로 오는데 아침에 지나간 마을 로터리 가운데 놓인 의자 주변에 불빛이 들어온다. 의자 조각상이라고 해야 하나? 조각상이 칸델라 불빛을 받아 낮의 이미지를 벗고 새로운 낭만을 입는다.

 

스위스의 낭만은 산업과 정밀과 학과 치밀한 계산이 만들어 낸 아우라가 밖으로 비춰지는 것이다[그림 5].

 

 

 

 

 

 

*주석

1) http://www.auric.or.kr/User/Rdoc/DocRdoc.aspx?returnVal=RD_R&dn=105776#.X4pa2dAzaUk

2) https://en.wikiarquitectura.com/building/schutzenmattstrasse-apartment-and-office-building/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나는 반딧불’의 위로가 지닌 의미
얼마 전 진료실 라디오에서 잔잔한 노래 하나가 들렸다. 얼핏 처음 가사가 들렸을 때 스스로 빛나는 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반딧불이라고 들렸다. 그래서 슬프다는 내용인 줄 알았는데 그 다음 가사가 알고 보니 자신은 개똥벌레였다고 하는 내용이었다. 빛나는 별이 아닌 줄 알았고 반딧불인 줄 알았는데 결국에는 그것도 아닌 개똥벌레였다면 엽기적이고 가학적이고 심한 우울한 가사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많은 대중들이 위로를 받는다고 하여 노래를 찾아보았다. 가사는 살다가 어느 날인가 스스로 하늘에 빛나는 별이 아닌 땅에 기어 다니는 개똥벌레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개똥벌레도 스스로 조그만 가치의 빛을 낸다면 누군가에겐 비록 작더라도 소중한 빛을 내는 반딧불일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내용이었다. 이 노래는 지난해 말부터 우울했던 대중들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다. 잔잔한 음률에 남성 가수의 담담하고 고즈넉한 목소리 톤으로 부른 ‘나는 반딧불’이다. 잔잔한 음률에 젖어서 찬찬히 가사 내용을 음미해보면 2·30대들의 아픔이 느껴진다. /나는 내가 빛나는 별인 줄 알았어요/한 번도 의심한 적 없었죠/몰랐어요 난 내가 벌레라는 것을/그래도 괜찮아 난 눈부시니까/하늘에서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