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2.2℃
  • 맑음서울 11.7℃
  • 맑음대전 10.8℃
  • 맑음대구 11.5℃
  • 맑음울산 12.2℃
  • 맑음광주 9.9℃
  • 맑음부산 14.3℃
  • 맑음고창 8.0℃
  • 맑음제주 12.8℃
  • 맑음강화 12.0℃
  • 맑음보은 7.3℃
  • 맑음금산 8.2℃
  • 맑음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5℃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13)

URL복사

아시아 특유의 향이 가미된 서양의 현대건축

싱가포르는 아시아에서 가장 현대건축이 많은 도시이다. 이곳의 건축은 현실에 밝은 중국인과 말레이인이 만나 실용적이면서도 과감하고 아시아 특유의 분위기도 담긴 독특한 것들이다. 서양의 현대건축에 익숙한 눈에는 좀 낯설고 비판적 지역주의(Critical Regionalism)1)로 보일 수 있다. 현대건축이라는 개념도 서양 중심의 사고이니 이곳의 건축은 다른 어휘가 필요한 것일까?


사람이 만든 것은 낮보다 밤에 더 빛난다

 


싱가포르의 랜드마크라고 하면 머리는 사자이고 몸은 물고기인 머라이언상(Merlion)과 Moshe Safdie2)가 설계한 마리나 베이 샌즈 싱가포르(Marina Bay Sands Singapore)가 떠오른다. 라스베이거스나 마카오에도 있는 샌즈는 성인용 유흥이 연상된다면 싱가포르는 좀 더 건전하고 가족끼리 휴양하는 이미지다. 옥상의 인피니트 수영장으로 유명하지만, 밤이 되면 이곳은 호텔 뒤쪽 Wilkinson Eyre Architects의 가든즈 바이 더 베이(Gardens by the Bay)3) 수퍼트리쇼(Super tree show)와 함께 환상적인 야경을 만든다. 마리나 베이 쪽에서 레이져쇼를 보고 뒤쪽으로 이동하면 수퍼트리쇼를 감상할 수 있다. 사람이 만든 것 중 빛나는 밤만큼 강렬한 것은 없어 보인다[그림 1].


세상에서 제일 아름답고 우아한 리모델링

 


1929년 영국 식민지 시절에 지어진 역사적인 건물들인 시청과 대법원을 리모델링한 싱가포르 국립 미술관(Singapore National Gallery)4)은 기존의 두 건물을 연결하여 사이공간을 아트리움(Atrium)으로 만들었다. 공간의 구조는 나뭇가지 형태를 이용하여 지지하고  우아한 금색 곡선 지붕을 이용하여 차양막과 같은 출입구를 새로 넣었다. 황금색이 이렇게 우아하고 세련되게 표현된 것은 이 곳만 한 곳이 없다. 두 건물을 잇는 공중 보행로, 지붕의 일부를 감싼 황금색 외피, 싱가포르의 동양적 특성과 자연요소를 이용한 섬세한 디자인의 결과는 세상에서 제일 아름다운 공간을 창조했다[그림 2].


산과 산을 연결하는 보행자용 파도

 


Henderson Waves5)는 싱가포르 남부 해안 고속 도로인 헨더슨 도로 위 36m 위에 위치하여 텔록 블랑가 힐 파크(Telok Blangah Hill Park)와 마운트 페이버 파크(Mount Faber Park)를 연결하는 274m 길이의 보도교다. 전체적인 형상은 삼각 함수의 조합으로 이뤄진 기하학적 형상 함수라고 하는 크고 작은 아치 7개가 파도치는 물결 모양을 이루고 있다. 수학과 공학을 이용한 디자인의 결정체다. 안전하면서도 자연친화적이고 아름다운 다리를 연출하기 위해 강재와 목재가 외피로 사용됐으며 그 결과 데크 위에서 앉아서 쉬거나 주변을 조망할 수 있도록 교량 위쪽은 열려 있고 숲속을 걷는 듯 자연이 가득하다[그림 3].


중국과 말레이의 결합

 


말레이반도로 이주해 온 중국인 남성과 말레이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이들을 페라나칸(Peranakan)이라고 하며 싱가포르 문화의 뿌리이다. 그 외에 주변국인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그리고 유럽 식민지로 인한 영국, 포르투갈, 네덜란드의 문화가 가미되었다. Peranakan Place Complex6)는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와 건축양식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맞벽 구조의 주택들이 연속되어 연결된 것은 마치 네덜란드 건축의 아시아판 같다. 싱가포르 시내 한복판에 전통가옥이 공존하여 다양한 공간을 형성한다. 주변에 상업시설 안에 있는 조용한 공간인 library@orchard도 또 다른 특색 있는 공간이다[그림 4].


싱가포르 도시 재생

 


 Botanic Gardens 건너편 자연 속에 숨겨진 고급 식당가로 유명한 Demsey Hill7)마을. 1차, 2차 세계대전 동안 영국과 일본 그리고 다시 영국의 식민지 지배를 받으면서 1980년대까지 군부대 막사(Barrack)로 쓰이던 곳을 리모델링한 곳이다. 최소한으로 손을 대서 리모델링한 곳인데 걷다 보니 눈에 띈 양철지붕의 매력적인 곳은 최고의 아이스크림 벤 앤 제리(Ben & Jerry). 행복감은 최고조에 달한다. 이 맛에 여행한다[그림 5].

 

※주석
1.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47055721
비판적 지역주의는 케네스 프램튼이 주창한 현대건축의 담론으로 근대건축에 주위 지형과 대응시키고 기후와 풍토를 고려하고 기하학적 형태의 도입하는 등 지역주의를 혼합해서 새로운 지역적 건축을 창조하는 것으로 서유럽과 미국 중심의 근대건축과 다른 지역적 요소를 보이는 스위스, 북유럽, 멕시코, 일본의 현대건축을 지칭한다.
2.https://en.wikipedia.org/wiki/Moshe_Safdie
3.https://www.gardensbythebay.com.sg/
4.https://www.nationalgallery.sg/about/building/architecture
5.https://www.designboom.com/architecture/henderson-waves-by-rsp-architects-planners-and-engineers-ijp-corporation/
6.https://www.peranakanplace.com/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286029&memberNo=37690380&searchKeyword=Peranakan&searchRank=1
7.http://www.dempseyhill.com/index.html
https://www.ladyironchef.com/2010/07/dempsey-hill-restaurants-singapore/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같은 시간에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
외국에서 근무하는 딸이 오랜만에 집에 와 모처럼 대화가 이어졌다. 딸과는 따로 지낸지 오래다 보니 늘 공통의 화제가 적었고 생각의 차이도 컸다. 모처럼 가족이 모두 모인 식탁에서 최근 유행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좋은 대화 소재가 되었다. 드라마의 인상적인 장면이 가족 모두 달랐다. 덕분에 각자의 생각이 다름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딸은 서울서 상처받고 제주 집에 돌아온 금명을 가족이 돌봐주는 장면을 말하였고, 필자는 관식이가 병원에서 마취에서 깨어나며 자신이 돌을 쌓으러 가지 않았어야 한다고 혼잣말을 하는 장면이 가장 생각난다고 했다. 딸은 외국생활을 하다가 집에 돌아왔을 때 자신의 모습을 금명을 통해서 본 듯했다. 필자는 아버지 관식이의 삶에 대한 생각을 말했다. 관식은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에 막내아들 동명을 잃는 최악의 불행을 맞았다. 게다가 자신이 바다에 돌을 쌓으러 나가지 않았으면 죽지 않을 수도 있었다. 가장 행복한 순간에 가족에게 가장 큰 불행을 경험하게 되면, 삶에서 행복지수가 올라가는 순간이 오면 불안지수도 같이 올라가게 된다. 행복할수록 더 불안해지는 아이러니한 마음상태가 된다. 관식이 마음의 반은 평생 자신의 잘못으로 막

재테크

더보기

트럼프 관세전쟁과 자산시장 전망 | 미국채 금리와 달러 인덱스 중심 분석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선포는 글로벌 경제에 큰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약 100년 만에 이뤄진 대규모 관세 정책으로, 자산시장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며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특히 미국 증시는 기록적인 변동 폭을 나타내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오늘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이 글로벌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채(TLT) 금리와 달러 인덱스(DXY)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기적 자산 배분 전략의 관점에서 향후 대응 전략을 제시해보겠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직후부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적으로 중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강력한 관세 부과 조치를 단행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단순히 무역적자 해소를 넘어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관세전쟁의 장기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시장은 이러한 불확실성 증가를 반영해 4월 2일 이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고, 시장참여자들은 지금이 긴 하락장의 초입인지, 이벤트로 인한 단기적 주가 조정에 그치는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채 금리의 급격한 변화와 달러 인덱스의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