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28)

URL복사

웹/네트워크 도시

호주는 도시 간 거리가 너무 멀다. 동쪽 시드니(Sydney), 북쪽 케언즈(Cairns)나 다윈(Darwin), 서쪽 퍼스(Perth), 중앙의 울룰루(Uluru), 그리고 남쪽 멜버른(Melbourne). 호주는 시드니를 빼면 도시가 크지도 않아 한 도시만 보러 가기도 뭔가 아쉽다. 그러나 멜버른은 다르다. 자연 속의 도시인데 도시 내부가 잘 연결되어 있다. 도시의 중심을 지나는 공짜 트램을 타고 도시 한 바퀴 돌아보자. 현대건축이 도시 곳곳에 숨겨져 있다.


경계 내의 자유

 


필자를 멜버른으로 가게 만든 현대건축 이안 포터 센터(The Ian Potter Centre)1)는 페더레이션 광장(Federation Square)에 있다. 도시에 비해 상당히 큰 규모로 도심에 위치하고 건축디자인도 남다르다. 멜버른에 머무는 동안 매일 이곳에 내려서 하루를 시작했다. 그냥 가고 싶어지는 건축이다. 가서 30분 정도 주변을 돌아다니고 눈과 몸에 담았다. 복잡한 웹처럼 네트워크로 엮인 입면은 외부보다 내부에서 밖을 바라볼 때 더 극적으로 느껴진다. 관계의 직설적인 표현일까? 이곳의 건물 외피는 마치 거북이 등껍질처럼 외피가 구조의 역할을 많이 담당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외피 디자인은 놀라울 따름이다. 매일 가서 보는데도 매번 새로운 것이 눈에 띈다. 아마도 너무 복잡한 입면과 디테일 때문일 것이다. 현대건축에 나타난 새로운 장식인 걸까 고민해본다[그림 1].


미사와 그래피티(Graffiti) 골목

 


한국에서는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로 유명한 호지어 레인(Hosier Lane)2)은 작은 골목에 불과하다. 골목을 가득 채운 그래피티는 멜버른의 깨끗한 도시 이미지와는 정반대인데 그래서인지 더 탈출구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많은 사람이 벽을 배경으로 각자의 포즈를 취해본다. 그런 사람들 사이를 지나가다 뒤를 돌아보니 골목 사이로 이안 포터 센터가 보인다. 골목의 복잡한 색과 그림들 사이로 복잡한 현대건축의 디자인이 보인다. 서로 다른 복잡함이 동시에 보인다[그림 2].


있는 듯 없는 듯, 보일 듯 말듯

 


멜버른 시내의 서던 크로스 역(Southern Cross Station)을 지나 도크랜스 공원(Docklands Park)으로 가면 엠파빌리온(MPavilion)3) 중 하나인 아만다 레비트(Amanda Levete)의 파빌리온을 지나간다. 삼각 부메랑처럼 생긴 반투명한 것들이 커다란 햇빛우산처럼 모여 있다. 경쾌하면서 도시에 다양한 표정을 만들어주는 파빌리온은 도시의 공간에 여유를 준다. 모든 것이 꼭 필요한 수요과 공급에 의해 작동하지는 않는다. 조금은 여유롭게 조금은 비워두는 그 보이드(Void)가 도시에 활력을 줄 것이다[그림 3].


호주의 신고전주의 건축

 


조셉 리드(Joseph Reed)가 설계한 신고전주의 양식의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State Library Victoria)4)는 멜버른 도심에 위치한다. 도서관 앞쪽은 정원으로 많은 사람이 햇빛을 즐긴다. 내부공간은 중앙에 8각형 돔 아트리움은 라 트로브(La Trobe) 독서실로 사용하는데 층고가 높은 덕에 필자 머릿속의 지식도 높아지는 듯하다. 비워진 공간이 더 쓸모가 있는 법이다. 공간의 효율성은 보이지 않는 효과까지 따져봐야 할 것이다[그림 4].


숲속의 도시

 


멜버른이 아니더라도 호주 전체는 자연이 압도적이다. 자연 속에 도시가 있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웬만한 도시는 이제 도시 안에 자연을 일부러 넣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생태건축, 지속가능성도 도시가 커져서 나온 해결책이다. 멜버른 시내에서 프린세스 브리지(Princess Bridge)를 건너면 퀸 빅토리아 가든(Queen Victoria Gardens)5)이다. 거대한 도심 정원 그 자체도 좋지만, 정원에서 바라보는 멜버른 시내는 자연 속의 도시라는 멜버른이 실감난다[그림 5].

 

*주석

1) https://fedsquare.com/venues/the-ian-potter-centre-ngv-australia
2) https://www.visitmelbourne.com/regions/Melbourne/Things-to-do/Art-theatre-and-culture/Public-art/VV-Hosier-Lane
3) https://mpavilion.org/locations/
4) https://www.slv.vic.gov.au/
5) https://en.wikipedia.org/wiki/Queen_Victoria_Gardens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우울과 불안의 관계
우울과 불안은 현대인 심리적 고통의 양대 산맥으로 불린다. 물론 개개인으로 접근하면 성격에 따라 나타나는 형태와 민감도의 차이는 있으나 양상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과거에 대한 집착은 우울을 만들고,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이 불안을 만들어낸다고 알고 있다. 우울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불안은 늘 우울을 유도하기 때문에 우울 속에 불안이 포함되는 관계다. 진화심리학에서는 우울과 불안을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 긍정적인 시각으로 파악한다. 인류가 탄생하고 좀 더 많이 우울하고 불안한 자들이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런 성향이 결국 DNA 속에 내재되었다. 인체가 감염되면 염증유전자가 발현되며 면역체계가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기분저하 유발 시스템이 가동된다. 우울모드로 진입되면 외부 활동을 중지하고 에너지 비축으로 회복에 집중하는 효과가 있다. 우울한 모습은 다른 사회 구성원들에게 구조 신호를 보내고 도움을 받는 데 유리했다. 개인적으로는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의 집중력을 높이고 위험 회피나 환경 적응에 도움이 되어 생존가능성을 높였다. 불안은 사회적 민감성을 높여서 집단 내에서 갈등을 줄이고 협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 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집

재테크

더보기

이스라엘-이란 분쟁 속 2025년 6월 원달러 환율 시황과 전망

2025년 6월 13일 이스라엘이 이란을 기습적으로 공습하면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금융시장이 빠르게 반응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 또한 민감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가와 달러인덱스의 움직임은 글로벌 투자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됐으며, 환율의 향후 방향성에 따른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도 높아졌다. 이 칼럼에서는 원달러 환율의 흐름을 글로벌 금리 사이클과 프랙탈 분석을 바탕으로 전망하고, 투자자들이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다뤄보려 한다. 2025년 6월 18일 현재 글로벌 경제는 금리 인하 사이클의 B~C 구간 후반부를 지나고 있다. 본격적인 경제위기 국면(C)의 진입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환율시장 역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필자의 지난 분석에 따르면, 경제위기 국면(C)의 시작은 2025년 4분기(10월 전후)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시기가 다가올수록 환율의 상승 압력도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과거의 금리 사이클과 환율 움직임을 분석해보면, 환율은 대개 경제위기가 본격화되기 직전에 급등하면서 이전 고점을 돌파하는 패턴을 반복적으로 나타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지난 두 달간 꾸준한 하락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