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DF 바로가기

치과의사 정태종 교수의 건축 도시 공간 눈여겨보기(27)

URL복사

세상은 항상 상상 그 이상이다

남미는 매우 멀다. 비행기로 간다 해도 24시간은 걸린다. 한국에서는 일본이나 미국 또는 멕시코를 거쳐야만 한다. 이코노미 증후군이 무섭다면 비행기 값도 부담이다. 그래도 가봐야 할 이유는 수억 수조 개다. 값싼 물가, 개발되지 않은 자연, 우리와는 다른 생활 환경, 스페니시 콜로니얼(Spanish Colonial) 양식의 도시와 건축물, 잉카문명 등. 남미여행의 관문은 페루의 리마(Lima)다. 남미의 대표적인 대도시인 리마에서 며칠 지내면서 분위기를 익히고 본격적인 유적과 자연을 탐험하러 쿠스코(Cusco)로 떠난다.


인천공항만 공항이 아니다

 


리마(Lima)를 거쳐 쿠스코(Cusco)1) Alejandro Velasco Astete Airport에 도착한다. 일단 공항이 지금껏 봐왔던 대도시의 공항이 아니다. 공항은 언제부터인지 한 나라를 대표하는 관문이 되고 상징이 됐다. 그래서인지 최근 공항은 규모도 커지고 현대건축 특히 구조적 아름다움을 보여주면서 세련되고 편리한 공간을 추구한다. 인천국제공항은 세계적으로 제일 좋은 공항 중 하나다. 그곳을 떠나 하루 만에 도착한 쿠스코 공항은 시골의 버스터미널 같다. 하지만 멀리 보이는 산맥과 그 아래 펼쳐 있는 마을은 인천에서 볼 수 없는 풍경이다. 드디어 왔다. 낯선 곳으로[그림 1].


돌로 만든 연속성

 


잉카(Inca)문명의 대표 마추픽추(Machu Picchu)2)는 기차로 계곡을 지나 한참을 간다. 문화유적은 워낙 많이 알려져서 직접 간다는 것에 더 의미를 부여하는 곳이라고 생각되어 크게 기대하지는 않았다. 다른 문화역사유적을 방문할 때와 유사한 경험치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막상 가보니 경험치는 예상과 비슷했다. 그곳에서 놀라운 건 돌이라는 재료였다. 모든 곳이 다 돌이다. 석재가 중요한 그리고 그 당시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이기에 토목에도 건축에도 다 사용해왔던 것이리라. 이곳은 석재의 연속성으로 나를 놀라게 했다. 스위스 건축가 발레리오 올지아티(Valerio Olgiati)가 언급했던 돌로 만든 비참조적인 건축과 도시가 내 눈앞에 펼쳐졌다. 어느 곳에서도 없는 새로운 건축이다[그림 2].


가벼워야 사는 곳

 


마추픽추에서 멀지 않은 고산지대에 있는 티티카카 호수(Lake Titicaca)3)는 마추픽추와는 정반대로 느껴졌다. 돌과 산이라는 육중함의 정반대인 물과 갈대의 가벼움으로 세상을 가득 채웠다. 물이라고는 전혀 없을 것 같은 고산지대에 이런 호수가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놀라운데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생활은 더욱 놀랍다. 물속 갈대밭을 밟는 순간 밀려오는 발바닥의 느낌은 다시 못 돌아갈 것 같았다. 푹 빠지는 듯한 느낌. 광주리에서 계속 살아야 한다면 과연 살 수 있을까? 이방인인 필자는 여전히 나의 관점에서 살고 있었다[그림 4].


영혼을 지키는 콘도르

 


쿠스코에서 대머리 독수리를 볼 수 있는 곳인 Mirador Cruz del Condor4)를 가본다. 이곳에서 콘도르는 영혼을 지킨다고 한다. 평소 독수리를 볼 기회가 많지 않아 용기를 냈다. 고산지대 하늘은 우리의 하늘보다 더 고요하다. 고요한 하늘은 약간의 미동에도 더 민감하게 느껴진다. 비어있는 공간은 그저 비어있는 것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뭔가로 가득 차 있음을 느낀다. 한참을 기다리니 독수리 한두 마리가 날아오른다. 독수리라는 존재에 겁이 덜컥 나는데 다행인 것은 멀리서만 볼 수 있다. 이곳 사람들의 영혼은 이 독수리가 지켜준다는데 내 영혼은 무엇이 지켜주려나[그림 4].


코카잎 차와 흔들리는 칸델라 불빛

 


쿠스코는 고산지대라 머리가 아파져 온다. 두통약이 없어도 코카잎 차의 힘을 빌리면 문제없다는 말을 순진하게 믿은 대가를 치르면서 머물러야 한다. 시골일수록 밤은 길고 할 일은 적다. 어두워진 골목을 나서 쿠스코 성당(Cusco Cathedral)5)까지 걷다 보면 마을의 밤을 지키는 칸델라 불빛으로 시내는 온통 오렌지빛이다. 한국에서 볼 수 없는 밤의 색이다. 형광등의 창백한 백색은 이곳에서 볼 수 없다. 한국 기준으로 보면 50년은 후퇴한 분위기다. 그렇다고 달라진 건 없다. 나는 나 자신이고 여기에서 옛길을 옛 정서를 느낄 뿐이다. 주변에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형태의 작은 도시 쿠스코에서 머무른다는 사실 자체가 낭만의 상징과도 같다[그림 5].

 

 

*주석

1) https://ko.wikipedia.org/wiki/%EC%BF%A0%EC%8A%A4%EC%BD%94
2)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B6%94_%ED%94%BD%EC%B6%94
3) https://ko.wikipedia.org/wiki/%ED%8B%B0%ED%8B%B0%EC%B9%B4%EC%B9%B4%ED%98%B8
4) https://www.tripadvisor.ca/Attraction_Review-g798819-d9870207-Reviews-Mirador_Cruz_del_Condor-Cabanaconde_Colca_Canyon_Arequipa_Region.html
5) https://en.wikipedia.org/wiki/Cusco_Cathedral

 

 

관련기사

더보기
4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배너

심리학 이야기

더보기

재테크

더보기

2025년 9월 S&P500 자산배분 전략 | 금리인하 사이클과 조정 신호

2025년 9월, 미국 증시는 다시 한 번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대표 지수인 S&P500 역시 단기적 반등과 조정 사이에서 고점을 조금씩 높여가며 불안정한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기일수록 자산배분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단순히 마켓 타이밍을 맞추려는 시도가 아니라, 거시적 흐름 속에서 각 자산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어떤 비중을 가져가는 것이 합리적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자산배분 전략은 특정 종목에 집중하거나 단기 매매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그 핵심은 금리 사이클, 유동성 흐름, 투자 심리와 같은 거시적 요인 속에서 장기적인 위험을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틀이 바로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이다. 금리 인상과 인하, 경제위기와 회복이라는 순환 과정 속에서 자산은 서로 다른 성과를 보여 왔으며, 투자자는 각 국면에서 불리한 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앞으로 유리해질 자산을 선제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장은 금리인하 사이클의 B에서 C로 넘어가는 후반부에 놓여 있다. 연준은 2023년 7월 금리 고점(A)을 기록한 이후 202


보험칼럼

더보기

알아두면 힘이 되는 요양급여비 심사제도_④현지조사

건강보험에서의 현지조사는 요양기관이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 등에 대해 세부진료내역을 근거로 사실관계 및 적법 여부를 확인·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부당이득이 확인된다면 이에 대해 환수와 행정처분이 이뤄지게 된다. 이러한 현지조사와 유사한 업무로 심평원 주관으로 이뤄지는 방문심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주관이 되는 현지확인이 있는데, 실제 조사를 받는 입장에서는 조사 자체의 부담감 때문에 모두 다 똑같은 현지조사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주관에 따라 내용 및 절차, 조치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조사가 현지조사인지 현지확인인지, 혹은 방문심사인지를 먼저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대처를 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의 현지확인은 통상적으로 요양기관 직원의 내부 고발이 있거나 급여 사후관리 과정에서 의심되는 사례가 있을 때 수진자 조회 및 진료기록부와 같은 관련 서류 제출 요구 등의 절차를 거친 후에 이뤄진다. 그 외에도 거짓·부당청구의 개연성이 높은 요양기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류 제출 요구 없이 바로 현지확인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방문심사는 심사과정에서 부당청구가 의심되거나, 지표연동자율개선제 미개선기관 중 부당청