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건축가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 (7)

URL복사

새로운 일본식 현상학적 공간_도쿄

젊은 일본 건축가들이 단게 겐조(Tange Kenzo)와 안도 다다오(Ando Tadao)의 그늘을 벗어나기 위해 지난 세대 건축의 문제점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노력한 결과 도쿄는 새로운 건축물로 가득 채워졌다. 복잡계 이론의 현상학적 표현은 기성세대의 전유물인 콘크리트를 버리고 목재와 유리를 취했다. 그 현장을 찾아가 본다.


목재 2×4로 새둥지를 만들다

 

쿠마 켄고(Kuma Kengo)의 작은 건축, 약한 건축, 자연스러운 건축, 연결하는 건축은 나무, 돌, 흙을 이용하여 작은 단위(unit)를 만들어 쌓고 연결해서 원하는 공간을 만드는 방식이다. 디지털의 픽셀이 모여 전체 이미지를 만드는 포토샵과 같다고 할까. Sunny Hills Minami Aoyama Store1)는 목재를 엮어서 새로운 건축을 만들어냈다. 후쿠오카 다자이후(Dazaifu)의 스타벅스 실내와 유사한 가구식 목재의 조합은 비록 일부 공간에 한정된 아쉬움이 있지만, 현대과학의 이론을 일본 전통의 방식으로 접합하는 건축의 새로운 사고방식은 분명하다[그림1].

 

이번엔 나무판으로…

 

도쿄대학 내 The Daiwa Ubiquitous Computing Research Building2)은 또 다른 쿠마 켄고 작품이다. 장난하듯 디자인한 나무판들의 반복된 건물 입면이 대단하다. 건물 입구의 카페도 경쾌하고 좋은 공간이지만 건물 옆면의 무한히 반복되는 나무판은 어이가 없을 지경이다.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일상의 단위 유닛이 모이면 커다란 힘이 된다는 역사적 진실을 보는 듯하다. 한국 같으면 유지보수 안된다고 절대 못 하게 할 텐데 이렇게 디자인되고 시공되다니 놀라울 뿐이다. 건축에서 설계 개념과 가치를 인정하는 건축주도 시공자도 건축가만큼 중요하다[그림2].


유리로 만든 청자 이미지

 

Kisho Kurokawa가 설계한 The National Art Center3)는 유리 루버(Louver)를 이용하여 투명하다 못해 푸른 청자를 만들어 낸 듯하다. 한국에서 고려청자의 비법은 없어져 이제는 만들지 못하는데, 이 건축물은 유리를 이용하여 마치 거대한 고려청자를 빚은 듯 만들었다. 유리의 푸르스름한 색감은 반복되어야 나타나는 유리만의 독특한 표현법이다. 또한, 유리는 휘어진 곡선 형태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잘게 나눈 유리 루버를 이용하여 두 가지 약점을 장점으로 탈바꿈시켰고 그 결과 현대판 반투명의 청자를 빚었다[그림3].

 


 

유리와 철로 현상학적 공간을 창조하다

라파엘 비뇰리(Rafael Vinoly)가 설계한 Tokyo International Forum4)은 도쿄역 옆에 있는 거대한 유리와 철의 국제회의센터다.

 

외부에서는 단순한 유리 박스지만 내부의 수직으로 뚫린 로비(Foyer)는 사이사이로 빛을 받아들여 다양한 빛의 공간을 펼쳐낸다.

 

아래에서 보면 천정의 거대한 철골조 사이로 하늘이 보이고 위로 올라가면 비워낸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에서 또 다른 철과 유리로 만든 현상학적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같은 건축가가 설계한 한국의 종로타워는 왜 그렇게 했을까 묻고 싶다[그림4].

 


금속 패턴과 빛_MIU MIU Aoyama


명품쇼핑거리로 유명한 도쿄의 오모테산도(Omotesando)와 아오야마(Aoyama)에는 명품 못지않게 현대건축이 즐비하다. 이곳의 건축은 토즈(Tod’s)처럼 새로운 개념의 현대건축도 있지만 많은 경우 고급스러움과 세련됨의 브랜드 본질을 보여주기 위한 현상학적 건축 디자인이 눈에 띈다. Herzog & de Meuron이 설계한 MIU MIU Aoyama5)는 살짝 들려진 면에 구리 타공패널(Embossed Metal)과 조명을 이용하여 환상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건너편 프라다의 입체 유리 다이아몬드형 패턴과 옆의 스텔라 매카트니의 Y자 패턴과 같이 사람들을 유혹한다[그림5].

 

 

※주석

1. https://www.dezeen.com/2014/02/25/sunnyhills-at-minami-aoyama-by-kengo-kuma/
2. https://www.wallpaper.com/gallery/architecture/the-architecture-projects-reshaping-japan
3. https://www.architonic.com/en/project/kisho-kurokawa-the-national-art-center/5100617
4. https://www.t-i-forum.co.jp/en/
5. https://www.archdaily.com/614983/miu-miu-aoyama-store-herzog-and-de-

meuron/551b0049e58ece22c5000010-portada_miu_miu_aoyama_03-jpg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7월,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를 위한 자산배분 전략

2025년 7월 3일, 미국 증시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투자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급의 V자 반등이 나타나면서 주식시장 상승에 따른 투자자들의 관심 역시 크게 높아졌다. 특히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거나 자산배분을 고민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시장 방향성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 시점이다. 자산배분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위험자산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시작할지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칼럼에서는 2025년 7월의 금리 사이클과 현재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처음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하는 투자자들에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산배분 투자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포트폴리오의 목표 비중을 설정하는 일이다. 이는 금리 사이클의 흐름을 이해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전략적으로 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과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 사이 비중을 축소하고, 이후 2020년 4월부터 하반기까지 다시 비중을 확대해 코로나19 위기 상황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